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서지 데이터베이스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7초

참고문헌의 서지기술 표준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the National Standard for Reference Bibliographic Description)

  • 남영준;조현양;배순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61-27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국가차원의 인용색인데이터베이스 구축에 필요한 참고문헌 서지기술 표준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주요 서지기술 규정과 문헌정보학 분야 학술지의 규정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참고문헌에 포함될 서지요소는 크게 저자사항과 서명사항, 발행사항 등 3개의 하부요소였다. 이 서지요소에 포함될 개별요소는 모든 서지기술 규정이 모두 동일하였다. 본 표준의 기본 형태는 저자-연도 타입이었으며, Bibliography 형식도 제안하였다. 특히 전자자료의 경우, 웹상에서만 발표된 자료는 반드시 최종접근일자를 URL과 함께 수록하도록 하였다.

전자항해서지 개발방안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Digital Nautical Publication)

  • 오세웅;박종민;유기현;서상현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9년도 공동학술대회
    • /
    • pp.65-68
    • /
    • 2009
  • 항해서지란 정부기관에서 제작한 항해 목적의 책자 혹은 데이터베이스로서, 항해 요구사항을 만족하며 주로 등대표, 전파 신호, 항행통보, 항로지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국제수로기구의 항해서지 워킹 그룹은 수로 및 항해 관련 요구사항을 전자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표준을 수립하고 있으며, 항해서지를 책자 유형의 NP1, 전자 유형의 NP2, ECDIS 사용목적의 NP3로 구분하고 있다. 항해서지는 해도와 함께 중요한 정보로서 해도제작 체계와 연계, 최신성, 서비스 향상을 위해 전자적인 항해서지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책자 유형의 NP1의 수준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전자항해서지 현황과 국제 동향을 분석하여 전자항해서지 개발방안을 도출하고, 전자항해서지 시범개발로서, 항해서지의 한 종류인 항로지의 개발을 위해 남해안 항로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항로지 편집 및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PDF

한양대학교 디지털도서관 구축

  •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 디지털콘텐츠
    • /
    • 10호통권65호
    • /
    • pp.44-46
    • /
    • 1998
  • 삼보정보통신은 지난달 한양대학교의 디지털도서관 구축을 완료하고 시연회를 가졌다. 과거의 도서관은 단순히 서지정보만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했지만 지금은 텍스트정보 뿐만 아니라 화상, 소리, 동화상까지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도서관은 가상대학의 핵심요소로 관련업계에서는 초미의 관심사가 되어있다. 삼보정보통신의 디지털도서관 구축사례를 소개함으로써 가상대학을 추진하고 있는 대학에게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서지 데이터 입력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설계에 관한 연구 (Interface Design for the Bibliographic Data Entry System)

  • 최석두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0-58
    • /
    • 1990
  • 서지 데이터 입력 시스템의 인터페이스를 설계할 때 여러 가지 측면과의 관계를 고 려해야 할 것이다. 입력 계획, 레코드 포맷, 화면 설계, 액세스 포인트의 자동 생성, 에러 체 킹, 기존 데이터베이스의 다운로드, 사용 문자 코드, 카드 목록 생산, 전거 데이터의 이용 등 이 그것이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사항들을 어떻게 실제의 서지 데이터 입력 시스템에 적 용시킬 것인가에 대해 실례를 들어 논한다.

