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활치 미백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8초

생활치 미백제가 상아질 접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ital Tooth Bleaching Agent on Dentin Bonding)

  • 정나영;진명욱;김영경;김성교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2호
    • /
    • pp.79-85
    • /
    • 2006
  • 생활치 미백제와 알콜 전처리 과정이 상아질 접착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발거치 55개의 치관부 협측 상아질면에서 $Opalescence^{(R)}$(Ultradent사 미국)로 미백처리 후 즉시 $One-step^{(R)}$ 상아질 접착제(Bisco사, 미국)를 전 처치한 $Z-250^{(R)}$ 복합레진(3M-ESPE사, 미국) 접착군, 미백처리 2주후 레진 접착군, 미백처리 후 70% 에탄올 처리군, 그리고 미백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으로 나누어 실험한 다음 전단접착강도를 측정하고 95% 유의수준에서 일원변량분석법으로 통계분석 하였다. 생활치 미백제가 상아질 접착력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미백처리 2주 후 레진 접착군은 미백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70% 에탄을 처리군은 미백처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는 접착력이 낮았으나, 미백처리 2주 후 레진 접착군과는 차이가 없고 즉시 접착군보다는 높은 접착강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임상에서 치아미백 후 즉시 레진수복을 할 경우, 에탄올로 전처리하면 상아질에서 레진 접착력을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생활치 미백제가 우치 법랑질의 투명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VITAL BLEACHING AGENTS ON TRANSLUCENCY OF THE BOVINE ENAMEL)

  • 김동준;김영주;김학근;박은종;서은주;황윤찬;오원만;황인남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3호
    • /
    • pp.178-18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임상에서 home bleaching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표백 재료들이 치아 법랑질의 투명도에 어떠한 변화를 일으키는지 고찰해 보고자 시행하였다. 실험 대상으로는 하루 전 발거한 우치 (bovine tooth)를 사용하였다. 치아의 순면에 수직되게 다이아몬드 드릴을 이용해 수주 하에서 직경 6 mm의 원통형 치아 시편을 만들어 순면이 노출된 상태로 투명한 아크릭 레진에 포매한 후, low speed diamond saw (Isomat, Buehler Co., USA)를 사용하여 1.2 mm 두께로 절단하였다. 절단된 시편은 순면을 먼저 편평하게 연마하고,절단된 면을 연마하여 두께 1 mm의 시편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시편(우치 25개)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3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나머지는 대조군으로 하였다. Opalescence$^{(R)} (10% carbamide peroxide, Ultradent, Milford, USA), Rembrandt$^{(R)} (10% carbamide peroxide, DenMat, USA) 및 Opalescence$^{(R)} F(15% carbamide peroxide with fluoride, Ultradent)를 시편의 순면에 1주일 동안 적용 (표백제는 24시간마다 교체)하였고, 설측면은 증류수를 적신 거즈에 접촉된 상태로 보관하였다 표백제를 적용하기 전과 적용 3, 5, 7일째에 시편의 삼자극치 X, Y, Z 값을 색채색차계 (Color & Color Differencemeter, Model TC-6FX, Tokyo Denshoku Co., Japan)로 백색 배경판과 흑색 배경판 상에서 측정하였다 백색 배경판과 흑색 배경판 상에서 측정된 Y값의 평균값을 이용해 contrast ratio를 계산하였다 얻어진 값을 One Way Repeated Measured ANOVA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한 결과 10% Opalescence$^{(R)}처치군, 15% Opalescence$^{(R)}-F처치군 및 대조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할만한 증감을 보이지 않았고, Rembrandt$^{(R)}처치군에서는 Contrast ratio가 증가하였다 (p < 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