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서남해안

Search Result 178,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Vulnerability Analyses of Wave Overtopping Inundation by Synthesized Typhoons with Sea-Level Rise (해수면 상승과 빈도 합성태풍이 고려된 월파범람 위험성 분석)

  • Kim, HyeonJeong;Suh, SeungW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31 no.5
    • /
    • pp.253-264
    • /
    • 2019
  • Storm surges caused by a typhoon occur during the summer season, when the sea-level is higher than the annual average due to steric effect.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sea-level pressure and tidal data collected in 1 h intervals at Incheon, Kunsan, Mokpo, Seogwipo stations on the Yellow Sea coast to analyze the summer season storm surge and wave overtopping. According to our analyses, the summer mean sea-level rise on the west and south coasts is approximately 20 cm and 15 to 20 cm higher than the annual mean sea-level rise. Changes in sea-level rise are closely related to changes in seasonal sea-level pressure, within the range of 1.58 to 1.73 cm/hPa. These correlated mechanisms generates a phase difference of one month or more. The 18.6 year long period tidal constituents indicate that in 2090, the amplitude of the $M_2$ basin peaks on the southwest coast.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analyze the target year for global warming and sea-level rise in 2090. Wave overtopping was simulated considering annual mean sea-level rise, summer sea level rise, the combined effect of nodal factor variation, and 100-year frequency storm surge. As a result, flooding by wave overtopping occurs in the area of Suyong Bay, Busan. In 2090, overtopping discharges are more than doubled than those in Marine City by the recent typhoon Chaba. Adequate coastal design is needed to prepare for flood vulnerability.

Persistence Analysis of Observed Metocean Data in the Southwest Coast in Korea (서남해안 연안 해양기상 관측자료의 지속시간 특성 분석)

  • Gi-Seop, Lee;Gyung-Sik, Seo;Hong-Yeon, C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34 no.6
    • /
    • pp.303-314
    • /
    • 2022
  • The persistence analysis of marine physical environment factors is a basic analysis that must precede the use of sea areas as an analysis required in the coastal engineering such as downtime and design. In this study, the persistence analysis was implemented for wind speed and significant wave height data from four observation points of Deokjeokdo, Oeyeondo, Geomundo, and Geojedo among the marine meteorological observation buoys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e persistence time means the consecutive time of observation data beyond specific level. The threshold wind speed and significant wave height were set in the range of 1~15 m/s and the range of 0.25~3.0 m, respectively. Then, the persistence time was extra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ersistence time of wind speed and significant wave height decreased rapidly as the reference value increased. The median persistence times under the maximum reference thresholds were assessed as a maximum of 5 hours for wind speed and a maximum of 8 hours for significant wave height. When the reference wind speed and significant wave height were 15 m/s and 3 m, respectively, the persistence time that could occur with a 1% probability were 52 and 56 hours. This study can be expanded to all coastal areas in Korea, and it is expected that various engineering applications by performing a persistence analysis of the metocean data.

경인 연안VTS 관제(예정)구역 항행 위해 요소 분석

  • Jeong, Cho-Yeong;Jeong, Jae-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209-211
    • /
    • 2013
  • 해양사고 예방에 대해 연안 해역이 취약함에 착안하여 서남해안을 중심으로 연안 해상교통관제서비스(연안VTS) 시스템이 설치되고 있다. 인천, 평택, 대산항이 밀집되어 있는 경인 지역은 복잡한 해안 구조와 교통량이 많아 허베이스피리트호 사건과 같이 대형 해양사고에 취약한 지역으로서 안전관리를 위해 경인 연안VTS가 2017년 개국될 예정이다. 관제서비스 제공의 품질을 향상하기 위하여, 경인 연안VTS 관제구역을 설정해 보고, 교통여건, 해상교통량, 해상교통흐름 및 해양사고 현황을 조사하여 항행 위해 요소를 분석해 보았다.

  • PDF

전통시기 동아시아의 해상환경(海上環境)과 항로(航路) 및 해상교류(海上交流)·활동(活動) 연구(硏究) -한반도(韓半島) 서남해안권(西南海岸圈) 여수지역(麗水地域)을 중심(中心)으로-

  • Song, Eun-Il
    • 중국학논총
    • /
    • no.63
    • /
    • pp.343-362
    • /
    • 2019
  • During the traditional periods when there were exchanges among Korea, China and Japan based on ocean currents or seasonal winds, the southwestern coastal areas including Yeosu held an important position since the route would not have been complete without them. Armed with its advantages including the marine environment, the Yeosu area in the southwestern coast on the Korean Peninsula engage in active maritime exchanges and activities as a base along the sea route since the Neolithic or Bronze Age. It was the same later when Baekje and Gaya had exchanges with China and Japan, when Unified Silla had exchanges with China, and when Goryeo had exchanges with China and Japan. In Joseon, the Yeosu area gained fame as a marine defense base. In short, the Yeosu area in the southwestern coast on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traditional periods not only engage in active maritime exchanges and activities, but also serve as an important base that could not be left out in the maritime history of East Asia.

