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서구인의 기록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 Review of Korean Population Geography Written by Westerners(1) : from the mid 1800s to the Great Han Empire (한반도 인구에 대한 서구의 기록과 연구물 고찰(1) -1800년대 중반부터 대한제국기까지-)

  • Lee, Chung Sup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2 no.4
    • /
    • pp.761-773
    • /
    • 2016
  • This study reviews Korean population geographic documents and description by Westerners, from the mid 1800s to the Great Han Empire.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 search and find about 20 literatures including the population contents. Second I trace their narration related Korean population, and confirm the key themes; the total population in national and local scale, distribution, density and migration. Finally I try to interpret the Westerners' recognition and perspective on Korean through their representing and depicting the Korean population.

  • PDF

A Study on the Formation of the Early Soviet Archival System: With the Incarnation of the Kalachov's Archival Theories (소비에트 초기 기록관리제도 형성과정 연구 - 칼라초프 개혁이론의 정책화과정을 중심으로 -)

  • Joo, Eun-S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7 no.2
    • /
    • pp.95-111
    • /
    • 2007
  •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process of formation of the Early Soviet Archival System with a focus on the incarnation of the Tsar Russian System and Theories. Most of the western researchers take the uniqueness of the Soviet Archival System for granted and regard it as a Soviet Invention. However in this paper, researcher tries to find the archaic form of the Soviet system in the Kalachov's archival theories in the late 19th century. In the main body of this paper, researcher tries to reveal the whole feature of the Kalachov's theories, then, compares them with the Soviet System including 'Glavarkhiv.'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Prostate Cancer (비만과 전립선암의 연관성 분석)

  • Yoon, Chang-Jun;Moon, Ki-Hak;Park, Tong-Choon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v.22 no.2
    • /
    • pp.199-210
    • /
    • 2005
  • Background: The role of obesity in prostate cancer etiology remains controversial.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prostate cancer risk.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00 and June 2005, 286 patients suspected of having prostate cancer underwent prostate biopsy. The clinical records of the 286 study patient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with regard to age, Body Mass Index (BMI), serum PSA, TRUS, and prostate biopsy results. They were stratified by BMI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cutoffs recommended for Asian populations: normal, BMI less than 23 $kg/m^2$; overweight, BMI 23 to 25 $kg/m^2$; and obese, BMI greater than 25 $kg/m^2$. Results: As for BMIs, 132 (46.2%) were normal, 95 (33.2%) overweight and 59 (20.6%) were obese. A total of 99 (34.6%) patients were diagnosed as having prostate cancer. I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no significant association was observed between BMI and prostate cancer detection. Conclusion: We initially hypothesized that obesity may be biologically associated with increased prostate cancer development. However, our study did not show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BMI and prostate cancer.

  • PDF

Estimating a Causal Model of Job Satisfaction in a Korean Hospital

  • ;;Price, J. L.
    •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
    • v.5 no.1
    • /
    • pp.161-191
    • /
    • 1995
  • 본 논문은 서구의 이론을 바탕으로 개발된 직무만족도에 관한 인과모형을 한국의 병원근무자들을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직무만족도를 결정하는 인과적 요인들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모형의 종속변수는 직무만족도이고 독립변수로는 3개집단의 변수들로 크게 분류하여 선정되었는데 첫째, 사회적 변수들로써 직무의 자율성, 직무의 모호성, 직무 갈등, 직무의 양, 상사 및 동료와의 관계, 발전가능성, 직무의 단순성, 분배정의, 승진기회, 물리적 근무환경, 임금 등이며, 둘째, 심리적 변수들로써 기대 충족도, 근무의욕, 적극적 심성, 부정적 심성 등이고, 셋째, 환경적 변수들로써 외부 취업기회와 가족에 대한 책임 등이 사용되었다. 또한 독립변수들이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개인의 가치관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도 검증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대구에 위치한 750병상 규모의 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전직원을 대상으로 자기가 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879매가 회수되어 74.7%의 응답율을 기록하였다. 수집된 자료중 사용 가능한 836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선형구조관계분석(LISREL)과 다중회구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인과 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력을 가지는 변수들은 직무의 모호성, 직무의 모호성, 동료관계, 직무의 단순성, 분배정의(이상 시회적 변수), 기대의 총족도, 근무의욕, 적극적 심성, 부정적 심성(이상 심리적 변수), 외부 취업기회(환경적 변수) 등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의 가치관과 인구학적인 변수들은 직무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인과모형은 직무만족도의 변이를 75.4% 설명함으로서 기존의 다른 모형들 보다 높은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직무만족도의 인과모형은 한국의 조직에서도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보이며, 또한 직무만족도의 일반적 모형은 구조적 변수, 심리적 변수, 그리고 환경적 변수들을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모형이 타당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