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서수

검색결과 698건 처리시간 0.026초

대나무추출액의 구강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Bamboo Extract Against Oral Microbes)

  • 정기옥;서수연;윤성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454-459
    • /
    • 2020
  • 구강질환의 주된 원인은 치면세균막 형성이며, 억제하는 방법의 하나로 화학제재로 된 구강세정제를 사용한다. 하지만 화학제재는 부작용이 발생할 염려가 있어 본 연구에서 천연물질인 대나무 추출물의 구강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대구에 소재한 대학교 학생으로 대조군, 실험군 각 15명씩을 선정 후 대조군은 증류수 양치액, 실험군은 대나무 추출물의 사용 전, 후의 구강병원성 미생물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s ver. 20.0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통계적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그룹간의 양치액 사용 후 병원성 미생물의 변화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Mann-Whitney test를 실시하였으며, 총 병원미생물수가 실험군은 -1.27±1.26, 대조군이 0.26±1.21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결과적으로 부작용이 적으면서 우수한 구강양치액의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약물 관련 정보를 이용한 약물 부작용 예측 (Prediction of Drug Side Effects Based on Drug-Related Information)

  • 서수경;이태건;윤영미
    •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21-28
    • /
    • 2019
  • 약물 부작용이란 질병의 예방, 진단 또는 치료에 사용된 약물로부터 발생한 유해하고 의도하지 않은 현상이다. 이러한 부작용은 환자를 죽음에 이르게 할 수 있으며, 약물 개발 실패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따라서, 다양한 방법들이 부작용을 알아내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스 바이올로지 접근법을 기반으로 기존 연구에서 주로 사용되었던 화학적 구조, 생물학적 정보 이외에도 다양한 표현형 정보를 사용하는 것에 주목하였다. 먼저, 5가지 적응증 데이터베이스, 화학적 구조, 타겟 유전자 정보를 수집하고 개별로 유사도를 계산하였다. 테이블은 하나의 약물-부작용에 대하여 앞서 생성된 유사도를 이용하여 생성되었고 다양한 기계학습 기법이 적용되었다. 결과는 AUC(Area Under the ROC Curve)값을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유의성은 비교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차량용 블랙박스 영상으로부터 색상과 에지정보의 조합에 기반한 차선모델 추출 (Lane Model Extraction Based on Combination of Color and Edge Information from Car Black-box Images)

  • 량한;서수영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11
    • /
    • 2021
  • 본 연구는 일련의 방법을 조합하여 차선의 라인모델을 추출하는 과정을 제안한다. 첫째로, 호모그래피(homography)에 기반한 영상와핑(warping)을 통하여 영상내에서 차선영역내에 존재하는 픽셀들을 검출하기 용이하도록 변환하는 것을 제안한다. 두 번째로, 에지검출과 HSL (Hue, Saturation, and Lightness) 변환을 이용하여 차선후보픽셀들을 안정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세 번째로, 선택영역을 활용하는 방법을 통하여 차선후보픽셀들 중에서 오류픽셀들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네 번째로, 차선픽셀들을 이차다항식 함수로 모델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양한 조명조건과 노이즈 하에서 취득한 차량용 블랙박스영상을 이용하였다. 실험결과는 제안한 방법은 색상이나 에지만을 기반으로 하는 방법들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비교적 저가의 컴퓨팅 환경하에서 다양한 조건의 영상에 대하여 프레임 당 약 0.6초 이내에 차선픽셀들을 추출하고 차선라인모델을 생성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전신체조를 병행한 입 체조 프로그램이 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n oral exercise program including whole-body exercises on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 정은서;서수연;이경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1-28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oral exercise programs with whole-body exercises on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Methods: Elderly individuals aged 65 years or older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Oral exercises with whole-body exercises were conduc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for 40 minutes, twice weekly, during 5 weeks from May to June 2021.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HIP-14, GOHAI), mental health, happiness, and social support of the elderly were explored both before and after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in the experimental group. A paired sample t-test was performed to check the changes in the factors investigated, both before and after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in the two groups. Results: The values of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ere compared in relation to the dependent variables, before and after the execution of the oral exercise program with the whole-body exercises. It was found tha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HIP-14 (p=0.163), GOHAI (p=0.156), and feelings of happiness in the elderly (p=0.280) were not evid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However,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emerged with regard to the mental health and provision of social support of the elderly (p<0.05).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the oral exercise program with whole-body exercises executed in this study we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mental health and social support of the elderly.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in oral health relating to quality of life and feelings of happiness. It is considered that these findings need to be verified by means of future long-term studies.