난중일기에 기록된 안편도로 추정되는 섬에 대한 연구

  • Go, Gwang-Seop;Kim, Deuk-Bong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18.06a
    • /
    • pp.207-207
    • /
    • 2018
  • 본 연구는 난중일기의 기록 중 이순신 장군이 명량해전 이후 한반도 서남해안을 항해하면서 조선수군의 새로운 본영을 물색하고, 명량해전 이후의 조선수군의 전략을 구상하던 장소로서 전시 임시 전략지휘소로서 의미가 큰 안편도(발음도)의 현재의 지명으로 추정되는 섬들 중 팔금도를 대상으로 항해 과학적 관점에서 조명하고 분석한 내용이다. 분석 결과 이순신 장군과 그의 참모들이 올라가 주변을 조망한 위치로 추정되는 섬 중의 하나인 팔금도의 채일봉과 금당산에서 관측한 방향이 난중일기에 기록된 내용과 일치하지 않은 부분이 많음을 확인하였다.

  • PDF

부유식 브릿지형 수평축 조류발전 시스템 및 동향

  • Go, Jae-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5.08a
    • /
    • pp.87.1-87.1
    • /
    • 2015
  •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 보기 드문 조류발전의 적지이며, 특히 진도 울돌목, 장죽수도, 맹골수도, 완도 횡간수도 등 서남해안에 조류에너지 여건이 좋은 상태이다. 조류발전시스템은 물속에 잠겨서 동작하는 형태이므로, 대형 고정 설비가 요구되어 높은 부대비용 발생과 이상유무 발생시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를 위해 설비 및 설치비용을 줄이는 부유식 형태와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 설계를 적용한 실용적인 조류발전시스템 개발하며, 주요 적용처로 관심이 높아져 가는 에너지자립섬 적용을 목표로 섬내 전기 수요에 부합되는 15 kW급 조류발전을 공급하고자 하며, 이외 다양한 해양에너지를 활용한 에너지 자립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조피볼락(Sebates schlegeli) 혈장단백질의 전기영동상 특성

  • 윤종만;권혁추;최민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485-486
    • /
    • 2000
  • 우리나라의 서남해안에 서식하는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 은 계절성 번식을 하해산어로서 동물성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국민 식생활에 중대한 역할을 하고 있는 고급어종인 조피볼락의 우량종묘 생산 및 보급을 위하여 번식효율의 개선과 동시에 우수 개체를 친어로 선발 및 교배시키는 것이 무엇보다도 시급한 과제라 할 수 있다. 계절, 수온, 광주기, 광도, 서식처, 사료, 경쟁관계, 성별, 성숙단계, 수질 등의 생물 및 물리화학적 인자의 차이에 의해서 해산어의 형태적인 변이와 단백질 다형성이 나타나게 된다(Saunders and McKenzie, 1971; Somero and Soule, 1974; ), (중략)

  • PDF

Surface Chloride Content of Concrete in Domestic West and South Coast (국내 서남해안의 콘크리트 표면염화물량 산정에 관한 연구)

  • Cheong Haimoon;Ahn Tas-Song;Lee Byung-Duc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 /
    • 2005.05b
    • /
    • pp.173-176
    • /
    • 2005
  • Corrosion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in marine environme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echanism of deterioration. For estimate of service-life for chloride attack, it is necessary to get exact surface chloride content. This paper reports the results of estimate for surface chloride content in domestic west and south coast.

  • PDF

조류신호표지 설치 타당성에 관한 연구

  • Mun, Beom-Sik;Park, Jin-Su;Kim, D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10a
    • /
    • pp.329-331
    • /
    • 2015
  • 조류신호표지는 강한조류가 있는 항만입구나 항로페서 조류정보를 제공함으로 통항선박 안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우리나라는 서남해안은 일부지역에서 강한조류가 흘러 선박통항에 위험을 초래하고 이로인해 해양사고 위험성이 내포하고 있어, 선박통항의 안전을 위해 우리나라 연안에 조류신호표지 설치가 필요한 위치에 대한 타당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 PDF

화산지역내 용암수형의 유형과 분포에 관한 고찰

  • 김병우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61-66
    • /
    • 2001
  • 제주도는 한반도의 서남해상에 위치하며 제주도와 그 부속도서 및 추자군도로 이루어진 우리 나라에서 가장 큰 섬이다. 북으로는 목포와 약 88마일의 거리이고 부산과는 동북쪽으로 약 170마일의 거리이다. 제주도는 동서 최대길이 73km이며 남북의 최대길이는 41km로서 타원형이며 섬 전체가 용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라산은 1,950m로서 섬의 중심부에 우뚝 서 있다. 경사는 남쪽이 북쪽에 비해 비교적 급하고 평야는 서남 해안 쪽에 발달하였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