• Title/Summary/Keyword: 서해

Search Result 2,122,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Study on Biochemical Pollutant Markers for Diagnosis of Marine Pollution I. Changes in Lipid Components of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the Yellow Sea (해양오염의 진단을 위한 생화학적 오염지표에 관한 연구 I. 황해산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지질성분의 변화)

  • Choi, Jin-Ho;Kim, Dong-Woo;Moon, Young-Sil;Park, Chung-Kil;Kim, Jae-II;Yang, Dong-Beom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7 no.1
    • /
    • pp.1-9
    • /
    • 1997
  • For the recent years, considerable efforts have been made to rationalize the techniques of research and monitoring of biological effects of marine pollutants such as heavy metals, polychlorinate biphenyls (PCBs), organochlorine pesticides,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organophosphorus pesticides. This study was designed as a part of efforts to investigate the biochemical pollutant markers for diagnosis of marine pollutions by the changes in lipid components of th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Yellow Sea of Korea. Homoglobin levels in serum of cultured and wild flounders in Yellow Sea were significantly lower (5 - 15% and 20 -25 % , respectively) than those of wild flounder in Pohang. Triglyceride (TG) contents in serum of cultured flounders in Yellow Sea were 10 - 40% higher than those of wild flounder in Pohang. Total and low density lipoprotein (LDL)-cholesterol contents in serum of flounders in Yellow Sea were significantly 10-15% and 30-35% (cultured), and 10-20% (wild), respectively, higher than those of wild flounder in Pohang. Atherogenic index (AI) and T-Chol/PL rations in serum of cultured and wild flounders in Yellow sea were significantly 20-45% and 10-!5%, 6-35% and 15-35%, respectively, higher than those of wild flounder in poha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near-coastal waters as well as neritic waters of the Yellow Sea might be affected by pollutant input.

  • PDF

서해 고군산군도 및 위도 인근 13개 무인도서의 하계 해조상

  • 김영식;남기완;이종화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266-267
    • /
    • 2000
  • 한국 서해안 해조류에 관한 연구는 Kang (1966)이 '한국 해조류의 지리적 분포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총 140종의 출현종을 정리한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서해안 해조류 연구는 초기에 주로 출현종의 목록 작성 및 종의 기재를 위주로 하는 지역 해조상 조사가 행해져 오다가(이, 1973; 강 등, 1980), 이를 기초로 해서 점차 지역 해조 군집의 구조를 밝히는 생태학적 연구로 접근하여 왔다(강과 송, 1984). (중략)

  • PDF

서해비단고둥 (Umbonium thomasi)의 생식소 발달과 생식주기

  • 이주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2.10a
    • /
    • pp.247-248
    • /
    • 2002
  • 원시복족목 (Archaeogastropoda) 밤고둥과 (Trochidae)에 속하는 서해비단고둥(Umbonium thomasi)은 우리나라의 서해안과 중국연안에만 서식한다. 비단고둥 (U. costatum)보다 소형으로 낮은 원추형이고, 조간대의 모래사장에 살며 간조 때에는 모래 속으로 파고 들어간다. 껍질은 약간 푸르스름하고 꾸불꾸불한 회색 무되가 방사상으로 덮여 있으며 내부는 진주층으로 광택이 있다 (Yoo, 1976; Kwon et al., 1993). (중략)

  • PDF

현장 해상세굴 자료의 실시간 획득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발

  • 허정호;김성환;이종국;여운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8.09a
    • /
    • pp.61-64
    • /
    • 1998
  • 서해안시대의 개막과 함께 서해안 일대의 개발이 활발해지면서 서해대교, 영종대교 같은 대규모 해상교량의 건설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들 구조물의 건설로 인해 흐름이 변하고 유속이 증가하면서 구조물의 안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세굴이 관심사로 떠올랐다. 하지만 해상세굴에 대해 연구된 기존의 자료가 거의 전무한 실정이므로 현장에서 직접 세굴의 진행과정을 관찰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중략)

  • PDF

군산연안 서해비단고둥, Umbonium (Suchium) thomasi (Crosse)의 자원생태학적 dusr. III. 생산력

  • 류동기;이대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605-607
    • /
    • 2001
  • 서해비단고둥(Umbonium (Suchinm) thomasi Crosse, 1863)은 비단고둥(U. (S.) costatum), 큰비단고둥(U. (S.) giganteum), 흑비단고둥(U. (S.) thomasi) 등과 함께 모래둥아과(Umboninae)에 속하는 종으로서, 우리나라 서해안에 다산하고 있으며, 최근 들어 그 수가 증가하고 있는 우점종의 하나로 표생저서동물(epifauna)로 침전물 및 현탁물식자(deposit and suspension feeder)이다(Fretter, 1975). (중략)

