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활인구

Search Result 1,208, Processing Time 0.064 seconds

Changes in cognitive function and functional disability in older adults - Comparison of groups converted and not converted to dementia among cognitively normal older adults - (노년기 인지기능과 일상생활기능장애 변화에 대한 연구 - 치매발생집단과 정상유지집단 간 차이 -)

  • Lee, Hyun Joo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4 no.2
    • /
    • pp.327-358
    • /
    • 2013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trajectories of cognitive function and functional disability, and to identify the impacts of socio-demographic factors on the two variable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re a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cognitive impairment, it focused on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trajectories of cognitive function and functional disability between two groups: dementia conversion group and dementia non-conversion group among cognitively normal older adults.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data from a 3-wave panel study of a sample of 966 Yeoncheon elderly cohort aged 65 and over between 1997 and 2003. Latent growth curve model and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used to examine the hypothesis. Results revealed that dementia conversion group exhibited faster rate of cognitive decline as well as lower initial cognitive level.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not significant in the initial level of functional disability, yet dementia conversion group showed greater degree of deterioration in the functional disability over time than dementia non-conversion group did. In terms of the influence of socio-demographic factors on cognitive function and functional disability, the cognitive decline was more drastic in the female group, whereas functional decline was more apparent for the male group. The level of education in early life had a strong impact on the cognitive function in later life.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al implication for high risk groups in cognitive function and functional disability were discussed.

POLICY & ISSUES 환경정책 - 환경복지 구현을 위한 환경보건정책 방향

  • Lee, Ji-Yun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s.402
    • /
    • pp.6-9
    • /
    • 2012
  • 전국적으로 도시화가 진전됨에 따라 아파트, 사무실 등 실내공간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하루의 90%를 넘어서고 있어 실내 공간의 환경관리가 건강관리의 중요 요소로 등장하고 있으며, 저출산 고령화가 심화되면서 취약한 노년층 인구의 증가와 힘께 과보호를 받는 어린이 인구는 증가하고 있어 면역력 약화에 따른 질환 및 만성질환의 이환 기능성이 환경보건 분야의 새로운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 PDF

국내 실내조경 식물의 이용실태와 개발가능성 - 실내공간에 조성된 실내조경 식물의 현황 파악과 토종식물의 개발 가능성 기술

  • Byeon, Gwang-Ok
    • Landscaping Tree
    • /
    • v.80 no.5_6
    • /
    • pp.21-26
    • /
    • 2004
  • 인류문명이 고도의 산업사회로 접어들면서 도시의 성장은 팽창을 거듭하여 더 많은 인구를 수용하고 더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경향은 지금도 변함없이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도시의 팽창은 그 만큼의 자연을 잠식하는 당연한 결과를 가져오고 인구 또한 생활터전을 찾아 도시로 집중하게 되어 자연과는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점점 멀어지고 있다. (중략)

  • PDF

국내니트산업의 현황 및 니트산업지원센터의 역할

  • 이재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02.08a
    • /
    • pp.3-44
    • /
    • 2002
  • $\cdot$인구 노령화 현상 가속화 $\cdot$캐주얼한 생활습관 $\cdot$개인적인 여유시간 확보 $\cdot$소비자 기호의 국제화 및 범용화 $\cdot$여행인구 증가 및 통신기술 발달로 정보교류 발달 (중략)

  • PDF

영국 제2의 도시 맨체스터를 가다

  • Park, Jun-Hyeong
    • 주택과사람들
    • /
    • s.194
    • /
    • pp.94-97
    • /
    • 2006
  • 맨체스터 시티는 영국의 한가운데 위치한 인구 70만의 도시다. 맨체스터 시티 주변에는 맨체스터를 생활권으로 하는 군소 도시들이 형성돼 있는데, 이러한 도시들과 맨체스터 시티를 합쳐 맨체스터(Greater Manchester)라는 광역 행정권을 형성한다. 맨체스터의 인구는 320만 정도로 영국에서 두 번째로 규모가 큰 도시다.

  • PDF

노화와 당뇨병

  • 유형준
    • The Monthly Diabetes
    • /
    • s.148
    • /
    • pp.20-22
    • /
    • 2002
  • 의료기술과 생활형편의 향상에 의한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우리 나라 노인 인구는 전 인구의 7$\%$를 넘어섰다. 이른바 고령화 사회가 된 것이다. 이처럼 노인 인구수가 급증하면서 눈에 띄게 늘고 있는 노인병 중의 하나가 당뇨병이다. 보고에 따라서는 20세에서 44세 사이의 연령대에 비해 65세 이상의 연령에서 10배나 더 높은 유병률을 보인다. 당뇨병이 있으면서도 노인이기 때문에 진단을 받지 않고 있는 경우를 합하면 더 늘어날지 모른다.

