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서울말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6초

서울말과 경사도말의 낱말 억양 비교 -외래어 읽기를 통하여- (A Comparative study of Seoul and Gyungsang dialect's tonal patterns -by loan words-)

  • 문수미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8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7권 1호
    • /
    • pp.379-382
    • /
    • 1998
  • 이 연구는 서울말과 경상도 말의 고저형(tonal patterns)을 외래어 읽기를 통해 비교해 본 것으로, 두 방언의 고저형에 변수로 작용하는 것이 음절수, 음절 구조(폐음절/개음절), 어두 자음의 성격(phonation type) 등임을 밝혔다. 두 방언은 이런 변수의 작용을 선택적으로 받는데 유형론적으로 비성조 언어인 서울말은 음절수, 어두 자음의 성격이 고저형에 영향을 주며, 성조 언어인 경상도말은 음절수와 음절의 구조가 외래어에 있어서는 고저형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 PDF

제주방언 억양패턴의 실험음성학적 연구 (An acoustic study on the intonation pattern of Cheju dialects in Korean)

  • 이숙향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9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8권 2호
    • /
    • pp.369-372
    • /
    • 1999
  • 본 연구는 제주방언의 억양 패턴에 대하여 실험음성학적 분석을 하였다. 이전의 제주방언에 대한 음성 음운론적 연구는 거의 분절음 연구에 국한되었다. 억양 패턴 분석은 K-ToBI 레이블링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성조기호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제주 방언의 운율구는 서울말, 전남방언과 같이 억양구와, 그 하위 층에 악센트구 두 개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는 크게 억양구의 경계성조 유형 연구와 악센트구의 성조 연구를 수행하였다. 억양구 경계성조로는 서울말과 같이 $L\%,\;H\%$를 기본으로 하여 $HL\%,\;LHL\%,\;HLHL\%,\;LHLHL\%,\;LH\%,\;HLH\%,\;LHLH\%,\;HLTLH\%$ 등의 유형과 그 외 제주방언만의 유형 또한 관찰되었다. 악센트구의 성조패턴 연구는 음절수와 억양구내 악센트구의 위치를 변수로 하여 살펴보았다. 제주방언의 악센트구 기본 성조는 'LH'로서 마지막 음절에서 ?'가 실현되는 패턴이다. 음절수가 많아지면 마지막 둘째음절에 아주 완만한 피치상승을 보이긴 하나 'H'로 기술하기에는 부적절하였다 유성음화의 범위는 서울방언에서와 같이 악센트구로 나타났다. 강자음이 악센트구 초에 올 때 ?'성조로 시작이 되었으며 피험자에 따라 'H'성조가 첫째음절에서만 실현되고 바로 하강하던가 또는 둘째음절까지 지속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 PDF

음운환경에 따른 서울말 악센트구초의 고성조 (High Tone of Accentual Phrase in Seoul Korean: with reference to phonological environments)

  • 전은;이숙향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0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9권 1호
    • /
    • pp.329-332
    • /
    • 2000
  • 변수로서 악센트구 내 음절수, 첫째 음절과 둘째 음절의 음절 유형 (폐음절 대 개음절), 첫째 음절과 둘째 음절의 초성 자음의 유형 등을 고려하여 선택된 3음절 무의미 단어 35개와 4음절 무의미 단어 35개를 사용하여 4음절 이상으로 이루어진 서울말 악센트구의 성조에 대 하여 조사하였다. 이 실험의 발화에서는 1) 악센트구성조에 대하여 4음절과 5음절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 음절 유형은 첫째 음절의 초성 자음이 보통음일 때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센소리일 때는 둘째 음절의 유형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3) 악센트구 성조에 대하여 첫째 음절의 초성 자음의 유형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음절의 초성 자음이 센소리일 때 악센트구 4개 성조 모두 보통음일 때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4) 둘째 음절의 초성 자음의 유형도 자신의 성조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센 소리로 시작하는 경우에 다른 유형의 자음에 비하여 자신의 피치 값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서울말과 방언사이의 억양차이 파라미터 추출 (Extracting Speech Parameters for intonational Differences between the Seoul Dialect and the other Dialects of Korean)

  • 이강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년도 제5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4권1호
    • /
    • pp.211-212
    • /
    • 2016
  • 음성 인식 기술은 상당 기간 연구 개발이 계속적으로 되었는데 최근에 이르러 스마트 폰이 급속히 확산되면서 그 필요성, 즉, 고품질의 상용 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널리 확산되고 있다. 이런 환경에서도 사실 한국어는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뤄 질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소외는 기술적인 문제로만 남겨지는 것이 아니라 언어라는 측면에서 문화와 직결된다. 이에 한국어 음성 인식 연구는 꼭 필요한 것이고 많은 부분 국가가 정책적으로 지원을 하는 것이 마땅하나 현 상황은 많이 미흡하나 아마도 곧 그 필요성이 대두 될 것이라 예상하며 그를 준비하는 연구로 특화된 분야, 즉, 표준어와 방언들 그리고 감정 표현 언어에 관한 연구를 한다.