  • PDF

서해권 항로표지용 AIS 관리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Guk, Seung-Gi;Jeong, Tae-Gwon;Park, Hye-R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169-171
    • /
    • 2012
  • 근래 각국에서는 기존의 항로표지(AtoN)와 선박자동식별장치(AIS)를 혼합한 형태의 AtoN AIS를 도입하여 해상 상태 및 위치 등의 정보를 수집 전달하는 방식의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국제 동향에 맞춰 AtoN AIS를 채택하여 활성화시키기는 단계에 있다. 그 중 서해안은 해양교통 환경이 매우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곳으로, 이미 설치된 AtoN AIS 시스템의 관리 실태조사 및 연구를 통한 재평가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 논문에서는 AtoN AIS 시스템을 국내 표준화 시스템으로 구축하기 위한 실용화 및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자 선진국의 AtoN AIS 시스템 구축 사례 및 관련 국제 규정을 검토하여 현재 서해안의 시스템과 비교 분석한다. 또한 실제 선박 AIS와 AtoN AIS 시스템의 상호 연계성을 연구하여 실제 운항하는 선박의 항해사들이 AtoN AIS 시스템을 선박 AIS와 같이 활용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 PDF

한국 서해산 암컷 키조개, Atrina pectinata의 난소 발달단계에 따른 내장낭과 후패각근의 생화학적 성분 변화

  • 정의영;박관하;백성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516-517
    • /
    • 2000
  • 키조개, Atrina pectinata는 키조개과 (Pinnidea)에 속하는 우리 나라 산 이매패류 중에서 가장 큰 종으로 주로 남, 서해안에서 대량 생산되고 있다. 특히, 본 종은 후폐각근인 패주가 고급식품으로서 최근 각광을 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출품종의 하나로 외화획득에 기여하며 어업인들의 큰 소득원이 되고 있는 중요한 수산자원의 하나이다. 지금까지 본 종의 생식에 관한 연구 보고로는 일본산 키조개의 번식생태(길전, 정상, 1954)와 우리 나라 남해산 키조개의 번식상태(류와 유, 1984; 류 등,1988)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으나 서해산 키조개의 번식생태에 관한 보고는 찾아볼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서해산 키조개의 생식주기와 난소발달 단계에 따른 후폐각근과 내장낭 부위의 생화학적 조성 변화를 조사하여 생식 mechanism을 추구하는 동시에 본 종의 자원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중략)

  • PDF

스마트기술을 활용한 예부선 해양사고 예방에 관한 고찰 예인선과 부선 사이 예인줄 시인성 확보를 통한 해양사고 안전관리 방안

  • Myeong, Jin-Hyeok;Lee, In-Beom;Kim, U-Yeong;Kim, Su-B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11a
    • /
    • pp.51-53
    • /
    • 2019
  • 연안 해역을 운항하는 예부선의 위험요소 중 예인선과 부선을 연결하는 예인줄을 타 선박이 인식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해양사고를 분석하고 사물인터넷(IoT) 활용을 통한 예부선의 예인줄 시인성 강화로 해양사고 예방을 모색.

  • PDF

Case Study on the State of Sea Surface with Low Atmospheric Pressure and Typhoon Conditions over the fellow Sea (저기압 및 태풍 통과시 서해상의 해상상태 사례 분석)

  • Pang, Ig-Chan;Lee, Ho-Man;Kim, Tae-Hee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5 no.4
    • /
    • pp.277-288
    • /
    • 2004
  • In this study, state of sea surface were analyzed comparatively for cases of low atmospheric pressure, which occurred in the middle area of China and moved eastward to the Korean Peninsula across the Yellow sea during April 9-12, 1999, and typhoons 'NEIL' May 1999 and 'OLGA' July 1999, which moved northward along the we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n cases of low pressure, wind speeds and phases were respectively stronger and faster in the center area than in the surrounding areas. The wave heights seem to a somewhat differing tendency from that of the wind speeds due to the influences of geometry. On the other hand, wave heights were lower under typhoon weather than under low pressures, except the instance of wave height over 5 m on Chilbal when typhoon Olga pass northward from the southern area. Storm surges also showed larger amplitudes under low pressures than under typhoons. The results suggest that wave sand storm surges may be larger for a slow passing synoptic low pressures than for a fast passing local typhoon.

Analysis of the Observation Data for Winter-Season High Waves Occurred in the West Sea of Korea (우리나라 서해에서 발생한 겨울철 고파의 관측자료 분석)

  • Oh, Sang-Ho;Jeong, Weon-Mu;Kim, Sang-I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7 no.3
    • /
    • pp.168-174
    • /
    • 2015
  • Characteristics of high waves occurred in winter season on the west coast of Korea were investigated by analyzing the wave data observed at five observation locations. Records of four different high waves were subjected to the analysis together with the corresponding meteorological data during those time periods. The significant wave height reached its maximum of 6.42 m on December 4th, 2005. It was clarified that the high waves occurred due to strong wind fields that were formed over the west sea of Korea when the extra-tropical cyclone was excessively developed. Characteristics of the high waves generated in the west sea seemed to be predominantly wind sea as the temporal variation of the wave height at the coast were closely related to those of the wind speed measured at neighboring weather s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