  • PDF

Recognition system for emergency situation using Elderly Life Pattern Monitering (노인 생활패턴 관찰을 이용한 응급 상황 인식 시스템)

  • Ko, Jooyoung;Shim, Jaechang;Kim, Hyenki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289-290
    • /
    • 2012
  • 본 연구는 다양한 무선센서를 이용하여 노인의 생활 패턴을 관찰하여 응급상황이 발생 했을 때 변화된 패턴을 인식하는 시스템에 대한 연구이다. 노인인구의 증가와 함께 독거노인의 인구도 증가하고 있다. 노인의 일상 상활을 센서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관찰하여 생활 패턴을 저장하였다가 일상과 다른 변화를 감지하여 응급상황을 판단하고 보호자나 응급센터에 신속히 연락을 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무선 센서를 사용함으로 설치가 간편하고 간접적인 관찰을 하므로 당사자가 불편하지 않도록 하였다.

  • PDF

당뇨병의 예방및 관리

  •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 건강소식
    • /
    • v.26 no.11 s.288
    • /
    • pp.6-13
    • /
    • 2002
  • 지난 30여년 동안 급속한 경제 성장과 생활 양식의 변화는 우리 사회에 많은 변화를 초래하였고 한국인의 질병 양상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동물성 식품과 지방질 섭취의 증가, 신체활동 감소,노령인구 증가, 생활양식의 서구화 및 도시화 등은 한국인에서 만성질환의 발생과 이환을 증가시키고 있다. 통계청의 2001년 사망원인통계를 보면 1위가 암, 2위가 뇌혈관 질환, 3위가 심장질환, 4위가 당뇨병, 5위가 간질환으로 모두 잘못된 생활습관으로 인한 만성질환이다. 이중에서도 당뇨병은 지난 1991년 이후 암 다음으로 많이 증가한 질병으로 인구 10만명 당 23.8명이 당뇨병으로 사망했으며 하루 평균 당뇨병으로 31명이 사망한다. 2002년 4월, 대한당뇨병학회의 "한국인의 당뇨병 발생 현황 보고"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의 당뇨병 유병률은 10%선으로 최소 3백만명에서 최대 5백만명 정도가 당뇨병을 앓고있다. 우리나라는 식생활의 서구화, 고령화 등으로 당뇨병 환자가 급증하고 있어 생활 양식의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앞으로 10년 안에 전체 국민의 1/4정도인 1천2백만명 가량이 당뇨병으로 고통을 받게 될 것이라 한다. 당뇨병은 당뇨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만성 합병증이 매우 무서운 병으로 일단 발병하면 적극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정상으로 회복되기 어렵다. 따라서 합병증의 효과적인 예방을 위해서는 특별한 임상 증상이 없더라도 당뇨병을 처음 진단 받은 날부터 주기적인 검진을 통하여 조기에 발견해 낼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이와 더불어 주기적인 혈액 검사와 주치의 면담을 통하여 정상 혈당을 유지할 수 있는 혈당 조절 방법과 함께 만성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는 생활 습관 개선(금연, 금주,표준체중 유지,규칙적 운동,정상 혈압 유지,정상 혈중 지질 유지등)을 반드시 실천하여야 한다.

  • PDF

Analysis of Differences in Family Problem Solving,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장애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가족문제해결, 가족관계만족도, 가족생활만족도의 차이 분석)

  • Moon, Kyung-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377-381
    • /
    • 2021
  •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KOWEPS) 15차 연도(2020년) 자료를 활용하여 장애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인 성별, 연령, 교육수준, 혼인상태에 따라 가족문제해결, 가족관계만족도, 가족생활만족도에 대하여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고, 이를 장애인 복지 정책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한국복지패널 15차 년도 전체패널 27,447명에서 2021년 현재 장애인으로 등록된 1,281명중 80세(1942년생) 이상 422명을 제외한 859명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성별, 연령, 교육수준에 따른 가족문제해결, 가족관계만족도, 가족생활만족도의 평균값이 대부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양상으로 나타났으나 가족문제해결, 가족관계만족도, 가족생활만족도의 3개변인 모두에서 결혼 상태에 따른 평균의 차이는 각각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배우자의 경우는 그렇지 않은 결혼 상태에 비해 가족관계가 원만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장애인들의 경우 가족 간의 순기능적 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지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