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서비스 플랫폼

Search Result 3,237,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The Configuration of Web Services in LBS Platform (LBS 플랫폼에서의 Web Services 구성 방법)

  • Min, Kyoung-Wook;Park, J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689-692
    • /
    • 2003
  • 무선 인터넷 기술의 발달과 응용의 확산으로 인하여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형태는 아주 다양하여 지고 있으며, LBS(Location-Based Services)라는 형태로 국내외 시장에서 급속히 확장하고 있다. LBS 플랫폼은 이러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 요소이며, 위치 정보 제공 게이트웨이, 위치 응용 서버, 핵심 기능 제공 서버 등과의 상호 운용을 지원해야 하며, 개인 및 서비스에 대한 프로파일 관리, 과금 처리, 이동체 트리거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즉, 모든 위치기반 서비스를 수행하려고 하는 개인 혹은 응용 서비스 제공자들은 이러한 LBS 플랫폼을 거쳐, 위치 및 다양한 핵심 기능의 조합 형태인 서비스를 제공 받게 된다. 표준화된 소프트웨어 기술인 웹서비스는 LBS 플랫폼과 타 시스템(솔루션, 핵심 기능 제공 서버, 위치 정보 제공 서버 등)과의 인터페이싱을 가능하게 하는 표준 인프라이다. LBS 플랫폼 웽 서비스는, 솔루션 서버에서 요청하는 서비스에 대한 과금 처리를 위한 자체 과금 비즈니스 모델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과금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면서 타 시스템과의 상호 운용은 여러 가지 형태로의 구성이 가능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LBS 플랫폼이 상호 운용하는 주요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싱을 위한 웹 서비스 구성 방법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uthing Service of Platform: Tradeoff between Information Security and Convenience (플랫폼의 소셜로그인 서비스(Authing Service): 보안과 편의 사이의 적절성)

  • Eun Sol Yoo;Byung Cho Kim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20 no.1
    • /
    • pp.137-158
    • /
    • 2018
  • Online platforms recently expanded their connectivity through an authing service. The growth of authing services enabled consumers to enjoy easy log in access without exerting extra effort. However, multiple points of access increases the security vulnerability of platform ecosystems. Despite the importance of balancing authing service and security, only a few studies examined platform connectivity. This study examines the optimal level of authing service of a platform and how authing strategies impact participants in a platform ecosystem. We used a game-theoretic approach to analyze security problems associated with authing services provided by online platforms for consumers and other linked platform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decreased expected loss of consumers will increase the number of players who participate in the platform; 2) linked platforms offer strong benefits from consumers involved in an authing service; 3) the main platform will increase its effort level, which includes security cost and checking of linked platform's security if the expected loss of the consumers is low. Our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convenience and security risk and provides guidelines on authing strategies to platform managers.

ICT기반 스마트에너지 인프라 플랫폼 연구

  • An, Yun-Yeong;Park, Chang-Mi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0 no.7
    • /
    • pp.58-62
    • /
    • 2013
  • 최근에 ICT 기반의 융합 서비스 분야로 인구 밀집지역인 메가 시티에서의 교통, 전력, 상/하수도, u-헬스, 안전/보안등의 문제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ICT기반 개방형 플랫폼을 이용한 서비스 인프라 구축 및 개선을 위한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ICT 기반의 융합 인프라 구축 서비스들은 M2M(Machine to Machine)과 D2D(Device to Device)를 기본 연결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들을 기반으로 서비스 정보 전달 및 제어 정보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한 IP 기반의 플랫폼이 지원되어야만 융합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제공 가능할 것이다. 이들 융합서비스 중에서 전력과 관련하여 한국의 스마트그리드 사업은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하여CO2 배출을 줄이고, 에너지 효율을 향상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 일자리와 신산업을 창출하기 위한 국가 프로젝트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현재의 전력관련 국내 상황을 살펴보면 여름철과 겨울철에 반복적인 전력 수급 불안으로 인해 피크 전력에 대한 예비력이 부족하여 국가적인 재난인 블랙 아웃의 위기를 걱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한국의 스마트그리드 제주실증단지 사업과 관련하여 현황 및 개선 사항들을 알아보고, 향후 거점지구와 국가 단위의 서비스 확장을 위하여ICT 기반의 개방형 인프라 플랫폼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이러한 M2M과 D2D를 기반으로 하는 융합 서비스의 성공적인 수행은ICT 기반의 개방형 플랫폼의 우선적인 개발이 필요하며, 플랫폼 기반의 디바이스 보급과 네트워크의 구축이 진행되어야 지속 가능한 융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OntoFrame-K: Semantic Web-based Information Dissemination Pinworm for Collaboration Support Service between Researchers (OntoFrame-K: 연구자 간 협업지원 서비스를 위한 시멘틱 웹 기반 정보 유통 플랫폼)

