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서버 클러스터

Search Result 325,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Content-Based Web Server Cluster Scheme (컨텐츠를 기반으로 한 웹 서버 클러스터 기법)

  • 명원식;장태무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c
    • /
    • pp.319-321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서버의 운영체제에 의존적이지 않은 디스패처(Dispatcher)방식과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한 서버의 응답을 클라이언트와 직접 통신하는 직접 라우팅(Direct Routing) 방식을 혼합하고, 클러스터로 구성된 웹 서버들은 각각 서로 다른 컨텐츠를 가지고 클라이언트 요청에 해당 서버에서 응답하는 컨텐츠를 기반으로 한 웹 서버 클러스터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디스패처는 해당 디스패처에 관련된 서버들 간의 부하 분산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데 목적을 두지만, 제안한 컨텐츠를 기반으로 한 웹 서버 클러스터 기법은 부하 분산보다는 디스패처에 대한 오버헤드(Overhead)를 감소시키고 클라이언트의 서비스에 대한 응답시간(Response-time)을 최소화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서로 다른 컨텐츠로 구성되어 있는 서버들 중에 특정한 한 서버가 페일(Fail)이 발생했을 때 전체 컨텐츠로 구성되어 있는 또 하나의 서버를 가지고 페일 문제를 해결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컨텐츠를 기반으로 한 웹 서버 클러스터 기법을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에 적용시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서비스 요청과 이로 인만 디스패처의 오버헤드를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보다 빠르고 신뢰적인 서비스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Performance Analysis Supports for QoS on Linux Clustered VOD Server (QoS를 지원하기 위한 리눅스 클러스터 VOD 서버의 성능 분석)

  • 서동만;방철석;이좌형;김경길;정인범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d
    • /
    • pp.301-303
    • /
    • 2003
  • 비디오 서버는 제한된 자원을 이용하여 보다 많은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005(Quality of Service)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안정적인 QoS를 지원하기 위한 서버 진입 제어에 관한 연구를 클러스터 형태의 VOD 서버에서 수행하였다. 리눅스 환경에서 구축된 VOD 서버의 성능을 분산 저장 노드의 수와 일반 재생 및 고속 재생의 비율을 변화시키며 측정하였다. 측정한 결과를 토대로 클러스터 VOD 서버의 성능 제한의 원인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대책을 제안한다. 분석된 자료는 클러스터 VOD 서버에서 진입 제어의 기준을 결정하는 변수들로 사용되어 진다.

  • PDF

High Availability Web Server Cluster for Middle Web Sites (중소형 사이트를 위한 고가용성 웹 서버 클러스터)

  • 문종배;김명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634-636
    • /
    • 2002
  • 최근에 리눅스 가상 서버 프로젝트를 이용한 클러스터를 많이 구축하고 있다. 리눅스 가상 서버는 확장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성능도 뛰어나다. 그러나 하나의 전면 서버가 사용자 요청을 받아서 후면 서버가 처리를 하여 사용자에게 응답을 보내는 구조이므로 하나의 전면 서버는 사용자 요청의 급격한 증가로 병목현상을 일으킬 수 있고, 이 때문에 다수의 후면 서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비스를 할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전면 서버를 두어 병목현상을 근본적으로 없애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모든 클러스터 노드들은 전면 서버와 후면 서버의 역할을 모두 할 수 있도록 하였고 부하량이 많지 않으면 자기 노드에서 직접 처리를 하여 사용자에게 웅답할 수 있도록 하고, 부하량이 많을 때에만 클러스터의 다른 노드들 중 부하가 가장 작은 노드를 선택하여 사용자 요청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클러스터 노드들의 부하량을 고려한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좀 더 효율적인 부하 분배방식을 제안하였다.

