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서식적합지수

Search Result 94,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Literature Review on Quantification of Habitat Suitability Index (서식지 적합도 지수 산정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 Ko, Dongwoo;Lee, Nam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64-464
    • /
    • 2022
  • 건강한 수생태계 유지·관리를 위하여 다양한 수생생물을 활용한 각 분류군의 종별 서식지 적합도 지수 DB 구축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대부분의 수생생물의 경우 문헌 연구를 통해 서식지 적합도 지수를 산정하기는 어려우므로 현장 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한 어류, 저서생물 등의 서식지 적합도 지수를 산정하여 하천 복원 및 수생생물의 서식에 필요한 생태유량 결정에 중요한 인자로 활용하고 있다. 국내에서 하천 건강성 평가 등을 통해 수계별 다양한 조사를 수행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연구는 출현 종 분류 및 출현율 등에 국한되어 있다. 또한, 부족한 현장 모니터링 자료로 인해 서식지 적합도 지수를 산정하기 위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물리적 인자를 도출하기 어려운 실정이며, 이는 전문가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주관적 판단으로 이어져 결과의 신뢰성 측면에서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수계별 장기적인 모니터링 및 자료 구축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며, 기존 서식지 적합도 지수 산정에 관한 방법의 장단점을 명확히 파악하여 국내 하천환경 및 특성에 적합한 서식지 적합도 지수 구축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Complex Habitat Analysis for Fish in River Confluences - Case Species of Zacco platypus, Opsariichthys uncirostris - (하천 합류부에서의 어류에 대한 복합 서식처 분석 - 피라미, 끄리 대상으로 -)

  • Seogyeong Lee;Dongsu Kim;Kyungdong Kim;Young Do Kim;Siwan L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19-219
    • /
    • 2023
  • 4대강사업으로 인해 생태계가 파괴되는 하천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로 인해 어류의 서식환경이 변화하였다. 하지만, 어류 각각의 서식처 선호도가 변화한 것은 아니기에, 변화된 환경에서 어류의 서식처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어류들이 선호하는 환경 조건을 판단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는 지수는 서식처 적합도 지수(Habitat Suitability Index, HSI)이다. 서식처 적합도 지수는 유속 및 수심과 같은 수리적 서식처 특성과 대상 종의 선호도를 나타내는 지수이다. 가로축은 수심 및 유속 변수, 세로축은 적합도를 의미하며, 1의 값에 해당하는 수심 및 유속이 대상 어종이 가장 선호하는 수심 및 유속 값을 나타낸다. 국내에서는 실제로 서식처 적합도 지수를 활용해 수리 인자와 서식처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서식처 적합도 지수는 현재 수리 인자만을 고려해 서식처 적합도를 판단하고 있는데, 정밀한 분석을 위해서는 수리 인자뿐만 아니라 수질 인자를 포함해 분석해야 한다. 실제로 수리 인자와 수질 인자를 함께 고려해 어류의 서식처를 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질적인 부분의 지수를 직접 개발하는 것이 아닌, 하천의 수질의 등급을 나타낸 Water Quality Index (NSFWQI)을 이용해 수질부분의 서식처 분석을 실시한다. NSFWQI는비교적 계산이 간단하여 수질 변화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 지수이다. 수리자료는ADCP로 얻은 자료를 통해 기존 문헌과 대상 지역에서의 이미 존재한 서식처 적합도 지수를 이용하고, 수질 자료는 YSI로 얻은 자료를 통해 대상 지역의 NSFWQI 지수를 계산하였다. 서식처 적합도 지수와 NSFWQI 두 가지 지수를 공간분포로 나타내어 Arcgis의 적지분석 기능을 이용해 어류의 최적의 서식처 지역을 제시 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평가 대상 어종은 정수성 어종인 끄리(Opsariichthys uncirostris)와 유수성 어종인 피라미 (Zacco platypus)를 선정하였다.