  • Jung Han-Min;Lee Mi-Kyoung;Sung Won-Kyung;Park Bong-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b
    • /
    • pp.100-102
    • /
    • 2006
  • 연구자 간 협업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 유통 플랫폼은 통제 가능한 검증된 정보의 유통을 보장하여야 한다. 그렇지만, 기존의 정보 유통 관련 연구들은 어떠한 유형의 정보를 유통시킬 것인가, 또는 어떤 명세로 플랫폼을 설계 할 것인가에만 국한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정보 유통 연구들이나 P2P 시스템들에서 다루지 못한 정보 검증과 추적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연구자들을 위한 추론 서비스 제공까지도 가능한 플랫폼의 설계와 구현을 기술한다. 본 정보 유통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연구자들의 자발적 정보 교류를 지원하는 정보 유통 서비스와 단순 정보 검색이나 질의 응답으로 제공하기 힘든 지식 서비스로 구성된다. 지식 서비스는 다시 온톨로지를 이용한 지식화 과정과 시멘틱 웹 기반 추론 엔진을 이용한 추론 서비스로 나누어진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시멘틱 웹 기반 시스템들이 보여주지 못한 동적인 지식 추가와 이를 반영한 추론 과정을 연구자 간 협업 지원 서비스 시나리오에 맞추어 구현하였다. 국가 R&D기반 정보 모델링을 위해 온톨로지를 구축하였으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내부 성과 정보 2,300여 건으로부터 얻어진 37,656 RDF Triple들을 이용하여 연구자 네트워크, 연구자 추적, 연구 맵 등 세 가지 추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적인 시멘틱 웹기반 정보 유통 플랫폼의 실현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데 그 중요성이 있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metaverse platform in the field of academic information service (학술정보서비스 영역에서의 메타버스 플랫폼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 Shin, Jaemin;Han, Sangjun;Park, Ju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11a
    • /
    • pp.634-635
    • /
    • 2022
  • COVID-19의 확산과 급속한 디지털 전환으로 인해 비대면으로 소통하고 정보를 교류하는 메타버스 플랫폼이 최근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새로운 플랫폼의 등장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게임이나 상용 시스템 위주로 적용되고 있으며 학술정보서비스 영역에서의 적용은 요원한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의 적용 형태와 지향범위에 따른 메타버스의 '증강현실, 일상기록, 미러월드, 가상세계' 등의 4가지 유형과 메타버스 플랫폼 주요 현황을 살펴보고, KISTI에서 제공하고 있는 과학기술지식인프라 통합서비스 ScienceON과 연계하여 디지털 연구환경 조성과 개방형 협업연구 활동을 지원하는 메타버스 플랫폼 키온버스의 제공서비스 유형과 주요 기능 등 학술정보서비스 영역에서의 메타버스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학술정보서비스에 적용된 메타버스 플랫폼의 사례로서 향후 메타버스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2nd Screen Service Technology of KBS - TVut Platform (KBS 세컨드스크린 서비스 기술 - 티벗 플랫폼)

  • Lee, Jaeho;Choi, Daehoon;Lee, Dongjune;Kim, Kye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4.06a
    • /
    • pp.15-17
    • /
    • 2014
  • 인터넷 미디어 기술이 발달하고 개인형 스마트기기(스마트폰, 태블릿PC 등)가 확대 보급됨에 따라 TV 시청행태가 변하고 있다. TV를 시청하면서 개인형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타매체를 동시 이용하는 시청행태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시청행태에 대응하여 세컨드스크린 서비스 기술이 주목 받고 있다. KBS는 콘텐츠 사업자 친화적인 세컨드스크린 서비스 기술에 대해 연구하고 TV 친구라는 의미의 세컨드스크린 서비스 플랫폼인 티벗(TVUT) 플랫폼을 개발하였다. 티벗 플랫폼은 이용자 증가에 따른 시스템 확장성과 서비스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플랫폼으로 구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방송 콘텐츠 관련 부가정보를 쉽게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과 서비스 기술을 제시한다.