국내 이스포츠 선수들의 정서, 대인관계, 수면 특성에 대한 실태 조사: 프로 선수와 육성군 선수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Esports Athletes in Korea)

  • 이상하;장은희;김수진;김철학;서수연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133-146
    • /
    • 2021
  • 본 연구는 국내 이스포츠 선수들의 심리적 특성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스포츠 프로 선수 40명과 육성군 72명, 총 이스포츠 선수 112명을 대상으로 정서, 대인관계, 수면 영역에서의 심리적 특성을 조사하고 프로 선수와 육성군 선수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프로 선수들은 육성군 선수들보다 정서적 측면에서 사회적 갈등에 대한 반응성과 대인관계 측면에서 대인적 비수용성이 높게 조사되었다. 또한, 프로 선수들의 불면증 수준은 평균 11.6±5.5점으로 높은 편으로 조사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우울, 불안 수준이 높은 선수들을 위한 심리상담과 불면증 심각도 수준이 높은 선수들을 위한 수면개선 개입의 두 가지 방향에서의 심리지원을 진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헤테로토피아 관점에서 본 필립스탁의 공간표현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Philippe Starck from the Perspective of Heterotopia)

  • 서수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375-381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의 시대와 함께 코로나19라는 감염병의 시대를 힘겹게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의 시대적인 배경 속에서 헤테로토피아적 관점에서 본 필립스탁의 공간표현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은퇴 후 더욱 활발히 활동하는 2015년부터 현재까지 인테리어 공간의 완공작품을 중심으로 총 11곳을 선정하여 문헌 및 사례 연구를 통하여 공간표현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결과로는 공간만이 가지고 있는 서사성의 공간표현 특성이 가장 빈도가 높았으며, 장소를 표현하기 위한 시간의 중첩의 형태인 상상의 공간과 환상성의 특성이 상호연관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서사성과 환상성, 상상의 공간 특성을 사용하는 필립스탁의 디자인 방법은 헤테로토피아적 특성을 충분히 나타낸다고 볼 수 있으며 새로운 공간의 설계 시 또 다른 디자인 방법론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본다.

FRP 판으로 표면매립 전단보강된 철근콘크리트 T형 보의 전단성능 (Shear Capacity of the RC T Beams Strengthened for Shear with NSM FRP Strips)

  • 서수연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6권6호
    • /
    • pp.256-26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실험을 통하여 FRP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표면매립 전단보강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3개의 철근콘크리트 T형 보를 제작하고 이중 두 개의 보에 대해서 표면매립 보강방법으로 FRP를 전단보강한 뒤 실험을 통하여 보강효과를 규명하였다. 실험에서 두 가지의 전단보강방법을 고려하였는데, 첫째 충분한 매립길이를 가진 표면매립 (NSM) 보강, 둘째 다소 짧은 표면매립길이를 가지지만 추가의 표면부착 (EB) 보강을 한 경우이다. 연구결과, FRP strip을 이용한 표면매립길이를 플랜지 하부까지 길게 확보할 경우에는 충분한 전단보강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충분한 매립길이가 확보되지 않은 경우에는 FRP sheet로 추가 보강하더라도 전단보강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욕기 산모의 부종감각과 Inbody 부종지수, 출산 전후 체중변화의 상관성 분석 (Correlation Analysis of Edema Sensation in Postpartum Mothers, Inbody Edema Index, and Weight Change before and after Childbirth)

