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활습관 병

Search Result 15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도태품종 고집은 손해만 초래

  • 문종열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8 no.1
    • /
    • pp.61-67
    • /
    • 1987
  • 과수농사를 잘 하려면 식물생리, 토양의 이$\cdot$화학적 성질, 비료의 성질과 작용, 병$\cdot$해충의 생활사, 농약, 유통등의 지식을 갖추어 조화있게 조절할 수 있어야 최소의 경비로 최대의 소득을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본지식이 없이 다른 사람들을 따라서 농사를 짓다보면 너무나 몰라서 실패하는 경우가 많은데 과수농사에 성공을 하려면 수시로 발생되는 문제점에 대해서는 실물을 가지고 농촌지도소, 농촌진흥청 또는 농과대학에 가서 완전한 해답을 얻고 그 해답을 기록하여 두는 습관을 길러 지식을 축적한다면 실패의 원인을 감소시킬 수 있다. 과수농사 성공의 비결은 과종과 품종의 선택, 병$\cdot$해충방지, 알맞은 토양관리, 알맞은 전정, 생산물의 상품화 적기판매 등이 잘 되어야 높은 소득을 올릴 수 있다.

  • PDF

Diabete Care: Healthy Life - 효과적인 자가혈당측정을 위해

  • Sim, Gang-Hui
    • The Monthly Diabetes
    • /
    • s.285
    • /
    • pp.54-59
    • /
    • 2013
  • 자가혈당측정은 당뇨병 관리에 있어 나침판과 지도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이는 혈당수치를 보면서 고혈당과 저혈당을 확인하여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식사요법, 운동요법, 스트레스 등이 혈당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도 확인할 수 있어 생활습관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인슐린주사를 하는 경우에는 혈당치를 확인하여 인슐린 용량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듯 자가혈당측정을 하는 것이 당뇨병관리에 있어 많은 도움이 되어도 혈당검사를 소홀히 하는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 이에 금번 호에서는 자가혈당 측정에 대한 당뇨병환자의 마음상태와 혈당에 대한 "감(Sense)을 파악하는 법과 혈당조절을 위한 행동요령에 대하여 소개합니다.

  • PDF

'당뇨'의 올바른 길잡이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내분비내과

  • Hong, Ji-Yeong
    • The Monthly Diabetes
    • /
    • s.206
    • /
    • pp.61-63
    • /
    • 2007
  • 잘못된 생활습관, 운동량 감소, 비만, 스트레스 등이 증가함에 따라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인의 '당뇨 전쟁'이 시작되고 있다. 따라서 매년 증가하고 있는 당뇨병환자와 당뇨병전단계의 환자를 위한 국가적인 관리와 예방 또한 필요한 실정이다. 본 호에서부터 게재되는 '당뇨인을 위한 병원 탐방'에서는 각 대학병원 또는 개인병원의 내분비내과와 당뇨교실 등을 직접 찾아 소개하고 병원마다의 특성과 당뇨 예방과 관리를 위한 방법을 직접 들어보고자 한다. 이번 호에는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을 찾아가 보았다.

  • PDF

국내 사람브루셀라병 현황과 브루셀라균의 특성

  • 김종완
    • Feed Journal
    • /
    • v.3 no.6 s.22
    • /
    • pp.113-117
    • /
    • 2005
  • 1884년 David Bruce에 의해 지중해 Malta 지역에서 처음 브루셀라병이 밝혀진 이후 사람 브루셀라증은 (Human brucellosis) 인수공통전염병중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고 또한 경제적 피해가 심각한 인수공통전염병중 하나이다. 년간 50만명이상이 감염되는 것으로 WHO에서는 추정하고 있다. 사람 브루셀라증을 역학적으로 살펴보면 가축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축주, 수의사, 인공수정사, 축산물취급자, 실험실종사자) 사람들에서 주로 발생하고 있지만, 예전부터 유목생활을 하며 멸균하지 않은 채 유제품을 많이 섭취하는 중동 지역에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아 생활문화 특히 식습관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 PDF

Exercise Strategie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besity in Children (아동 비만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운동 전략)