  • PDF

서울말 /?/와 /?/의 지각특성 (Perceptual cues for /o/ and /u/ in Seoul Korean)

  • 변희경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2권3호
    • /
    • pp.1-14
    • /
    • 2020
  • 서울말의 ᅩ/ᅮ가 모음 공간에서 융합하는 변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이 많은 연구들에 의해 지적되어 왔다. 한편 ᅩ/ᅮ의 중복이 현저한 여성의 발화에서는 포먼트 대신 모음의 음질 (H1-H2)이 ᅩ/ᅮ를 구별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고의 목적은 생성에 보이는 ᅩ/ᅮ 간의 H1-H2 차이가 지각에서도 유효한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지각에서도 H1-H2가 유효하게 기능하고 있다면 포먼트만으로는 설명이 어려운 여성의 ᅩ/ᅮ를 생성과 지각 모두에서 H1-H2로 정연하게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서울, 경기 출신의 대학생 35명을 대상으로 서울말 모어 화자가 단독발화한 ' 오'와 '우'를 사용하여 지각실험을 실시하였다. 자극음은 모두 여성의 발화로 모음 공간에서 상당한 중복을 보이는 182예이다. 생성과 지각의 관계를 보기 위해 자극음의 음향분석도 실시하였다. 정답률(바르게 지각한 동정률)은 평균 89%로 /ᅩ/가 86% (n=88), /ᅮ/가 91% (n=94)였다. 자극음의 음향분석에서 포먼트로 구별이 어려운 ᅩ/ᅮ의 경우 H1-H2가 유의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ᅩ/ᅮ의 지각에 H1-H2의 영향력은 매우 미미하며 ᅩ/ᅮ의 구별에는 남녀 모두 포먼트가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성에서 H1-H2로 ᅩ/ᅮ를 구별하는 것은 여성의 발화로, 남성의 발화에서는 H1-H2가 아닌 포먼트로 구별된다. 남성의 발화에서도 H1-H2 차이가 ᅩ/ᅮ의 구별에 쓰인다면 지각에 있어서도 H1-H2가 주된 지각특성이 될 수도 있겠지만 적어도 현 단계에서 ᅩ/ᅮ의 지각에 H1-H2의 사용은 남녀 모두 아직 도입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서울말의 wh-섬 제약 지각 연구 (A perceptual study of the wh-island constraint in Seoul Korean)

  • 윤원희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3권2호
    • /
    • pp.27-35
    • /
    • 2021
  • wh-섬 구조는 내포문에 있는 의문사 구가 모문의 작용역을 갖을 수 없도록 하는 제약이다. 서울말에서 내포문 의문사 구가 모문의 작용역으로 해석할 수 없다고 알려져 있으나 의문사 억양으로 발화될 경우 모문 작용역 해석도 가능하다고 보고되었다. 청취 실험을 통하여 서울말에서 의문사 구의 모문 작용역 해석이 가능한지 알아보았다. 내포문에 '누구를'을 넣어 만든 세 종류의 의문문, 즉 부정 대명사와 내포문 작용역을 갖는 판정 의문문과 의문사 억양으로 발화된 모문 작용역 해석이 가능한 설명 의문문을 자극으로 준비하고 비교를 위해 일반 명사를 사용한 판정 의문문 문장도 함께 실험하였다. 피험자는 자극 문장을 듣고 '네/아니오'를 선택하거나 아니면 설명 의문문을 선택하도록 지시하였다. 피험자의 대답과 함께 선택에 소요된 반응 시간을 함께 기록하여 함께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83.7%의 피험자가 모문 작용역 해석을 받아들이는 결과를 보여주었고 반응 시간에서 모문 작용역 문장에 대한 선택이 정답과 오답을 포함하여 가장 긴 소요 시간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서울말은 약한 wh-섬 제약이라고 할 수 있다.

서울말 의문문에 나타나는 문미 상승억양의 기울기 값과 음운표시 (On inclinational values and phonological representations of sentence-final rising tones of interrogatives in Seoul dialect)

  • 김선철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1996년도 10월 학술대회지
    • /
    • pp.548-553
    • /
    • 1996
  • The sentence-final rising tones of interrogatives in Seoul dialect are contrastive at lesat in two groups. One is H-type which ends in a lower pitch, the other HH-type ending in a higher one. But they are different in terms of inclinational value, also. And the latter is more adequate criterion than the former which would be available in an ideal condition.

  • PDF

일본어화자의 한국어 학습에 나타나는 발음상의 제문제 -- phonemic unit와 prosody, 특히 pitch에 대하여 --

  • 노마 히데키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1996년도 10월 학술대회지
    • /
    • pp.268-273
    • /
    • 1996
  • 본고는 일본어화자의 한국어 학습에 나타나는 발음상의 제문제를 논한다. 문제점은 초급, 중급의 단계별로 고찰할 필요가 있고 또한 학습자의 이론적인 인식상의 문제와 학습자의 실제 발음 실천상의 문제를 구별해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모음, 자음, 음운변화 및 표기상에 나타나지 않는 발음의 문제 등, 음운단위에 관한 요소, 그리고 높낮이(pitch)와 억양(intonation) 등, 운율적인 요소를 다루었다. 서울말의 높낮이에 대한 기술도 시도하였다.

  • PDF

서울말 장단의 연령별 변이 (Variation of Word-Initial Length by Age in Seoul Dialect)

  • 김선철;권미영;황연신
    • 대한음성학회지:말소리
    • /
    • 제50호
    • /
    • pp.1-22
    • /
    • 2004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how what are the sociolinguistic variables of word-initial length loss in Seoul dialect. 350 people were inquired to pronounce 40 words. Among the informants, 152 were male, and 198 were female. In terms of their age, 49 were twenties, 70 were thirties, 69 were forties, 71 were fifties, and 91 were above sixties. According to our statistics, 18 words show sociolinguistic variation by age, and sex was not a variable. So we can conclude that Seoul dialect is undergoing length loss by age at least. But we need to enlarge the number of words and informants and we also need to adopt other variables like social level, education etc for better understanding of Seoul dialec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