  • PDF

Scheduling technique and Performance Evaluation in Linux Cluster Web Server (리눅스 클러스터 웹 서버에서 스케줄링 기법 성능비교 및 분석)

  • 이규한;이종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c
    • /
    • pp.835-837
    • /
    • 2001
  • 컴퓨터의 급속한 보급과 인터넷의 사용이 급증하면서 사용자에게 좀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고성능 웹서버가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리눅스 가상서버를 이용한 클러스터 웹 서버의 구축사례가 늘고 있다. 이는 기존의 단일 서버 시스템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지속적인 서비스를 할 수 있는 가용성과 서버의 수를 쉽게 늘릴 수 있는 확장성을 갖고 있다. 오픈소스인 리눅스와 여러 대의 저렴한 PC들을 이용하여 서버로 들어오는 부하를 분배서버가 여러 실제 서버에게 분산시킴으로써 웹 서버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서버의 가용성을 높이는 것이 클러스터 웹 서버의 목적이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서버에 들어오는 요청을 실제 서버들에게 분산시켜주는 스케줄링 알고리즘들을 알아보고 각각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적 스케줄링 알고리즘보다는 각 실제 서버의 부하를 고려한 알고리즘이 더 좋은 성능을 보인다는 것과 캐쉬 친화적 알고리즘이 캐쉬를 고려하지 않은 알고리즘 보다 더 좋은 성능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가장 중요한 결론으로는 알고리즘의 성능보다는 노드 개수 증가율이 클러스터 웹 서버 성능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High Availability Virtual Web Server Cluster Via IP Tunnel (IP Tunnel을 이용한 고가용성 가상 웹 서버 클러스터)

  • 문종배;김명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a
    • /
    • pp.727-729
    • /
    • 2001
  • 인터넷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많은 사용자의 요청이 있더라도 만족할 만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웹 서버가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최근 가상서버를 이용한 웹 서버 클러스터의 구축사례가 늘고 있다. 리눅스 운영체제와 값 싼 일반 PC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비용 부담이 덜하고, IP Tunneling과 Direct Routing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후면 서버가 사용자에게 직접 응답할 수 있으므로 전면 서버의 병목현상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한 대의 전면 서버로는 그 한계가 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전면 서버와 후면 서버의 구분을 없애고 모든 서버가 전면 서버와 후면 서버의 역할을 다 할 수 있는 웹 서버 클러스터를 제시한다. 다수의 전면 서버를 두어 전면 서버의 고가용성도 보장할 수 있고, 병목현상에 대해 좀 더 효율적인 대응을 할 수 있으며, 시스템 추가에 대한 손쉬운 확장성을 보장할 수 있다. 각 노드의 부하 정보에 의한 스케쥴링을 통해 좀 더 효율적인 클러스터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 PDF

Efficient Back-end Prefetching Scheme in Cluster-based Web Servers (클러스터 기반 웹 서버에서 실제 서버간 효율적인 선인출 기법)

  • 박선영;박도현;이준원;조정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a
    • /
    • pp.532-534
    • /
    • 2001
  • 인터넷 사용자가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웹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최근 연구되고 있는 클러스터 기반 웹 서버는 많은 웹 사용자 요구를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술로 소개되고 있다. 클러스터 기반 웹 서버는 여러 대의 서버 노드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서버 노드에 들어오는 사용자 요구에 관한 자료가 지역 메모리에 없는 경우, 디스크 접근이나 다른 서버 노드로부터의 자료 전송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클러스터 기반 웹 서버에서 서비스 지연을 감소시키기 위한 서버 노드간 자료 선인출 기법을 제안한다. 즉, 사용자 요구가 들어왔을 때, 다음에 요구될 데이터를 예측하고 각 서버의 지역 메모리에 필요한 자료를 미리 읽어 놓음으로 해서 서비스 지연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모의 실험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세 가지 알고리즘의 성능을 측정한 결과, 각 자료의 접근 확률(access probability)과 사용자 요구 사이의 지연 시간을 고려하는 선인출 알고리즘인 TAP$^2$(Time and Access Probability-based Prefetch) 방법이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다. 서비스 지연 시간은 각 서버 노드의 지역 메모리 크기를 작게 하였을 경우(8MB)에 약 20.1%정도 감소된다.