  • PDF

The Current Status of S/W Platform for Advanced Embedded Systems (차세대 임베디드 시스템을 위한 소프트웨어 플랫폼 현황 및 동향)

  • Kim, J.M.;Park, T.J.;Yang, M.S.;Kwon, K.K.;LIm, D.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1 no.1 s.97
    • /
    • pp.57-67
    • /
    • 2006
  • 차세대 임베디드 시스템은 언제 어디에서나 통신, 방송 등의 통신 인프라를 통해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편리하고 안전하게 제공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IT 장치를 말하며, 이러한 장치상에 탑재되어 서비스 제공자, 콘텐츠제공자, 인프라 운영자, 서비스 개발자, 단말 개발자 등의 단말 사용자에게 개방형 서비스를 가능케 하는 프레임워크가 차세대 임베디드 시스템을 위한 소프트웨어 플랫폼이다. 대표적으로 차량을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텔레매틱스 단말, 개인의 휴대성을 지향하는 스마트폰, 멀티미디어 정보를 개인화하는 PMP 및 홈네트워크연동을 통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정용 지능형 로봇 등이 있다. 본 고에서는 상기 단말에 대한 소개를 통해 개념을 살펴보고,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제공 요소에 대해 언급하고, 소프트웨어플랫폼의 현황과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관련 단말의 시장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차세대임베디드 소프트웨어 플랫폼 기술이 나야가야 할 방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High Quality VoD Service Platform (고품질 VoD 서비스 플랫폼)

  • Lee Sang-Youn;Kim Jin-Han;Kim Sang-Taek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08a
    • /
    • pp.115-116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광대역 인터넷 이용자를 위한 고품질 VoD(Video on Demand) 서비스 네트워크와 플랫폼 구조를 제시하였다. 현재의 IP 기반 네트워크는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대역폭을 보장하지 못한다. 따라서 고품질의 VoD 서비스를 위해서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이 필수적이며 여기서는 지역 서버기반의 네트워크 구조를 제시하고 플랫폼을 구축하였다. 지역서버는 트래픽과 지역성을 고려하여 구축되었으며 이용자는 서비스 이용시 대역폭이 가장 잘 보장될 수 있는 지역 서버로 연결된다. 네트워크의 균형적인 트래픽 제어 및 고품질 서비스를 위하여 트래픽 양을 예측하고 이에 기반한 플랫폼을 구축하였다. 현재 이 플랫폼을 기반으로 KT 광대역 인터넷 이용자를 위한 VoD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 PDF

Development of ASP-Business Support Platform based on SOA (SOA 기반 ASP비즈니스 지원플랫폼 개발)

  • Han, Eun-Young;Jeon, Un-Bae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5a
    • /
    • pp.203-209
    • /
    • 2007
  • 그동안 많은 솔루션 벤더들이 다양한 이기종 시스템들의 느슨한 연결 및 유연한 서비스 중개, 용이한 확장성까지 두루 갖춘 통합된 비즈니스 지원플랫폼 모델을 제시해 왔다. 최근 표준 웹서비스 기술과 SOA(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개념이 확산되면서, 이를 ASP비즈니스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통합 및 비즈니스 프로세스 통합에 적용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KT는 현재 상용서비스 중인 ASP비즈니스 'bizmeka' 의 현황을 분석하고, 시장을 예측하여 다양한 경우의 비즈니스 프로세스들을 모듈화 및 웹서비스화한 후, 이를 메시지 라우팅 및 워크플로우 기능을 통해 실행하는 구조의 SOA 기반 ASP비즈니스 지원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ASP비즈니스 지원플랫폼 구축의 기반 기술로서 SOA 및 관련 기술에 대해 살펴보고, KT가 개발 중인 플랫폼의 개념과 모델, 설계 및 구현 내용 등을 소개한다.

  • PDF

A Study on the Design of Integrated U-City Management Platform (U-City 통합운영센터 플랫폼 설계에 관한 연구)

  • Kim, Nam-Gyu;JeKal, Young-Chan;Seo, Myung-Woo;Baik, Song-Hoon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5a
    • /
    • pp.463-466
    • /
    • 2009
  • U-City 운영의 중심 역할을 담당하는 통합운영센터는 유무선 통신망, 센서망을 연결하여 각종 센서 및 장치들을 수용하고, 다양한 정보를 통합적으로 수집 분석을 통하여, 각종 인프라 요소들을 지능적으로 관제 운영한다. 이와 같은 통합운영센터의 역할을 반영하고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를 수행하는 기반 플랫폼이 통합운영센터 플랫폼이다. 본 논문에서는 플랫폼이 가져야 할 기능을 세가지 영역(공통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운용관리 서비스, 플랫폼 게이트웨이 서비스)으로 구분한 참조 모델을 제시하고, 각 서비스 별 세부 기능을 정의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