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서비스 프로그램

검색결과 3,221건 처리시간 0.045초

경기도 노인복지관 특화 프로그램 평가: 서비스 이용자 관점을 중심으로 (Evaluation on the Specialized Quality Programs of the Senior Welfare Centers in Gyeonggi-do: Focusing on the Perspectives of the Service Users)

  • 지에릭승훈
    • 한국노년학
    • /
    • 제36권3호
    • /
    • pp.847-867
    • /
    • 2016
  •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의 프로그램이 서비스 이용 노인에게 유용한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부터 출발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노인복지관의 프로그램이 서비스 이용자 노인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는지 여부와 실제적으로 도움이 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다음 3가지의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노인복지관 서비스 이용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심층 인터뷰'와 노인복지관이 운영하고 있는 '특화 프로그램 분석', 그리고 노인복지 관련 '전문가 FGI'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점을 논의하여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권리에 기초한 서비스 이용자 중심의 노인복지관 프로그램 활성화이다. 둘째, 고품격 노인문화를 만들어내는 노인복지관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이 되어야 한다. 셋째, 지역사회와 연계된 노인복지관 프로그램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끝으로는 프로그램을 소통하는 네트워크 구축 거점센터로서의 역할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공공도서관 프로그램 운영 전략 (Approaches to Implementing Public Library Programs for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 정수인;이연옥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5-35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의 일상적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한 방안으로 공공도서관 프로그램에 주목하여 바람직한 운영 전략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22년도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 다문화서비스 지원기관 132개관의 다문화프로그램 326개 사례를 분석하여 현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결혼이주여성과의 면담을 통해 이들이 한국 사회에서 겪는 어려움과 도서관 프로그램에 대한 수요를 파악하였다. 또한 다문화서비스 담당 사서와 면담하여 프로그램의 운영 경험과 결혼이주여성 대상 다문화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결혼이주여성 대상 공공도서관 프로그램의 운영 전략을 1) 프로그램 내용, 2) 프로그램 운영 방식, 3) 인적 네트워크 형성과 인력 활용, 4) 타 기관과 협력을 중심으로 제안하였다.

웹 서비스 환경에서의 사용자중심 동적 e-비즈니스 응용 프로그램 통합 (eAI) 프레임웍

  • 한동수;고인영
    • 정보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30-40
    • /
    • 2004
  • 인터넷 및 웹 응용 서비스 프로그램의 확산은 기업의 비즈니스 환경을 급격하게 변화시키고 있다. 또한 기업들은 다양한 e-비즈니스의 창출을 통해서 보다 나은 고객 서비스의 제공과 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꾀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사항에 부합하며 제시된 기업 정보화 지원 솔루션 중 하나가 e-비즈니스 응용 프로그램 통합 (이하 eAI)이다. 기존에도 다양한 형태의 응용 프로그램 통합이 추구되었지만 대부분의 경우 기업 내부의 응용 프로그램들을 통합하는 수준이었다. eAI는 기존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와 B2Bi(Business-to-Business Integration)를 하나로 통합한 시스템으로, 통합 대상을 기업 내부에 머무르지 않고 기업 외부의 응용 프로그램까지 포함한다. 즉 eAI는 기업 내ㆍ외부의 상이한 플랫폼 상에 산재되어 있는 복수의 응용 프로그램 및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통합해 기업 정보화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을 지원하는 솔루션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분산객체그룹 프레임워크 확장 연구 (A Study on Extension of the Distributed Object Group Framework)

