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흡착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8초

사질토양에서의 PAC 함량에 따른 benzene의 흡착과 생분해 비교

  • 황인;김동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244-248
    • /
    • 2001
  • 사질 토양에서의 유기물 함량이 벤젠의 흡착과 생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양한 분말 활성탄(PAC)함량 조건에서 비평형 배치 실험을 실시하였다. 비평형 배치실험에서 벤젠의 흡착과 생분해를 비교하기 위하여 BTEX 화합물에 대한 분해능이 우수한 Pseudomonas aeruginosam의 유무에 따른 두 가지의 실험 조건을 설정하였다. 실험 결과 반응 시간 1일까지 빠른 흡착양상을 보였으며, 2일부터 20일 까지는 매우 느린 흡착 양상을 보였다. 활성탄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벤젠의 흡착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seudomonas aeruginosa가 첨가된 실험에서는 PAC 함량이 증가할수록 흡착은 증가하였으 나 bioavailability factor (B$_{f}$ ) 값이 감소하였다. 이는 bioavailability가 흡착에 의해 제한됨을 지시한다.

  • PDF

해양 갈조류인 톳의 고정화된 생물질에 의한 구리의 생흡착 (Biosorption of Copper by the Immobilized biomass of Barine Brown Algae(Phaeophyta) Hizikia fusiformis)

  • 이민규;박경태;감상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08-215
    • /
    • 1998
  • 제주도 근해에서 다량 채취되고 있는 해양갈조류인 톳의 살아있지 않은 건조한 생물질을 Ca-alginate법(Ca-ALG), Ba-alginate법(Ba-ALG), polyethylene glycol법(PEG), $\kappa$-carrageenan법(CARR) 등으로 고정화시켜 고정화방법에 따른 Cu의 흡착기능을 검토하였다. 생물질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Cu의 제거율은 증가하였으나 흡착량은 감소하였다. 그러나 초기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는 cu의 흡착량이 증가하였다. 고정화법에 따른 Cu의 흡착량은 Ca-ALG>Ba-ALG>PEG>CARR순으로 감소하엿다. 고정화된 생물질에 으한 Cu의 흡착은 Freundlich 흡착 등온식 보다는 Langmuir 흡착 등온식을 잘 따름을 알 수 있었다.

  • PDF

폐 생물자원을 이용한 $Cu^{2+},\;Ni^{2+},\;Pb^{2+}$의 제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moval of $Cu^{2+},\;Ni^{2+},\;Pb^{2+}$ by Using Waste Bio Resources)

  • 김희열;송주영;김종화
    •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5년도 추계정기총회 및 제26회 학술발표대회 고분자리싸이클링기술 특별심포지엄
    • /
    • pp.271-275
    • /
    • 2005
  • 수용액으로부터 중금속의 제거에 소나무수피, 배추, 게 껍질을 이용하였다. 흡착과 이온교환에 의한 중금속의 제거를 조사하기 위해서 시간, 초기농도변화, 흡착제량 변화에 따른 흡착 효율을 조사하고 각각의 실험마다 pH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배추가 가장 우수한 흡착력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 게 껍질이 우수한 흡착력을 보였다. 특이할 만 한 사항은 배추와 소나무수피의 흡착 실험시 pH는 감소하나 게 껍질의 경우에는 pH가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고도정수처리 공정에서 DOC 분획 특성 및 AOX(FP)와의 관계 (Fractionation of DOC and its Correlation to AOX(FP) in the Advanced ater Treatment Process)