  • PDF

Sensitivity of Habitat Suitability for Zacco Platypus in relation to Watersheds (수계별 피라미의 서식처 적합도에 대한 민감도)

  • Jung, Sang-Hwa;Choi, Sung-Uk;Kim, Kyo-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89-193
    • /
    • 2012
  • 피라미에 대해 한강과 금강 수계에서 제시된 서식처 적합도 지수를 기존 서식처 적합도 지수가 수립된 달천 유역에 적용함으로써 수계별 피라미의 서식처 적합도 지수에 따른 물리서식처 모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수계별 피라미에 대한 서식처 적합도 지수의 선정이 서식처 적합도 분포와 가중가용면적 산정에 미치는 민감도를 검토하였다. 한강 수계에서 기존 연구자들에 의해 제시된 서식처 적합도 지수를 적용한 결과 가중가용면적이 약23%~103%의 범위에서 차이가 발생되었다. 그리고 동일 수계와 타수계에서는 유량이 증가할수록 편차가 줄어들었으나 동일 하천에서 산정된 서식처 적합도 지수를 적용한 경우는 유량이 증가할수록 편차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대상 구간의 어류 모니터링 자료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최소한 동일 하천에서 획득한 모니터링 자료를 활용해야 피라미에 대한 물리서식처 모의 결과의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stimation of Habitat Suitability Index for Water Quality of Z acco platypus by Region (권역단위 피라미 수질 서식처적합도지수 산정)

  • Hong, Rok Gi;Park, Jin Seok;Jang, Seong Ju;Hong, Joo Pyo;Song, In 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58-458
    • /
    • 2021
  • 하천의 환경기능과 생태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며 생태를 고려한 하천 유지 유량의 산정이 필요하다. 수문 특성의 물리적 서식처에 관한 연구는 PHABSIM, River2D 등의 소프트웨어 적용을 통한 유지유량증분법(IFIM), 수문 인자별 서식처적합도지수(HSI)를 기반으로 연구되고 있지만, 하천의 수질을 고려한 서식처 연구는 각 수질 인자별 서식처적합도지수 자료의 부족으로 하천유지유량 산정에 반영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 하천의 수질·생태 모니터링 자료를 바탕으로 수온, DO 등의 수질 인자에 대한 피라미의 서식처적합도지수를 권역 단위로 산정했다. 수질 및 어류조사 자료는 물환경정보시스템의 최근 10년 수질측정망, 생물측정망 조사자료를 이용해 구축하였다. 피라미의 수질별 서식 적합도는 일반화가법모형(GAM)을 적용하여 수질 인자별 어류 개체 밀도 분포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지수화하였다. 특히, 어류의 서식 특성은 수계별로 상이할 수 있어 가용 데이터의 범위를 고려하여 권역별 수질 인자에 따른 피라미의 서식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로 제시된 권역단위 피라미의 수질 서식처 적합도 지수는 생태를 고려한 하천사업의 계획, 평가의 기초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피라미 외 각 하천의 주요 생태 어종 평가를 위한 수질 서식처 적합도지수 산정의 자동화를 위한 알고리즘 개발에 적용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New Method of Estimating Habitat Suitability Index to Decide Environmental Flow (확률분포모형을 적용한 물리적 서식처 적합도 지수 산정방법의 제안)

  • Kim, Hyun-Jung;Lim, Sung-Min;Yoon, Jung-Soo;Kim, Jo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79-779
    • /
    • 2012
  • 수자원의 개발은 세계적으로 경제, 사회적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특히 하천은 그 발전의 원동력이 되어 왔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치수에 집중된 개발을 해왔기 때문에, 하천의 환경 생태적 기능은 중요시되지 않아왔다. 최근에서야 하천의 환경적 기능의 제고를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하천생태계의 서식공간을 가능한 한 자연상태로 보전하고자 하는 노력이 늘어나면서, 생태계를 고려한 하천유지유량(생태유량) 산정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위와 같이 생태유량을 산정하는 방법으로는 유지유량증분법이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각 어종별 서식처적합도지수를 구축하여야 한다. 이는 수생 서식처 모델링에 사용되는 물리적 인자에 대한 정량적 지수이다. 국내의 경우도, 수계별 어류조사를 수행하고 있으나 대부분이 출현어종분류 및 출현율 등에 국한되어 있어 물리적 인자를 도출하기 어려운 실정이고, 장기간 실측자료의 부족으로 대부분 전문가의 판단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객관적인 서식처 적합도지수의 부재는 생태유량 산정에 있어 큰 어려움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부족한 국내의 서식처 적합도지수에 객관성을 부여하고, 좀 더 표준화된 방법론을 제시하기 위해 장기간의 현장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하여 전문가의 주관적인 판단이 배제된 추계학적 방법을 이용한 서식처 적합도 지수를 산정하고, 이를 이용해 적절한 생태유량을 구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는 2007-2010년, 'Ecoriver21사업단'의 '생태유량 산정 및 확보기술개발' 과제에서 한국수자원공사가 수행한 현장모니터링 자료이다. 자료 수집 대상지역은 한강과 금강 수계이며 41개 어종에 대한 자료가 수집되었으나 그 중 다른 어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현장 데이터가 존재하고, 본 모니터링에서도 한강과 금강 두 수계에서 모두 우점종으로 나타난 피라미를 이용하여 새로운 서식처 적합도 지수 산정 방법의 제안 및 기존 방법에 의한 지수와 비교하였다.

