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서명체계

Search Result 11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Critical Technology Element for Development of Smart Compensation System in Public Sector (공익사업 손실보상체계 스마트화를 위한 핵심기술요소 도출)

  • Seo, Myou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7a
    • /
    • pp.329-331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도로, 하천건설, 댐건설 등 공익사업 중에 발생하는 보상업무와 관련하여 보상민원을 감소시키고 투명한 보상체계 수립을 위해 첨단 ICT 기술을 활용한 선진화된 보상체계 개발에 필요한 12개의 핵심요소기술을 도출하였다. 핵심요소 기술도출을 위해 전문가 설문 및 면담 등을 통해 18개의 후보군을 도출하였으며 6개의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12개의 핵심요소기술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주요내용으로는 보상민원을 줄일 수 있는 다양한 의사결정 및 사전검토 기술, 보상물건 측정 및 계측 자동화 기술, 클라우드 기반의 표준화된 보상자료 관리시스템 개발, 보상 민원 처리 및 공개기술 등이 포함되었다. 본 논문에서 도출된 핵심요소기술을 기반으로 보상업무 체계를 개편할 경우 보상업무 스마트화 및 첨단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국내 공개키기반구조(PKI) 구축 현황

  • 이원철;이재일;이홍섭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29 no.3
    • /
    • pp.79-90
    • /
    • 2002
  • 1999년 7월 1일 전자서명법의 시행과 더불어 국내에서는 최상위인증기관(Root CA)인 한국정보보호진흥원을 중심으로 가입자에게 전자서명 인증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공개키기반구조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구축이 진행되어 왔다. 공개키기반구조는 인터넷상에서 거래당사자에게 직접 대면에 준하는 신원확인 및 문서의 위·변조 방지, 거래사실의 부인방지 등의 기능을 제공하여 주기 때문에 전자상거래를 위한 핵심기술로 분류된다. 본 고에서 국내 PKI 구축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현재까지 구축된 국내 PKI 체계 및 기술 현황을 기술하고 PKI 활성화를 위해 진행 중인 상호연동에 대해 알아본다. 또한 무선 인터넷환경에서 PKI 서비스를 위한 무선 PKI 기술·구축 현황에 대하여 기술한다.

  • PDF

BBS+ Signature Environment Simulation for User Privacy Protection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BBS+서명 기법 기반 시뮬레이션 환경구축)

  • Yoon, Tae-Yeon;Lee, Jong-R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05a
    • /
    • pp.217-220
    • /
    • 2022
  • 디지털 전환 시대를 맞아 일상생활 대부분이 온라인으로 이동하면서 온라인상에서 자신을 나타내는 신뢰할 수 있는 신분증의 필요성이 커지게 되었다. 신원 확인 방법은 중앙 집중식 모델에서 현재는 자기주권신원 모델로 변화하는 과정에 있으며 사용되는 핵심 기술은 탈중앙 식별자 DID(Decentralized Identifier)이다. DID는 기존 신원 체계와 달리 개인의 데이터 소유권을 개인에게 돌려줘 데이터 주권을 지킬 수 있게 해줌으로써 개인의 정보 공유 범위를 결정하는 SSI(Self Sovereign Identity)를 실현하는 기술이다. DID를 이용하면 데이터의 무결성, 투명성을 보장하는 자격 증명(Verifiable Credential, Verifiable Presentation) 발급이 가능하며 이를 검증하는 데이터는 모두 블록체인에 올라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서비스와 유사한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축하여 자격 증명의 사용자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방법인 BBS+서명 기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A Method of Facility Management based on BIM (BIM을 이용한 시설물 유지관리 방안)

  • Nah, Hei-Sook;Choi, Won-Sik;Kim, Nam-Gon;Moon, Hyoun-Seok;Seo, Myou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435-436
    • /
    • 2013
  • 최근 유지관리 단계에서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을 이용하여 시설물 유지관리 효율성과 성능개선을 도모하기 위한 연구들이 시작되고 있다. 현행의시설물 유지관리 업무에서는 준공도서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지 못하고 있으며, 유지관리 단계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체계 미흡, 자산관리 체계 미흡 등으로 효율성 측면에서 유지관리 운영의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시설물의 3차원 형상정보 관리체계와 능동적 의사결정 모델 등 BIM기술을 활용한 유지관리 방법론을 제시한다. 제시된 방법론의 핵심인 BIM모델을 활용함으로써 시설물의 유지관리 정보의 통합관리와 시설물 성능관리에 대한 효율적 의사결정을 지금보다 쉽게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Development Method of Civil BIM Deliverable Submission System (도로공사 기반의 BIM 성과품 납품체계 개발방안)