  • 김영은;김안나;서수민;김평화;손미주;이은희;장현철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1
    • /
    • 2022
  • Objectives: Management of the postpartum period is important for the health of mothers, and postpartum edema is one of the management targets.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 measured by the device and the postpartum edema sensation was examined to explain the subjective sensation of the mother as an objective value. Methods: Data from 54 cases provided by 24 mothers within 6 weeks postpartum were used in the study. The degree of postpartum edema sensation was measured using a visual analog scale (VAS), and the effect of VAS changes on the body edema index and weight change before and after childbirth was estimated through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when the edema sensation of the mothers VAS increased by 1 point, the Inbody edema index increased by 0.002 points (p=0.000, R2=0.272), and when the VAS increased by 1 point, the weight gain increased by 0.99 kg compared to before pregnancy (p=0.000, R2=0.243), and when VAS increased by 1 point, weight loss decreased by 0.56 kg compared to just before childbirth (p=0.004, R2=0.136).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which the edema sensation of postpartum moth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edema index and weight change before and after childbirth, showed that the edema sensation complained by the mother could be used as an evaluation index for postpartum edema management in the future.

사용자 리뷰 분석을 통한 제품 요구품질 도출 방법론 (Methodology for Deriving Required Quality of Product Using Analysis of Customer Reviews)

  • 유예린;변정은;배국진;서수민;김윤하;김남규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30권2호
    • /
    • pp.1-18
    • /
    • 2023
  • Recently, as technology development has accelerated and product life cycles have been shortened, it is necessary to derive key product features from customers in the R&D planning and evaluation stage. More companies want differentiated competitiveness by providing consumer-tailored products based on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o achieve this, the need to correctly grasp the required quality, which is a requirement of consumers, is increasing. However, the existing methods are centered on suppliers or domain experts, so there is a gap from the actual perspective of consumers. In other words, product attributes were defined by suppliers or field experts, but this may not consider consumers' actual perspective. Accordingly, the demand for deriving the product's main attributes through reviews containing consumers' perspectives has recently increased. Therefore, we propose a review data analysis-based required quality methodology containing customer requirements. Specifically, a pre-training language model with a good understanding of Korean reviews was established, consumer intent was correctly identified, and key contents were extracted from the review through a combination of KeyBERT and topic modeling to derive the required quality for each product. RevBERT, a Korean review domain-specific pre-training language model, was established through further pre-training. By comparing the existing pre-training language model KcBERT, we confirmed that RevBERT had a deeper understanding of customer reviews. In addition, all processes other than that of selecting the required quality were linked to the automation process, resulting in the automation of deriving the required quality based on data.

연구데이터 관점에서 본 거대언어모델 품질 평가 기준 제언 (A Proposal of Evaluation of Large Language Models Built Based on Research Data)

  • 한나은;서수정;엄정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77-98
    • /
    • 2023
  • 본 연구는 지금까지 제안된 거대언어모델 가운데 LLaMA 및 LLaMA 기반 모델과 같이 연구데이터를 주요 사전학습데이터로 활용한 모델의 데이터 품질에 중점을 두어 현재의 평가 기준을 분석하고 연구데이터의 관점에서 품질 평가 기준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데이터 품질 평가 요인 중 유효성, 기능성, 신뢰성을 중심으로 품질 평가를 논의하였으며, 거대언어모델의 특성 및 한계점을 이해하기 위해 LLaMA, Alpaca, Vicuna, ChatGPT 모델을 비교하였다. 현재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거대언어모델의 평가 기준을 분석하기 위해 Holistic Evaluation for Language Models를 중심으로 평가 기준을 살펴본 후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연구데이터를 주요 사전학습데이터로 활용한 거대언어모델을 대상으로 한 품질 평가 기준을 제시하고 추후 개발 방향을 논의하였으며, 이는 거대언어모델의 발전 방향을 위한 지식 기반을 제공하는데 의의를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