  • 신창선;임현선;임정택;주수종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정기총회
    • /
    • pp.773-77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연구 및 개발해온 분산객체그룹 프레임워크로부터 새로운 분산서비스들을 추가한 확장 분산객체그룹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확장 분산객체그룹 프레임워크는 기존 프레임워크의 구성요소들과 이들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들은 그대로 유지하고, 분산 프로그램 개발 툴(Distributed Programming Developing Tool, DPD-Tool), 모바일 프락시 및 컨텍스트 제공자 구성요소들을 새롭게 추가하였다. 각 구성요소의 제공 서비스를 살펴보면, DPD-Tool은 분산객체그룹 프레임워크의 지원을 받아 클라이언트, 서버 프로그램 개발자 및 분산응용 관리자 GUI를 통해 쉽고 편리하게 분산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도구이다. 모바일 프락시는 분산응용 서비스를 요청하는 이동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서비스 수행의 연속성을 지원한다. 그리고 컨텍스트 제공자는 하드웨어 기기 및 센서들로부터의 상황인식 및 추론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본 확장 프레임워크는 분산자원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속성정보를 통합 관리하기 위한 정보저장소 기술을 포함하며, 기존서비스 뿐만 아니라 새롭게 추가한 분산서비스들의 지원을 통해 분산응용의 수행성을 보장하도록 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분산서비스에 맞추어 상황별로 적응 지원이 가능하며, 분산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개발할 수 있는 도구를 함께 제공하고 있는 통합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 PDF

방송프로그램 내용과 연동된 검색 키워드를 활용하는 MHP 기반의 검색 데이터 서비스 (An MHP-based Searching Data Service using the Keywords based on the Content of a Broadcasting Program)

  • 고광일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19-24
    • /
    • 2012
  • 디지털방송의 데이터 서비스는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의 총아로 초기에 관련 산업계의 새로운 수익모델 창출의 기대를 받아왔지만 현재까지 대중적 인지도를 높일 킬러 서비스의 부재로 그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검색 엔진들이 발전함에 따라 현대인들의 지적 호기심을 충족시키는 가장 일반화된 활동으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는 인터넷 검색 활동은 방송프로그램 시청 중에도 활발히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시청자들 사이에 대중적인 데이터 서비스로 발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시청자들의 시청 행태에 적합한 데이터 서비스의 조건을 만족하고 방송프로그램의 내용을 기반으로 검색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MHP 기반의 검색 데이터 서비스를 제안한다. 본 검색 데이터 서비스는 검색 키워드 생성 단계와 검색 수행 단계를 나눔으로써 시청자들의 방송프로그램 시청을 최대한 저해하지 않도록 기획되었으며 방송프로그램의 시간구간 별 내용을 기반으로 검색 키워드들을 생성하도록 하여 방송프로그램과의 연동성을 최대화 하였다.

국내 양방향 방송 프로그램 유형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 Type of Interactive Broadcast Program in Korea)

  • 박진식;김성훈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209-215
    • /
    • 2019
  • 본 연구는 미디어분야 산업환경에서 양방향 서비스와 기술의 시장현황을 살펴봄으로써 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을 위한 발전적 제안에 목적이 있다. 국내 양방향 방송 콘텐츠 서비스분석을 통해 지상파와 채널사용사업자 그리고 통신사들의 서비스 유형에 따른 플랫폼과 서비스 유형분석을 통해 양방향 프로그램의 특성인 개방성, 대화형 개인맞춤, 입체형 특성을 확인함으로써 각 특성별 지원 기술과 서비스 진행사항을 통해 향후 사업자들의 중요한 융합적 소재에 대한 가능성과 발전방안에 대해 제언하고자 하였다. 지상파방송사업자 경우 양방향으로 ARS, 웹사이트나 모바일 앱이 대부분 제공되었고, 케이블 SO와 위성방송사업자들은 데이터 영역을 활용한 양방향 서비스 운영에 다양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내 양방향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유형은 전체적으로 융합적 형태의 수익모델 니즈가 있어 새로운 경쟁력 있는 양방향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환경으로 전환이 필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바이오뱅크 분야의 연구데이터 관리 및 서비스 동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ata management and service trends in the biobank)