  • 이병천;최경희;최자윤;이철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10호
    • /
    • pp.909-918
    • /
    • 2009
  • 급수시스템에서 박테리아 재성장의 영양원이 되는 DOC를 정수처리 공정에서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기 위하여 생분해와 흡착으로 구분하여 네 종류의 DOC로 분획하였고 각각의 제거특성을 연구하였다. 네 종류의 분획 DOC는 흡착성을 가지면서 생분해성이 없는 AnBDOC, 흡착성이 없고 생분해성만이 있는 nABDOC, 흡착과 생분해성을 동시에 나타내는 ABDOC, 흡착과 생분해가 되지 않는 nAnBDOC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낙동강 중류에 위치한 정수처리장 원수의 조사결과, ADOC가 BDOC보다 약간 높은 비율로 존재하고 있으며, 오존산화 후에는 분획 DOC 중에서 AnBDOC 농도가 가장 많이 제거되었으며, 제거율은 nAnBDOC가 49.5%로 가장 높았다. BAC 공정으로 제거된 분획 DOC 중에는 ADOC가 약 91%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흡착에 의한 제거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잔류하는 TDOC 0.50 mg/L 중에는 ADOC가 0.46 mg/L(67.7%)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배수관내 미생물 증식 및 소독부생성물의 생성 방지를 위하여 BAC 공정상에서 EBCT증가, 재생주기 등의 운전조건을 개선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수처리 공정에서 DOC분획 결과로부터 흡착이나 생분해 등으로 제거 가능량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정수처리 공정에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염소처리하는 정수처리 공정에서 DOC분획 농도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AOX의 분석결과, AOX 7.1 ${\mu}g$/L은 오존산화와 활성탄흡착 공정으로 0.51 ${\mu}g$/L까지 충분히 제거되었다.

망간단괴-Cd 상호작용에 대한 등온흡착식 적용 (Application of Adsorption Isotherms for Manganese Nodule-Cadmium Interaction)

  • 전영신;김진화;김동수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8권1호
    • /
    • pp.37-43
    • /
    • 1999
  • 본 연구는 망간단괴와 그로부터 유가금속을 침출한 잔사를 카드뮴 폐수의 흡착제로 이용하는 기초실험으로 초기 카드뮴 농도에 따른 흡착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를 Freundlich, Langmuir, Temkin 등온흡착식에 적용하여 각 흡착계를 설명하였다. 카드뮴 이온의 초기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흡착량은 증가하였으나 흡착성은 점차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를 Freundlich, Langmuir 식에 적용한 결과, 선형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Freundlich 식에서 흡착제의 흡착능력을 평가하는 k값은 망간단괴가 11.72로 제일 컸다. 망간단괴의 경우는 Langmuirtlr의 단분자층을 형성하여 흡착되는 흡착질의 최대흡착량인 $X_m$값또한 0.16으로 침출잔사, 잔사-생단괴 혼합, 활성탄에 비해 큼을 알 수 있었다.

  • PDF

Enterobacter intermedious KH410의 중금속 흡착 특성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 Biosorption by Enterobacter intermedious KH410)

  • 김영희;정영기;김광현;김병우;정경태;김병석;박지원;이동준;신현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21-427
    • /
    • 2003
  • 담수 식물 뿌리에 부착하는 미생물의 중금속 흡착력을 조사하기 위하여 Enterobacter intermedious KH410을 분리하여 이 균주에 대한 납과 카드뮴, 구리에 대한 생흡착 특성을 조사하였다. 각각의 중금속에 대한 최저 생육 저지 농도는 납은 1.78 mM, 카드뮴은 0.17 mM, 구리는 1.39 mM 이었다. 흡착에 이용하기 위한 최대 균체 생산은 최적 조건하에서 2.56 g DCW/ $\ell$-medium이었다. 최적 흡착조건은 0.6 g-biomass, pH 4, 온도는 $20^{\circ}C$일 때이었다. 흡착평형은 30분에서, 반응용액은 400 mg/$\ell$이었다. 흡착용량(K)은 구리가 카드뮴의 1.5배, 납은 카드뮴의 1.1배로 구리가 가장 높았으며 흡착강도(1/n)는 카드뮴>구리>납의 순 이었다. 흡착강도에 따른 등온식 적용은 세가지 중금속 모두 Freundlich 흡착등온식이 적합하였다. 건조 균체를 이용한 최대 흡착은 납과 카드뮴, 구리에 대하여 각각 56.2, 58.0, 55.8 mg/g-biomass 이었다. 흡착강도를 높이기 위한 전처리제로는 0.1 M NaOH가 적합하였으며 중금속 별로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중금속 회수를 위한 탈착 시험에서는 납은 0.1 M EDTA에서, 카드뮴과 구리는 0.1 M HNO$_3$에서 높은 탈착율을 나타내었다.