  • PDF

Estimation of Habitat Suitability Index of Fish Species in the Geum River Watershed (금강수계 하천에서의 어류 서식처적합도지수 산정)

  • Kang, Hyeongsik;Im, Dongkyun;Hur, Jun Wook;Kim, Kyu-H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1 no.2B
    • /
    • pp.193-203
    • /
    • 2011
  • With the recent growth of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interests, various river restoration and habitat environment creation projects are being carried out. For this, the estimation of the habitat flow discharge is important. In U.S. and Europe nations, The instream flow incremental methodology (IFIM) has been used to estimate the habitat discharge. IFIM is the method that can be applied to evaluate the flow discharge for the suitable habitat. To use the IFIM in river, a habitat suitability index(HSI) for the target organism is needed. However, HSIs for only two species of Zacco platypus and Zacco temminckii were proposed from the field monitoring. Thus, for the estimation of the ecological flow rate for a group of fish, the development of the HSIs for various fish are necessary. In this study, physical data such as water level and flow rate, chemical data such as acidity and dissolved oxygen, and life data such as fish types and population are collected in Keum river watershed. Based on the 2,736 field data, HSIs for the following 6 fish are developed: Zacco platypus, Zacco temminckii, Microphysogobio yaluensis, Coreoleuciscus splendidus, Pungtungia herzi, Pseudogobio esocinus. Through the comparison with HSIs in the literature, the developed HSIs are modified. Also, the limits of Froude number, pH, and DO for 6 fish are proposed. The HSIs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essential data for performing river project evaluations.

Estimation of ecological flow rate for Zacco platypus based on habitat suitability index considering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확률밀도함수를 고려한 서식처 적합도 지수에 의한 피라미 생태유량 산정)

  • Jang, Kyeung Ho;Park, Young Ki;Kang, Jae Il;Kim, Min Hw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1 no.3
    • /
    • pp.207-219
    • /
    • 2018
  • In this study, the ecological flow rate of the Zacco playtypus habitat was simulated based on the Instream Flow Incremental Methodology (IFIM) in reachs of urban and natural stream using the habitat suitability index (HSI) of th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PDF). To apply this method, PHABSIM model was used in this study. However, in this study, the HSI of th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was developed by adjusting the parameters of the PDF based on Kang (2010) HSI. As a result, the normal distribution is closest to the ecological flow rate of the Kang (2010) in the urban stream. However, the two-parameter log-pearson distribution tended to be the closest in the natural stream. The ecological flow rate was simulated by the HSI and the reach of stream with the PDF. Based on the comparison of simulation results, we propose an ecological flow rate estimation method using probabilistic method.

A study for construction of habitat suitability curves for benthic macro-invertebrates based on habitat oriented groups (서식기능군에 의거한 저서성 대형무척추 동물의 서식처 적합도 지수 산정에 대한 연구)