  • Cho, Jin-Kyung;Han, Jin-Hee;Kang, Hyun-Sik;Yoon, Jin-Hwan
    • Journal of Obesity & Metabolic Syndrome
    • /
    • v.23 no.3
    • /
    • pp.156-161
    • /
    • 2014
  • Childhood obesity has more than doubled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he last decade. Obese youth are more likely to have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 and type 2 diabetes such as high cholesterol, high blood pressure, insulin resistance, and metabolic syndrome. There is no single or simple solution to the childhood obesity epidemic, but to learn that obesity is closely related to lifestyle factors including poor fitness and physical inactivity as well as prolonged sitting time in conjunction with westernized dietary habits. In addition to a healthy and balanced diet, promotion of physical activity combined with carefully supervised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and reduced screen time is a primary recommenda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bes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his review provides evidence based data to support this multiple-step physical activity strategy as the most effective and preventive means against childhood obesity.

Development of Wireless Health Care Server Using the Cellular Phone with Embedded Pedometer Functionalities (만보기 기능이 내장된 휴대폰을 이용한 무선 건강관리 서버 개발)

  • Kang, Won-Joon;Shin, Jae-Wan;Shin, Dong-Kyoo;Shin, Dong-Il;Her, S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784-787
    • /
    • 2009
  • 2008년 우리나라 휴대폰 가입자는 4500만 명을 넘어서 1인 1휴대전화 시대에 돌입했다. 그래서 휴대폰을 이용하여 건강을 체크한다면 현대인들의 식습관, 만성질병, 생활습관이 개선될 전망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건강관리 서버는 사람들의 건강을 손쉽게 체크하여 미리 병을 예방하고 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설계 되었으며, 휴대폰에 적용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걸음 수, 이동속도, 이동 거리 등의 사용자 운동량 정보를 파악 할 수 있다. 휴대폰에서 수집된 운동량 정보를 바탕으로 건강정보를 관리하므로, 사용자가 별도의 건강기기를 소지하지 않아도 손쉽게 웰빙을 추구할 수 있다.

The Risk Factors of the Pre-hypertension and Hypertension of Rural Inhabitants in Chungnam-do (충남 농촌 지역 주민의 고혈압 전단계와 고혈압의 위험요인)

  • Eom, Ji-Sook;Lee, Tae-Ryong;Park, Seon-Joo;Ahn, Youn-Jin;Chung, Young-Jin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41 no.8
    • /
    • pp.742-75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isk factors of pre-hypertension and hypertension in rural residents. Nine hundred and ninety four subjects aged 40-70 yrs in Chungnam-do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n = 824)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of hypertensive, pre-hypertensive, and normotensive according to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JNC)-7 criteria. The weight, body mass index (BMI), waist-hip ratio (WHR), and serum total protein, albumin, BUN, and triglyceride (TG)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BP and DBP. After adjusted by age, sex and BMI, the total protein, albumin and TG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BP and DBP (p < 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ating habits according to the level of blood pressure. The serum albumin, creatinine, Glu-FBS, Glu-PP l20, and triglyceride were higher in both prehypertensive and hypertensive group than in the normotensive group. However, mean serum cholesterol was not different among three blood pressure groups. In this study, the common risk factors of pre-hypertension and hyper-tension were male, age of fifties, lower education level, ex-smoking, higher drinking frequency, higher BMI, body fat %, waist circumference, WHR, serum albumin and diabetes, even though the degree of risks in these variables were higher in the hypertensive group. The higher BUN was a risk factor of prehypertension, while the family history, prediabetes, serum total protein, Glu-PP l20 and higher alcohol drinking amount were the risk factors of hypertens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maintaining good health habit and normal range of blood parameters as well as controlling body weight have to be paid attention in order to prevent hypertention, and further reseasch on the relationship of blood pressure and BUN are needed.