생흡착을 이용한 하수의 유기물, 질소, 인제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iosorption Process for Organic and Nutrient Removal from the Wastewater)

  • 김현갑;박주석;정형근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70-479
    • /
    • 2004
  • The experimental conditions and relationships between parameters such as organic matter, aeration volume, aeration time, and precipitation time for the effective treatment of domestic wastewater were investigated. With the batch systems, the adsorption amount of unit microbe was measured with the change of MLSS concentration, precipitation time, and aeration amount. Theoretical adsorption amount of microbes was then numerically formulated by use of a SPSS multiple analysis as follows: $$Y=-0.0106(X_1)+0.07310(X_2)+42.705(X_3)+62.700$$ In this study, the amount of organisms to be removed in the range of MLSS concentration 2,000~4,500 mg/l were examin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optimal condition of nitrification, the upper water in the biosorption stage was used as the initial experiment wate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N ratio was 1.5 and the reaction time for the optimal nitrification was 1.5 hr. When the adsorption efficiency for microbe biosorption was 66%, the optimum denitrification efficiency was 83.3%. When the optimum parameters obtained from the batch experiment were applied to the lab-scale operation, the total retention time from the flow-in to flow-out was 10 hours and the removal efficiency was 93.8% for $COD_{cr}$ and 80.9% for TN. For the full-scale operation, the total retention time was 9.0 hours and the removal efficiency was 94.4% for BOD, 89.6% for $COD_{cr}$, 88.0% for TN, and 86.2% for TP.

낮은 C/N 비에서 운영되는 SBR 유형의 Two-Sludge 공정의 질소 제거 특성 (Nitrogen Removal Characteristics in Two-Sludge System of SBR Type Using Sewage Wastewater of Low C/N Ratio)

  • 류홍덕;김학인;이상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7-1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도시하수를 이용하여 two-sludge 시스템방식의 SBR3 공정의 질소제거 효율 향상능을 평가하기 위해 기존 재래식 SBR 공정(SBR1) 및 분할주입(step-feeding)을 통해 탈질효율 향상을 도모한 SBR2 공정과의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다. 도시하수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 two-sludge 시스템 방식으로 질산화 반응이 별도의 반응조에서 진행되며(external nitrification), 질산화된 질산염은 생흡착된 유기물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탈질되는 SBR3 공정이 SBR1 및 SBR2 반응조에 비해 T-N 제거효율면에서 우수함이 관찰되었다. SBR3 공정과 SBR1 및 SBR2 공정의 T-N 제거효율 차이는 낮은 C/N 비에서 더 크게 관찰되었으며 이는 생흡착 기작을 이용하는 SBR3 공정이 SBR1 및 SBR2 공정에 비해 탈질시 유기물 이용을 효율적으로 함을 의미한다. SBR3 공정은 T-N 유입 부하율에 따른 T-N 제거효율 관계에서도 SBR1 및 SBR2 공정에 비해 성능이 우수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SBR3 공정이 SBR1 및 SBR2 공정에 비해 높은 T-N 부하율에서도 질소제거효율이 높은 원인은 SBR3 공정이 two-sludge 시스템 방식으로 운영됨에 따라 질화박테리아가 독립된 반응조에서 질산화를 수행하므로(external nitrification) 질산화 반응시 소요되는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Penicillium janthinellum 균체를 이용한 생물흡착에 의한 염료의 제거 (Removal of Dyes by the Biosorption Using Biomass of Penicillium janthinellum)

  • 이제혁;전억한
    • KSBB Journal
    • /
    • 제14권1호
    • /
    • pp.31-35
    • /
    • 1999
  • Penicillium janthinellum의 생균체와 변형 균체를 사용한 azo와 reactive계 염료의 생흡착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반응액의 pH가 초기 흡착율과 탈색에 영향을 주어, 최적 pH는 3.0이었으며, 최적 온도는 $40^{\circ}C$이었다. Reactive계 염료인 Apollocion Red 7EB와 Apollfix Red SF-3B와 Apollocion Red HE-3B는 각각 초기 흡착율이 0.06, 0.086, 0.07mg/g.mm이었다. Azo와 reactive 계 염료들을 함유한 혼합염료도Pen janthinellum 균체에 흡착되어 0.084mg/g.min의 초기 흡착율을 보였다. Detergent 첨가시 탈색 백분율과 초기 흡착율은 대조군의 경우보다 낮았다. 또한 이온의 첨가는 염료의 흡착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Pen janthinellum의 변형 균체도 염료의 흡착율을 보였고, Apollocion Red 7EB의 흡착에 있어 이온교환수지보다 월등한 흡착능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