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활습관 병

Search Result 157,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생활습관병 예방 프로젝트 2 바로알기 - 잘못된 자세가 불러오는 척추질환

  • Lee, Jin-Han
    • 건강소식
    • /
    • v.37 no.3
    • /
    • pp.8-11
    • /
    • 2013
  • 가슴, 배, 엉덩이로 떨어지는 척추의 'S라인'은 아름다운 허리선을 대표한다. 그러나 외면적 아름다움보다 내면이 건강한 허리를 만들기 위해 신경 써야 할 것은 바로 척추의 중심을 잡는 일. 잘못된 자세로 신체의 균형이 깨져 발생하는 요통은 다양한 질환으로 발전하게 된다. 가장 대표적인 척추질환에 대해 알아보자.

  • PDF

생활습관병 예방 프로젝트 3 예방하기 - 대체음료 NO 성장기에는 물이면 충분하다

  • Kim, Seon-Gyu
    • 건강소식
    • /
    • v.37 no.7
    • /
    • pp.12-13
    • /
    • 2013
  • 유아기에서 성장기, 성인기, 노년기로 항해 갈수록 체내 수분량은 감소한다. 달리 말하면 아이들 몸의 수분량은 성인에 비해 절대적으로 많다는 소리다. 특히 성장기에는 아이들 몸이 자라는 데 물이 큰 역할을 하므로 여러 활동 후에 물을 자주 마시도록 지도하는 것이 좋다.

  • PDF

생활습관병 예방 프로젝트 4 실천리스트 - 몸과 마음 함께 쉬어야 휴식이다

  • Jo, Yeong-Eun
    • 건강소식
    • /
    • v.37 no.10
    • /
    • pp.14-15
    • /
    • 2013
  • 삶의 피로가 지속되는 일상, 어떻게 하면 온전한 휴식을 얻을 수 있을까? '이번 주말에는 아무것도 하지 않고 쉬기만 할 거야'하고 마음먹어보지만, 여전히 나를 괴롭히는 복잡한 생각들에 시달리며 평온한 휴식에서 멀어지곤 한다. 심리학에서 지혜를 얻어 지친 마음을 달래는 법, 마음의 휴식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자.

  • PDF

자연에서 찾은 건강_따뜻한 온도 몸의 체온이 되어 - 에코 파트너 - 몸의 $1^{\circ}C$를 높여라

  • 한국건강관리협회
    • 건강소식
    • /
    • v.35 no.12
    • /
    • pp.6-8
    • /
    • 2011
  • 사람의 신체 활동이 가장 원활하고 건강하게 이루어지는 최적의 체온은 $36.5^{\circ}C$에서 $37.1^{\circ}C$이다. 그리고 이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절란 운동, 따뜻한 음식을 먹는 식사습관, 질 좋은 수면이 요구된다. 이렇게 체온을 올리는 생활을 꾸준하게 지속하면 암을 비롯한 당뇨병, 골다공증, 비만, 불임, 치매 같은 다양한 질환이 예방되며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다.

  • PDF

NEWS&TOPICS 국내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no.5 s.408
    • /
    • pp.8-9
    • /
    • 2003
  • 자생식물에서 간경화 치료물질 개발/ 식물 분류학지 남북 공동 편찬/ 학교 집단 식중독 원인은 바이러스/ 위장질환 진단용 마이크로 소자 개발/ 국내 멸종 추정 '초령목' 제주서 발견/ 인터넷 사이트, 커뮤니티 뜬다/ 과학고, 영재반 이수자에 입학 혜택/ 성인병 '생활습관병'으로 바꾼다

  • PDF

생활습관병 예방 프로젝트 2 바로알기 - 흡연, 몸도 마음도 망가뜨린다

  • Lee, Jin-Han
    • 건강소식
    • /
    • v.37 no.5
    • /
    • pp.8-11
    • /
    • 2013
  • 세계보건기구(WHO)의 자료에 따르면, 흡연자의 절반 가까이가 담배에 의해 생명을 잃는다고 한다. 담배는 매년 600만 명의 생명을 앗아간다. 그 중 500만명 이상은 현재 흡연 중이거나 끊은 사람들이다. 60만 명 이상의 비흡연자들도 간접흡연에 의해 생명을 잃는다. 긴급한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면 매년 사망자는 계속 증가하여 2030년엔 800만 명을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생활습관병 예방 프로젝트 4 실천리스트 - 흡연 욕구 순간을 참자

  • Lee, Eun-Jeong
    • 건강소식
    • /
    • v.37 no.5
    • /
    • pp.14-15
    • /
    • 2013
  • 굳게 마음먹어도 언제 그랬냐는 듯 매번 KO패 당하는 게 바로 금연 결심이다. 담배를 끊는데 뾰족한 방법은 없다. 흡연 욕구가 생기는 순간을 잘 참는 것이 비결 아닌 비결이다. 담배 양을 서서히 줄이다가 특별한 날을 잡아 금연시작일로 정하고 단숨에 끊자. 그 다음 할 일은 흡연 상황을 피하고 자신을 믿으며 끝까지 참아내는 것이다.

  • PDF

생활습관병 예방 프로젝트 1 둘러보기 - 금연 선진국으로 가는 길

  • Lee, Eun-Jeong
    • 건강소식
    • /
    • v.37 no.5
    • /
    • pp.6-7
    • /
    • 2013
  •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열린 담배규제기본협약(FCTC) 당사국 총회에서, '한국은 아직까지 금연 후진국이며 금연정책을 더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일례로, 이미 전 세계 270개국이 담뱃갑에 섬뜩한 경고사진을 부착한데 반해 우리나라는 지난해 9월에야 관련 법안을 입법예고했다. 금연 선진국으로 가는 길은 아직 먼 것일까.

  • PDF

가꾸는삶 - 병을 이기는 건강요가 - 편두통을 다스리는 요가 -

  • Jeong, Yu-Gyeong
    • 건강소식
    • /
    • v.33 no.12
    • /
    • pp.30-31
    • /
    • 2009
  • 최근 극심한 불황으로 두통이나 편두통이 발생하여 병원을 찾는 사람이 2006년에 비해서 2008년에는 19.5%가 증가하였다고 한다. 편두통은 생활의 불안정과 미래에 대한 불안감에 의해 스트레스가 극대화되고, 운동부족과 좋지 않은 자세 습관으로 근육과 혈관이 수축됨으로 인해 호르몬의 변화가 생기면서 유발된다. 증상에 대한 회복을 위해서는 마음가짐을 편안히 하고 규칙적인 식사와 꾸준한 운동이 필수라고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