건강과 자연농업-제229호

  • Jeong, Jin-Yeong
    • THE HEALTH and ORGANIC FARMING
    • /
    • no.229
    • /
    • pp.1-12
    • /
    • 2006
  • 한.미 자유무역협상(FTA) 서둘지 말아야/학교급식은 직영해야 한다/우리의 산야초/연속 강우에 따른 과일나무 잎의 갈변에 대하여/벼 멀칭재배의 이론과 기술/소화불량증과 생활습관/아이들건강과 먹을거리 패러다임의 전환/제7회 동아시아 친환경 벼 심포지엄/홍성서,제5회 아시아 오리농법대회/두가지 비료로 유기농작물의 고품질 다수확 생산을 체계적으로 보다 쉽게 하는 방법/충남,친환경농업 육성 '박차'/벼흰잎마름병은 어떤 병인가?/빛을 이용한 해충의 방제/제천 명암 환경농업 작목반/국내외 친환경농축산물의 생산 및 인증실태/남양주시에서 친환경농산물 인증서 수여 및 인증자 교육 실시/해충의 습성을 이용한 퇴치/7월중 새식구 명단/예산당국,내년 유기질비료 예산 '동결' 토양개량제 '감축' 방침/제9회 충남유기농업인대회/충북도지부 월례회의/불량비료 17개 제품 적발/방제비용 절감 '친환경보조제'개발/농진청, '탑프루트' 프로젝트 적용과실 본격출하/유기 및 일반 농산물의 품질 비교에 관한 연구/당도진단

  • PDF

성인병 뉴스 제310호

  • The Korea Association of Chronic Disease
    • The Korean Chronic Disease News
    • /
    • no.310
    • /
    • pp.1-18
    • /
    • 2006
  • 강원도 인제군 보건소 권장원 소장/‘만성질환관리사업지원단’설치.운영/경기도립노인전문병원 2008년 건립/전통 한의약 세계적 브랜드로 육성/인터넷 이용 결핵환자 원격판독/“간호조무사 대체 법적 근거 마련”/건보-자보 일원화 추진 논란/“아시아 당뇨 대란 심각하다”/2010년 세계뇌졸중학회 서울 유치/“성분명처방, 시간 필요하다”/생동성 관련 품목허가취소 가처분 수용/KGMP“ 의약품 품목별로 평가한다”/식약청, 11번째 국산 신약 시판 허가/내년부터 의약품 설명서 알기 쉽게 교체/군부대장병 금연환경조성을 위한 이동금연클리닉 사업/외래환자 1위는‘서울아산병원’/‘대한네트워크병의원협회’발족/뇌혈관질환 50대 이후 사망원인 1위 차지/건강한 생활습관이 심혈관질환 예방의 첩경/

  • PDF

운동으로 건강을

  •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 건강소식
    • /
    • v.26 no.4 s.281
    • /
    • pp.6-13
    • /
    • 2002
  • 우리 몸은 적절한 운동을 함으로써 각각의 기능이 정상으로 적응하도록 되어있으며 적절한 운동을 하지 않으면 신체의 기능은 점점 약화되어 건강에 나쁜 영향을 주게 된다. 우리 주위의 많은 사람들은 이러한 사실을 알고 있어도, 시간이 없다는 핑계로, 다른 할 일이 많다는 핑계로 운동 부족을 자초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사망원인 순위를 보면 위기 암(악성신생물), 위가 뇌혈관 질환, 3위가 심장질환으로 식생활, 운동부족 등 잘못된 생활습관이나 스트레스등으로 인한 만성질환이다. 특히 운동부족은 심장병, 암, 당뇨병, 근골격계 질환(골다공증) 등의 위험요인이 되는데 운동부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허혈성 심질환의 경우 사망률이 1985년 인구 10만명당 3.8명에서 2000년 21.5명으로 5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당뇨병의 경우 1985년 인구 10만명당 6.8명에서 2000년 22.6명으로 3배 이상 증가하였나(통계청, 200년 조사), 우리나라 성인들의 운동 실천율은 매우 낮은 편으로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사람의 비율이 0.8%에 머물러 운동부족의 심각성을 보여주고 있다(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8) 세계보건기구(WHO)와 보건복지부는 2002년 4월 7일 세계 보건의 날을 맞아 ‘Move for health'라는 구호로 운동의 중요성 및 생활 속의 활기찬 움직임에 대한 중요성을 일깨우기 위해 보건의 날 올해의 주제로 선정하였다. 4월의 이달의 건강 길라잡이에서는 생활 속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는 운동, 나에게 맞는 운동에 대하여 알아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