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활 소재

Search Result 958,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가족스포츠여가활동 참여가 중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Family Leisure Activity on School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 이정주;고의석;한건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690-2696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가족스포츠여가활동 참여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성별에 따른 학교생활적응 수준의 차이, 둘째, 학년에 따른 학교생활 적응수준의 차이, 셋째, 가족스포츠여가활동 참가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M여자중학교와 대전의 K남자중학교에 재학중인 학생을 모집단으로 하였고, 유층집락무선표집법으로 총 587명을 선정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575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이용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연구목적에 따라 분석하기 위해 적용된 통계적 기법으로 t 검증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학생들의 성별은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학년과 가족스포츠여가활동 참가 여부는 중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5).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중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을 돕기 위해 가족스포츠 여가활동은 유용한 활동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영적안녕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Spiritual well-being on College adjustment in major of Nursing Student)

  • 윤순영;민신홍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395-403
    • /
    • 2014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영적안녕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다차원적인 이해를 돕고,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C 도에 소재한 2개의 4년제 간호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 참여에 동의한 학생 총 530명을 편의표집 하였다.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으로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들의 자아탄력성, 영적안녕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탄력성, 실존적 영적안녕, 종교적 영적안녕 순으로 영향력이 있었고, 설명력은 39%였다. 결론적으로 자아탄력성과 영적안녕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에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는 제도적 접근이 요구된다 할 수 있다.

간호대학생의 리더십생활기술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ariables associated with Leadership Life Skills in Nursing Students)

  • 이미련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호
    • /
    • pp.65-7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리더십생활기술, 자아존중감 및 동아리 활동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며, 간호대학생의 리더십생활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두 개의 광역시와 한 개의 시에 소재한 대학교 간호대학생 33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0을 이용하여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간호대학생의 리더십생활기술과 자아존중감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간호대학생의 리더십생활기술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리더십생활기술에 영향을 주는 예측요인은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였으며, 29.6%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리더십생활기술을 증진시키는 전략을 개발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Relationships Among Parental Attachment, Social Support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 김종운;김지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248-259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산시에 소재한 4개의 4년제 대학교 학생 386명을 대상으로 부모애착, 사회적지지, 대학생활적응 검사를 실시하였다 부모애착, 사회적지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대학생활적응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을 밝히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 애착, 모 애착, 사회적 지지 및 대학생활적응 간에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부, 모 애착과 친구 사회적 지지가 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적응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대학생활적응을 위해서 학교와 학과, 대학 상담센터에서의 다양한 정책적인 연구와 부모-자녀 관계 개선과 친구지지를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상담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전문대학 여대생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셀프리더십을 매개효과로 (The Effects of Subjective Health Status on Life Satisfac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A Mediator Effect of Self-leadership)

  • 이윤주
    • 산업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35-43
    • /
    • 2019
  • 본 연구는 여대생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에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상관관계연구이다. 인천광역시 소재 A대학교의 여대생 400명을 대상으로 2016년 11월 14일~11월 30일까지 자료 수집 후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 Spearman' rho, 다중회귀분석 및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생활만족도는 20세 이하, 1학년 여부, 아르바이트 경험 및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차이를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상태와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에 셀프리더십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관적 건강상태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지만 셀프리더십이 매개 시 생활만족도를 높여주는 성향이 더 강해진다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여대생의 생활만족도를 증진시킴에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한 관심증가와 셀프리더십 관련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학가 원룸촌 외부공간의 생활안전 기능요소에 관한 연구 -충청북도 소재 'O' 대학교 원룸촌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lements of Life Safety Environment in the exterior Space of the University neighborhood One-room village -Focused on the case of 'O' university neighborhood One-room village in Chungcheongbukdo-)

  • 김환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321-331
    • /
    • 2018
  • 본 연구는 거주자의 생활안전도를 연구하기 위한 기초 단계로서, 대학교 인근 원룸촌을 대상으로 거주자 의식조사 및 현장조사 등을 통해 대학가 원룸촌의 생활안전요소를 도출하고, 문제점 및 해결방향을 건축계획적 차원에서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선행연구 결과 거주공간의 진입로 등 넓은 범위의 외부공간에 대한 생활안전 관련 연구나 실제 제도는 상대적으로 미흡하였다. 의식조사 결과, 거주공간의 생활안전 환경에 가장 심리적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보행로와 같은 외부공간의 환경이 거주지의 생활안전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거주지 외부공간의 생활안전 기능요소는 건축 계획적 차원에서 크게 거주자 감시, 동선유도와 영역 구분, 외부의 공적 공간 활용, 쾌적한 환경 유지 등의 4개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소는 건물 진입 공간뿐만 아니라 보행로나 기타 오픈스페이스 등 보다 넓은 범위의 공간에도 적용될 수 있다. 셋째, 대학가 원룸촌의 외부공간을 조사 분석한 결과, 보행로 같은 외부공간의 생활안전 환경이 거주인구와 원룸 건축물이 가장 많은 구역에서 매우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시대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와 대학생활적응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Adaptation to College of Nursing Students in the COVID era)

  • 김지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683-691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 시대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와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C도에 소재하는 1개 대학의 간호대학생 191명이었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상관관계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와 대학생활적응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r=.379, p<.001),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건강증진행위와 건강상태였으며, 대학생활적응을 19.9%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Adj. R2=.199, p<.001). 따라서 간호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을 돕기 위해서는 건강증진행위를 높이고 건강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건강관리 방안이 적절하게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사용자 선호도 예측과 Textile 기반의 협력적 필터링 기술을 이용한 섬유패션 디자인 추천 에이전트 (Fiber Fashion Design Recommender Agent System using the Prediction of User-Preference and Textile 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Technique)

