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서울 마을굿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2초

무당굿의 축제 가능성과 방향 모색 (Seeking for a Festival Possibility and Direction of Mudang Gut)

  • 홍태한
    • 공연문화연구
    • /
    • 제20호
    • /
    • pp.309-338
    • /
    • 2010
  • 이글은 무당굿이 가지고 있는 축제적인 본질에 주목하여 무당굿의 현대 축제화의 가능성을 모색한 글이다. 무당굿의 여러 구성요소나 마을굿의 연행 과정을 볼 때 무당굿이 축제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최근의 굿판의 사정을 고려할 때 무당굿이 진정한 축제가 되는 데에는 다소 문제가 있는데, 무엇보다도 무당굿을 바라보는 왜곡된 시선이 무당굿이 가지고 있는 축제성을 외면하게 한다. 아울러 무당굿이 개인의 기복성을 강조하는 쪽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자신은 무당굿을 하면서도 그를 감추려는 이중적인 시선이 무당굿의 축제성을 약화시킨다. 마을굿에서도 잘못된 행정관청의 지원과 무형문화재 제도의 편중된 지원 등이 겹쳐 점점 일회적 행사굿으로 변모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할 때 무당굿이 진정한 축제가 되는 길은 요원하다. 하지만 무당굿을 종교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문화 현상 내지는 놀이문화로 바라보는 의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축제에서 구색 맞추기로 무당굿을 연행할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참가할 수 있는 공연물로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 공연물은 여느 공연물과는 성격이 다른 것도 받아들여야 한다. 무당굿은 관객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무당의 반응에 공감하면서 직접 참여하는 연행인을 필요로 한다. 구경꺼리로 볼 것이 아니라, 자신이 직접 배우로 참여하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러할 때 무당굿의 축제화 길이 열린다.

마을굿의 보전과 민속전승의 의미 - 서울지역의 부군당굿을 중심으로 - (The Preservation of maul-gut and meaning of the folklore-transmission)

  • 유승훈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5권
    • /
    • pp.320-343
    • /
    • 2002
  • In Seoul city, The maul-gut(마을굿) called bugundang-gut(부군당굿) have been transmitted by people lived on the banks of han-river. The purpose of this document is to make a study the present meaning of bugundang-gut that have been transmitted in metropolitan city. The bugundang-gut was the official ritual in a government office during the Chosun dynasty. However, the bugundang-gut had been spread along kyunggang(경강, Han-river in Seoul) in the late Chosun period. At that times, the population kyunggang area was increased with the inflow of outside population and the commercial destrict was extended to many district along kyunggang. The main poi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 investigate that bugundang-gut have been transmitted by a Seoulite to the backbone. They are the main body of bugundang-gut transmitting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Secondly, I study about nami-janggun-sadangje(남이장군사당제) appointed to seoul city immaterial cutural properties. It is a kind of bugundang-gut. So namijanggun-sadangje was appointed to seoul city immaterial cutural properties, as it was supported by a local autonomous entity. Thirdly, I investigate a plan that can be handed down an offspring in seoul city. We must revise the cultural properties system like that of Japan. Even though many bugundang-gut isn't appointed to cutural propertie except nami-janggun-sadangje, we must recognize their importance and keep a record character of bugundang-gut by investigation in detail. Fourthly, I think that bugundang-gut must be developed a regional public holiday. If it is developed a regional public holiday, many young person can be take part in bugundang-gut.

서울 마을굿 무속복식에 나타난 관모 연구 (A Study of Official Hats Shown on Shaman's Costumes of Seoul Village Gut)

  • 김은정;임린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64-371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Sadanggut for General Namyi, Agisee Gutdang in Haengdang-dong, Dodanggut in Bonghwa Mountainto examine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official hats for shaman's costumes based on Seoul village gutas a spiritualistic shaman revealing the divinity of music for gutthrough singing, dancing, divine material and official hats. Commonly worn official hats were Goggal(conical hats), Jeonlip(soldier's felt hats), and Heuklip(black hats) for Seoul village gut as the object of thisstudy. Each official hat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subjects for divinity and musical meaning for gut. Julip(Red hats), Jokduri(bride's headpiece), helmets, Iksubgwan(King's official hat), and Daesu(Queen's a big wig with various hairpins) were also worn. Official hats worn for Seoul village gutwere understood to symbolize divinity and raise authority and dignity to the public through aggressive appearance, exaggeration and splendor. Concretely, official hats at Seoul village gut first had roles to materialize the divinity of each music of gut. Second, recognized as a part of performance or traditional culture in present day, aggressive official hats were favored to supply splendid attraction and maximize scenes of divined heroic epic poem in gut. Third, for Seoul village gut, colors and silhouettes of modern traditional costumes were reflected pursuing partial change and focused on exaggeration and splendor to express the mirth and festival of gutwhile maintaining traditional costumes.

서울지역 공동체신앙 전승과정 고찰 조선시대 각사(各司) 신당(神堂)의 존재양상과 변화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Transmission of Community Religion in Seoul Focussing on the Shrine of the Authorities and the Change)

  • 오문선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1권2호
    • /
    • pp.5-25
    • /
    • 2008
  • 서울 공동체 신앙은 조선시대 각 관서에 속한 신당의 제사에서 비롯되었다. 조선시대 각 관서(官署)의 부속공간으로 존재하던 신당의 제사 주체는 하급관리들이었다. 이러한 신당은 대개 부군당(府君堂)으로 불리웠다. 기록에 등장하는 부군당은 대개 1~3칸 정도의 규모이며, 내부에는 신앙의 대상인 부군을 그림으로 그려 봉안하였다. 역사기록에는 부군당의 제사대상이 최영장군이나 송씨부인으로 등장하는데, 실제 부군당의 제사대상은 각각 달랐다. 부군당의 제사 대상 가운데는 왕건, 단군, 남이장군, 제갈공명, 김유신, 임경업, 공민왕, 태조 이성계, 조선의 개국공신인 조반, 남한산성 일대의 지역에 전승되는 설화의 주인공인 홍씨대감과 처첩, 임진왜란 이후 신으로 모셔지기 시작했던 관우와 제갈공명 등 다양한 역사적 인물들이 있다. 조선시대 각 관서 신당의 의례를 오늘날 서울지역 마을굿의 양상과 정확하게 비교해 보기는 어렵다. 그러나 기록을 통해 볼 때 굿과 고사의 형태가 공존하였음을 알 수 있다. 관서 신당 의례는 점차 민(民)의 공동체신앙으로 자리잡아, 서울의 문화적 변동 맥락 속에서 전승되어 오고 있다. 본고는 조선시대 관서에 속한 신당의 존재양상을 살펴 보고, 관서 신당의 의례가 민간화되는 전승의 맥락을 장충동 관성묘, 방산동 성제묘, 서빙고 부군당의 사례를 통해 살펴 보았다. 방산동 성제묘가 민간화 되어가는 과정은, 군인들의 신으로 인식되던 신령 관우가 역사적 변화과정 속에 놓이게 되면서 군인들의 신에서 상인들의 신이 되었고, 이후 특정지역 상인들의 공동체적 신앙 대상이 된 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장충동 관성묘는 남영 군인들의 부군당으로서, 관성묘 주변지역에 거주하는 이들을 중심으로 조직된 영신사(永信社)라 불리는 제사집단에 의해 제사가 전승되었기 때문에, 이들이 구성원이 된 이 일대 마을의 공동체신앙으로의 전승이 자연스럽게 계승되었다. 서빙고 부군당의 민간화 과정은 조선 후기 장빙역(藏氷役)의 변화와 맞물린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었음을 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