  • PDF

CORBA/Java 기반 분산 서지정보 통합검색시스템(DBIRS) 모델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Distributed Bibliographic Information Retrieval System(DBIRS) Model based on CORBA and Java)

  • 서현석;박우창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1)
    • /
    • pp.87-89
    • /
    • 1998
  • 정보 기술의 발달로 문헌정보의 양이 증가하고 있지만 정확하고 빠른 정보를 지역적으로 분산된 서지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찾기에 이미 개발된 방식으로는 시간이 많이 걸린다. 현재 사용중인 텔넷(telnet)을 통한 방식이나. 웹/CGI 기술을 이용한 방식은 문헌정보가 존재하는 각각의 서버를 사용자가 한번에 하나씩 접속하여 검색을 해야 하므로 검색시간이 많이 걸릴 뿐 아니라, 사용자는 각 서버마다 상이한 검색방법을 익혀야 한다. 최근에 이러한 단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한곳에서 종합적인 서지 및 본문정보검색을 하는 통합 검색시스템이 중앙 집중형 시스템을 모델로 하여 구축되고 있으나 이 방식 역시, 자료의 불일치성, 시스템 공장과 과부하등 여러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의 해결책으로 분산 서지정보 통합검색시스템 DBIRS를 제안하고 구현한다. DBIRS는 웹 환경하에서 CORBA 기술과 Java언어를 이용함으로서, 단일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병렬 복수질의를 수행하여 동시에 각 도서관에서 자료를 찾을 수 있다. 또한 객체를 기반으로 하는 표준 모델을 사용하여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확장을 가능하게 하고, 향후 멀티미디어 데이터나 웹과 같은 비 정형 데이터 시스템과의 통합을 쉽게 해준다.

과학기술보고서의 상호교환을 위한 메타데이터

  • 안계성
    • 디지털콘텐츠
    • /
    • 3호통권70호
    • /
    • pp.88-93
    • /
    • 1999
  • RFC1807은 네트워크상에서 기술보고서를 원활하게 교환하기 위한 서지레코드에 대한 형식을 규정하고 있다. 이 형식은 MARC 처럼 복잡하지 않고 자동으로 파스(parse)하기 쉽도록 설계되어 코넬대학의 Dienst 프로토콜과 스탠포드대학의 SIFT시스템 등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메타데이터이다.

  • PDF

서지 유틸리티와 CIP 데이터 활용에 관한 연구 - OCLC와 미국국회도서관 CIP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Bibliographic Utility and Its Use of CIP Data : With a Focus on the LC CIP Program and OCLC)

  • 윤정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49-367
    • /
    • 2005
  • 이 연구에서는 미국국회도서관의 CIP (Cataloging in Publication)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서지 유틸리티를 통한 CIP 데이터 접근, 배포, 개선 및 활용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LC CIP 프로그램은 많은 출판사의 참여와 지속적 성장, CIP 서지정보의 품질에 대한 신뢰와 즉각적 접근을 위한 서지 유틸리티 종합목록 데이터베이스의 활용, 출판 후 서지정보의 완전성과 정확성 개선을 위한 품질제어 노력 등의 특성을 갖는다. LC와 OCLC와 같은 서지 유틸리티 사이의 협력은 국립중앙도서관의 '출판시 도서목록' 프로그램의 제한점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 국립중앙도서관이 국가의 대표 서지기관으로서 출판예정 단행본에 제한된 CIP 데이터 뿐 아니라 모든 유형의 국내간행 신구간 자료에 대한 정확하고 완전한 서지 및 전거 레코드에 대한 국내 도서관의 요구를 충족시켜야 할 필요성이 지적되었다.

  • PDF

MARC의 개념 모델링 연구 (A Study of the Conceptual Modeling of MARC)

  • 이현실;전양승;한성국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75-28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의 포괄성과 상세성이 있는 MARC를 기반으로 서지정보 개념 모델을 구축하였다. MARC21, MARCXML, MODS를 분석하여 MARC의 개념 모델링에 고려하여야 할 요구 사항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충족할 수 있도록 구축한 개념모델은 MARC 기반에 XML의 태그를 사용할 수 있고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활용할 수 있는 집합관계의 모델이다. 집합체 구조는 다양한 배열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서지정보 시스템 개발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MARC가 서지 정보 레코드 구조만을 정의하고 있기 때문에 풍부한 의미의 표현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더블린 코어 등 MARC 수준의 서지 정보 요소를 확장한 메타데이터 시스템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