  • Kim, Seung Ki;Cho, Su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90-90
    • /
    • 2017
  • 물리서식처 분석 하천에서 유량에 따른 수심, 유속, 기층 등의 물리서식처 조건의 변화가 서식처 적합도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모의를 통하여 분석하는 방법이다. 기존 물리서식처 분석은 어류를 중심으로 수생태계 평가 및 생태유량산정 등의 다양한 하천관리 문제에 적용되었다. 어류의 경우 수생태계의 최상위 포식자이며 상대적으로 모니터링하기에 용이하고 수생태계에 빠르게 반응하고 이동 및 이주가 단기간에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업 및 레크리에이션으로의 활용도가 높기 때문에 사회적인 이목이 어류로 집중되었다. 따라서 많은 연구들이 어류를 중심으로 물리서식처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저서무척추 동물에 대한 분석은 미흡한 실정이다. 저서무척추 동물은 어류의 중요한 먹이원이자 수생태계의 건강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되고 있으므로, 수생태계의 통합 및 먹이사슬의 보존을 위하여 저서무척추 동물에 대한 물리서식처 평가는 중요하다. 이 연구의 목표는 하천에서의 저서무척추동물의 군집을 평가할 수 있는 서식처모형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저서무척추 동물을 서식기능군에 근거한 기는무리, 붙는무리, 헤엄치는 무리, 굴파는 무리로 분류하여 서식처 적합도 지수를 제하고 보철거 사례에 적용하여 모형의 검증성을 확인하였다.

  • PDF

Evaluation on Replacement Habitat of Two Endangered Species, Aster altaicus var. uchiyamae and Polygonatum stenophyllum Using Habitat Suitability Index (서식지 적합 지수를 이용한 멸종위기식물 단양쑥부쟁이와 층층둥굴레의 대체서식지 평가)

  • Lee, Bo Eun;Kim, Jungwook;Kim, Nam-Il;Kim, Jae Geu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9 no.4
    • /
    • pp.433-442
    • /
    • 2017
  • As a result of the Four-River Restoration Project in Korea, the habitat of endangered plant species of Aster altaicus var. uchiyamae and Polygonatum stenophyllum, which had been natively grown in the riparian zone of Namhan River, was destroyed and artificial replacement habitats were created. In this study, Habitat Suitability Index (HSI) wa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replacement habitats are suitable for each species or not. From October 2015 to July 2016, Habitat Evaluate Procedures (HEP) were conducted on two replacement habitats of A. altaicus var. uchiyamae (Gangcheonsum and Sum-River) and on two replacement habitats of P. stenophyllum (Gangcheonsum and Youngjuk) in the Namhan River watershed. As evaluation parameters for A. altaicus var. uchiyamae habitat, habitat matrix (ratio of unburied gravel), height above the ordinary water level, soil nutrients, and light conditions were selected and for P. stenophyllum habitat, soil texture, light conditions, and coverage of companion species were selected. HSI was applied to evaluate the suitability of each replacement habita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evaluation, replacement habitats of A. altaicus var. uchiyamae and P. stenophyllum located in Gangcheonsum have relatively high HSI values as 0.839 and 0.846,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replacement habitats of A. altaicus var. uchiyamae in Sum-River and P. stenophyllum in Youngjuk zone have HSI value of 0, indicating unsuitable habitats for these species. This is the first attempt to apply HSI for plant species in Korea and proved the usefulness of HSI on plants.

Computation of composite suitability index for fish and macroinvertebrate species in the Gongneung River (공릉천에서의 어류와 저서무척추 동물에 대한 복합 서식처 적합도 지수의 계산)

  • Kim, Seung Ki;Choi, Sung-Uk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4 no.2
    • /
    • pp.105-114
    • /
    • 2017
  • This study performed physical habitat simulation for fish and macroinvertebrate species in the Gongneung River. Target fishes were selected as Rhinogobius brunneus and Zacco platypus. Target macroinvertebrate species were selected as Hydropsyche kozhantschikovi and Chironomidae. Habitat suitability curves were constructed by using monitoring data from the monitoring project which is called "the survey and evaluation of aquatic ecosystem health". For calculation of CSI, weighted mean method was used. For macroinvertebrates species, the weighting factor derived from analytic hierarchy method was considered. River2D, which is capable to simulate flow in two-dimensional space, was selected for flow computation. Composite suitability index was simulated for target fish and macroinvertebrate species for discharge of drought, low, normal, and averaged-wet flow.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Chironomidae and Hydropsyche kozhantschikovi prefer the pool and riffle habitat, respectively. Rhinogobius brunneus and Zacco platypus show high suitability in riffle habit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