An Adaptive Server Clustering for Terminal Service in a Thin-Client Environment (씬 클라이언트 환경에서 터미널 서비스를 위한 적응적 서버 클러스터링)

  • 정윤재;곽후근;정규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a
    • /
    • pp.412-414
    • /
    • 2004
  • 수십 대의 PC들로 구성된 학교 PC 실 또는 교육 목적 PC 실에서는 컴퓨터들이 분산 구조로 되어 있어서 각 컴퓨터별로 셋업. 유지보수, 업그레이드가 각각 따로따로 수행된다. 이러한 분산 구조에 대한 대안으로 씬 클라이언트 컴퓨팅 환경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씬 클라이언트 컴퓨팅 환경에서, 클라이언트 쪽 장치는 사용자에게 친숙한 GUI 와 멀티미디어 지원과 함께 주로 IO 기능들을 제공하는 반면에 터미널 서버라 불리는 원격 서버들은 컴퓨팅 파워를 제공한다. 이 환경에서는 많은 클라이언트를 지원하기 위해서 터미널 서버들을 클러스터로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터미널 세션의 유지와 사용자의 다양한 컴퓨팅 사용 패턴 요인으로 부하 분산이 어렵고 결과적으로 터미널 서버 자원의 활용도가 낮아지는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일해 본 논문에서는 적응적 터미널 클러스터를 제안한다. 이 구조에서는 부하가 적은 그룹에 속한 터미널 서버가 부하가 큰 그룹으로 실시간에 동적으로 재 할당될 수 있다. 제안된 적응적 터미널 클러스터를 일반적인 터미널 클러스터와 그룹 기반 비적응적 터미널 클러스터와 비교하고 실험을 통해 제안된 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 PDF

The Application Deployment for Clustered E5O4 EJB Container System (클러스터드 EJB서버환경에서의 어플리케이션 배포 방법)

  • 노명찬;정승욱;서범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c
    • /
    • pp.394-396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고 가용성 및 신뢰성을 보장하는 클러스터드 EJB서버를 개발함에 있어 클러스터드 EJB서버환경에서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각 노드에 어플리케이션(웹 컴포넌트와 EJB 컴포넌트)을 배포하는 기능, 각 노드에 배포된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동기화를 지원하는 기능 및 클러스터드 환경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을 즉시 자동 배포하는 기능에 대해 논의한다.

  • PDF

Optimal number of spares for highly available(n,k) cluster systems based on waiting time performance (대기시간에 근거한 고가용도(n,k) 클러스터 시스템의 최적 여분 서버 수)

  • 박기진;김성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a
    • /
    • pp.541-543
    • /
    • 2001
  • 일정 수준의 시스템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서버를 클러스터로 연결하여 동시에 가동할 경우, 서버의 가동 대수가 증가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가용도 저하 문제를 해결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시스템의 성능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가용 성능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비용 효율적인 결함허용을 위해 n 대의 주서버가 k 대의 여분서버로 구성된 클러스터 시스템에서 대기시간을 일정 수준이하로 만족시키는 새로운 가용도 척도에 근거한 최적 여분 서버 수를 계산하였다.

High Speed Secure Session Technology for Web Server Cluster (웹 서버 클러스터 환경에서의 보안세션 고속화 기술)

  • Jin, Seung-Ui;Kim, Tae-Il;Lee, Hyeong-Ho
    • The KIPS Transactions:PartC
    • /
    • v.8C no.4
    • /
    • pp.379-388
    • /
    • 2001
  •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e-commerce)가 확산되면서 중소규모의 다중 서버를 클러스터화하여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행하는 네트웍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 이러한 웹서버 클러스터 환경의 요청을 위해서는 TCP정보나 요청되는 대상의 컨텐트(content) 정보를 이용하여 라우팅을 수행하는 라우터의 구현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TCP 라우팅이나 컨텐트 라우팅의 구현을 전적으로 소프트웨어에 의존하는 경우 전송속도의 저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는 기존의 TCP 커넥션 설정과 이 TCP 커넥션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이 라우팅을 고려하지 않은 가상의 점대점(point-to-point) 연결구조를 갖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보안세션 라우팅을 고속화시키기 위하여 TCP 커넥션 고속화를 기반으로 보안세션의 재사용성을 향상시키는 웹서버 클러스터 환경에 최적화된 디스패칭(dispatching) 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