  • Seo, MyoungBae;Ju, KiBeom;Nah, Hei 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437-438
    • /
    • 2013
  • 최근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은 건설사업의 뜨거운 이슈로 부각되고 있으며 기존의 건설공사에서 2D로 관리되고있는 각종 성과물을 3D로 관리하면서 간섭검토, 에너지분석, 시공성검토 등 기존의 2D로 하기 어려웠던 다양한 의사결정 등을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다. 하지만 이렇게 다양하게 BIM이 활용되기 위해서는 활용목적에 맞는 성과품 및 산출물이 적절하게 만들어져야 하나 건축분야만 일부 제시되고 있을 뿐 토목분야는 사례를 찾아보기가 힘들다. 이에 국외 토목 BIM 발주사례와 국내 건축 BIM 관련 가이드, 현행 2D 기반의 성과품 납품체계 등을 조사하여 도로분야의 BIM성과품 납품체계 개발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The Design about Data Component for Develop of Infrastructure Asset Management System (공공시설 자산관리 체계 프레임워크 구성을 위한 데이터 구성요소 설계)

  • Myoung-Bae Seo;Seong-Yun 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590-592
    • /
    • 2008
  • 정부와 시설물유지관리 기관에서는 공공시설의 안전성 확보와 유지관리 업무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다양한 시설물유지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중에 있으나 대응적 유지보수 체계의 한계로 인하여 합리적인 예산수립을 위한 최적의 의사결정을 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유지관리의 효율성 증대 및 예산 절약을 위해 공공시설에 예방적 개념의 자산관리체계를 도입해야 한다는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자산관리는 시설물의 최적화된 관리를 위한 경영전략으로 시설물 상태에 대한 공학적, 해석적 분석을 넘어 대상물을 자산으로 인식·평가하고 가치유지 및 향상을 목표로 하며 동시에 사용자의 최대만족을 얻기 위한 전략이다. 국내에서는 이러한 시대적인 요구에 따라 자산관리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본 논문에서는 자산관리정보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해외 사례조사를 통해 시스템 핵심 기능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데이터 항목 분류방안을 제시하였다.

Hierarchical Security Mechanisms for Electronic Commerce (전자상거래의 계층적 정보보호 메커니즘)

  • 한근희;박영종;이봉근;소우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1998.12a
    • /
    • pp.303-314
    • /
    • 1998
  • 전자상거래는 인터넷과 같이 보안성이 취약한 개방형 통신망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거래 주체간에 발생하는 거래 정보의 보호를 위하여 기밀성, 무결성, 부인봉쇄 및 인증 등의 정보보호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암호 알고리듬 및 전자서명 등이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자상거래 절차를 분석하고 상거래 주체간에 발생하는 정보에 대한 위험요소를 주체별로 분석하여 정보보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보보호 메커니즘의 체계적 적용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n Efficient License Download Method with Anonymity for DRM System (DRM 시스템을 위한 익명성을 갖는 효율적인 라이센스 다운로드 방식)

  • 김소진;최재귀;김창수;박지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224-228
    • /
    • 2002
  • DRM(Distal Right Management)은 컨텐츠의 불법 사용을 방지하여 저작권을 보호하고, 컨턴츠의 생성·유통·사용 관리 등에 필요한 모든 처리를 지원하는 종합 솔루션이다. DRM 체계에서 사용자(customer)는 컨텐츠를 정당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클리어링하우스(clrearinghouse)로부터 라이센스를 발급받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라이센스(license)는 사용자의 공개키로 암호화된다. 그래서 사용자의 계산적 부담이 크다. 특히 무선 DRM 환경이라면, 사용자의 부담은 더 클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익명성을 갖는 제안 1회용 대리서명 기법과 Y.Zheng의 Singcryption 기법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계산량을 줄이고, 익명성을 갖는 효율적인 라이센스 다운로드 방식을 제안한다.

  • PDF

A Secure electronic Ommerce Model (안전한 전자상거래 모델)

  • 한근희;박영종;소우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42-48
    • /
    • 1998
  • 전자상거래는 기존의 상거래와는 달리 가상곤간에서의 거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통신망에서의 발생하는 거래 정보의 기밀성, 무결성이 보장되어야 하며 거래자 상호간의 인증이 해결되어야 한다. 현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암호화, 전자서명 및 인증기관 등을 사용하고 있다. 전자상거래의 정보보호는 네트워크 계층, 기반 서비스 계층 및 응용계층으로 구분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보호 위협요소를 분석하고 정보보호 서비스 및 메커니즘을 구성 계층에 체계적으로 적용한 안전한 전자상거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전자정부의 행정전자서명기반 구축현황 및 향후 발전방향

  • 박인재
    • Review of KIISC
    • /
    • v.13 no.3
    • /
    • pp.31-37
    • /
    • 2003
  • 전자정부 구현에 있어 온라인상에서 유통되는 각종 행정정보에 대한 정보보호는 필수적인 선결 조건이다. 미국 등 각국에서는 전자전부의 정보보호 기반 구축을 하여 가상행정을 환경에서 당사자의 신원 확인,기밀성,무결성,부인봉쇄 등을 보장하는 정부차원의 PKI(Public Key Infrastructure)를 구축.운영 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요 정보의 비밀성, 무결성 등을 보장하는 정부차원의 정보보호체계 구축을 위해 2000년부터 추진되고 있는 GPKI(Govermment Public Key Infrastructure) 구축 현황, 인증서비스 현황 및 향후 방향에 대하여 논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