  • 정경용;김진현;나영주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24-228
    • /
    • 2002
  • 제품의 품질 및 가격 뿐만 아니라 물질적 풍요로움과 더불어 다변화 되어가는 생활 환경 속에서 소비자의 감성과 선호도를 파악하는 것은 제품 판매 전략의 중요한 성공요소가 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제품의 기능적 측면 뿐만 아니라 개개인의 정서적 감정과 선호도가 반영된 제품의 설계나 디자인 또한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재 개발의 프로세스가 고객 중심으로 변화하는 것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감성과 선호도를 중심으로 소재를 개발하는 방법의 하나로 협력적 필터링 개인화 기법을 응용하여 섬유 패션 디자인 추천 시스템을 제안한다. Textile 기반의 협력적 필터링 시스템에서 예측에 사용될 이웃의 수를 결정하기 위해서 Representative Attribute-Neighborhood를 사용한다. 이웃들간의 사용자 유사도 가중치는 피어슨 상관 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한다. 소재에 대한 사용자의 감성이나 선호도에 대한 Textile의 대표 감성 형용사를 추출함으로써 소재 개발을 위한 감성 형용사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한다. 구축된 감성 형용사 데이터 베이스를 기반으로 성향이 비슷한 사용자에게 Textile을 추천한다. 사용자 선호도 예측과 Textile 기반의 협력적 필터링 기술을 이용한 섬유 패션 디자인 추천 에이전트를 구축하여 시스템의 논리적 타당성과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적인 적용을 시도하고자 한다.

  • PDF

무독성 소재활용 다층다공성 하상보호 기술개발 및 현장 적용성 검토 (Development of Riverbed Scour Protection Technique with Non-toxic materials and An examination of Field Application)

  • 안홍규;지민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479-479
    • /
    • 2016
  • 국내 하천에는 하천을 가로지르는 보나 낙차공과 같은 횡단구조물이 약 5만여개에 달하고 있다. 이러한 보/낙차공과 같은 하천횡단구조물에는 구조물을 월류하여 떨어지는 부분의 세굴을 막기 위하여 apron(물받이공)을 조성하도록 되어있고, 물받이공 하류부 세굴을 막기 위하여 사석을 깔거나, 돌망태를 설치하여 이 부분에서의 세굴을 막아 하상을 보호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사석이나 돌망태공, 블록을 이용한 보호공은 한 번 설치되면 이들 공법이 제자리에 남아 있는 한 세굴 방지에 좋은 효과를 발휘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포설된 공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혹은 홍수로 인해 이동되거나 소실되는 문제가 발생되며, 최종적으로 하천횡단구조물의 안전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와 더불어 강우량의 증대 및 집중호우 등 돌변하는 기후변화로 하천환경변화에 대한 적용 가능한 기술이 미비하다. 따라서 하천에 유해한 물질을 방출시키지 않고 하천환경 및 하천 생물의 생활사에 영향을 주지 않는 무 저독성 소재를 활용하여 치수적으로 수리적 안정성을 강화시키고, 생태적으로도 건강한 생태하천 복원 기술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무독성 소재를 활용하여 보 하류부에 자연친화적인 하상보호공으로 다층다공성 하상보호기술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하상보호기술을 CFD 3차원 수치해석과 실내실험을 통하여 수리적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개발된 기술은 김해시 대청천 하류 일부구간에 시범적으로 적용하였고, 시범사업 시공 전 중 후 각 단계에서 물리, 화학, 생물 모니터링을 통하여 개발기술의 현장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 PDF

코로나 19 시대의 화장품분야 천연소재 개발방향

  • 정의수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4
    • /
    • 2021
  • 전 세계는 covid 19의 pandemic 상황이 장기화되면서 화장품 분야의 trend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covid 19의 예방으로 마스크는 생활필수품이 되었고, 행정적으로도 사무공간에서도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으면 과태료를 부과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로 인하여 장시간 마스크 착용은 필수 불가결한 상황이며, 이로 인하여 얼굴 피부의 장벽기능(barrier function)의 와해로 인하여 피부가 예민해지고 크고 작은 피부의 trouble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화장품의 선택에 있어 피부 진정과 피부에 자극완화(anti-irritation) 및 안전성(safety)에 대한 것으로 점차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Covid 19 이전의 화장품 소재 및 제품 개발의 트렌드는 국내의 기능성화장품 범주에 있는 미백 관련, 주름관련, 자외선 차단관련, 염모관련, 육모 탈모 관련, 여드름관련, 피부장벽관련, 튼살 관련 기능성 소재 및 제품 개발과 화장품 용도외의 고기능성 부여를 위한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용 제품의 개발이 중요한 시기였다.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은 화장품(cosmetic)과 의약품(pharmaceutical)의 합성어이다. 그러나 최근 Covid 19의 상황에 따라 화장품 업계는 포스트 코로나의 트렌드로 피부 장벽기능 강화, 피부노화 억제, 식물성, 자극완화, 비건, 안전성 확보에 대한 다양한 천연 소재의 연구와 제품을 개발 출시하고 있다. 따라서, 2020년 Covid 19의 상황에 따른 화장품 분야의 천연 신소재 및 화장품 개발 방향에 대하여 자원 식물의 활용성 및 개발 동향에 대하여 논의 하고자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