  • 박미영;안인자;안경숙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7년도 제24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98-9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바이오뱅크(생명연구자원 소재은행)분야의 연구데이터 관리 및 서비스 동향을 고찰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바이오뱅크 분야의 연구데이터 관리 및 서비스와 관련하여 해외 선진 사례를 프로그램과 서비스 모델측면에서 조사하였다. 조사된 프로그램과 서비스 모델은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BIobank Data Sharing (MIABIS 2.0 Core), WDCM(World Data Center for Microorganism/Word Federation for Culture Collection)이다. 각각의 프로그램과 서비스 모델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국내 생명연구자원 바이오뱅크 분야의 연구데이터 관리 및 서비스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TV-Anytime을 이용한 멀티에이전트 기반의 개인화된 TV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Multi-agent based Personalized-TV Program Service System using TV-Anytime)

  • 하경휘;김건희;최진우;하성도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333-338
    • /
    • 2006
  • 최근 사용자에 대한 많은 정보를 얻는 것이 가능해지면서, 데이터마이닝 기법이나 Contents 추천 기법을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TV 프로그램 시청은 여가생활시간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하고 있다. 따라서, 보다 지능적인 TV 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대하여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TV-Anytime을 이용하여 개인화된 Electronic Program Guide (EPG)를 생성하고, 개인화된 EPG 정보를 활용하여 시청자에게 맞춤형 TV 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제시한다. 또한 시청자의 시청패턴과 TV 프로그램 선호도를 바탕으로 시청자가 원하는 프로그램을 추천하는 TV Program Recommender Agent와 방송 및 TV 프로그램에 대한 대화를 담당하는 TV Program Helper Agent, 시스템 조정 및 메시지 전달을 담당하는 Coordinator Agent로 이루어진 멀티에이전트 기반 시스템 구조를 제시한다.

  • PDF

MHP 기반의 시청자 선호 방송 프로그램 관리 데이터 서비스 (An MHP based Data Service for Managing Viewer's Favorite Broadcasting Programs)

  • 고광일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97-203
    • /
    • 2012
  • 디지털 방송 기술에 의해 방송 네트워크 사업자가 시청자들에게 수많은 방송프로그램을 송출할 수 있는 초다(超多) 채널 방송 환경이 열리게 되었는데 이런 환경은 시청자에게 다양하고 풍부한 시청 경험을 제공하는 동시에 복잡한 방송프로그램 편성에서 자신이 원하는 방송프로그램을 탐색해야 하는 어려움을 주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시청자의 시청 패턴 (선호하는 방송 채널, 방송프로그램 장르, 시청 시간대 등)을 분석하여 시청자가 채널을 변경할 때 특정 방송 채널 또는 방송프로그램을 우선적으로 추천해주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는데, 한 방송프로그램이 여러 방송 채널에서 재방송되고, 같은 장르의 방송프로그램들이 같은 시간대에 편성되고, 한 방송 채널에 다양한 장르의 방송프로그램이 방영되는 환경 때문에 시청자 입장에서 만족할 만한 추천 성능을 보여주지 못하고 오히려 채널 변경 기능의 불확실성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 에, 본 논문은 시청자가 시청 중인 방송프로그램을 바로 선호하는 방송프로그램을 등록하고 그 등록된 방송프로그램에 대해서 방송 스케줄 열람, 바로보기 (열람 시 방송 중일 때), 녹화 예약, 시청 예약 등의 관리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안한다. 이 서비스는 국제 데이터 서비스 표준인 MHP를 기반으로 하며 핵심 기능인 방송프로그램 구별과 탐색을 위해서 DVB-SI (Service Information)의 EIT (Event Information Table)를 활용하였다.

도서관장애인서비스 담당사서를 위한 계속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inuing Education & Training Program for the Disabled Users Service Special Librarian)

  • 김혜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73-197
    • /
    • 2015
  • 본 연구는 장애인서비스 전문사서 양성과 전문성 강화를 위한 장애인서비스 전문사서를 위한 계속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 담당자와의 인터뷰를 통하여 국립중앙도서관 사서교육문화과에서 수행한 장애인서비스 전문사서 계속교육 강좌를 조사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얻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장애인서비스 전문사서 역량강화를 위한 계속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였다. 제안되는 프로그램 모형은 Track 1, 2로 나누었으며, 교육 형태는 사이버형 교육, 집합형 교육, 그리고 혼합형 교육으로 편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