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활습관 병

Search Result 157,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Factors Affecting Health Behaviors for Lifestyle-related Diseases of Public Officials Using Health Belief Model (건강믿음모형을 이용한 공무원의 생활습관병에 대한 건강행동 요인)

  • Kang, Jeong-Suk;Cho, Young-Cha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11
    • /
    • pp.239-251
    • /
    • 2017
  •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health behaviors and related factors of lifestyle related diseases among some public officials. The study subjects were 729 administrative officers of the general public office of the government in D metropolitan city.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February 1 to March 31, 2016. As a result, the health behavior score for lifestyle related disease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vulnerability, the effectiveness of health behavior and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media about lifestyle-related diseases, while it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barriers to health behaviors concerning lifestyle related diseases. As a result of the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vulnerability and seriousness about lifestyle related diseases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affecting health behavior for lifestyle related diseases. The next most important factors were a family history of lifestyle related diseases,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media, effectiveness of and barriers to health behavior, instrumental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These results suggest that each factor constituting the Health Belief Model (HBM) (perceived vulnerability and seriousness about lifestyle related diseases, perceived effectiveness and barriers to health behaviors, family history of lifestyle related diseases,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mass media about lifestyle related diseases, social support network for lifestyle related diseases) is an important factor to consider in practicing health behaviors for lifestyle related diseas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factors related to the practice of the health behaviors of the subjects and to manage them continuously.

연중특별기획 - 몸을 망가뜨리는 인간의 치명적 실수, 무관심 - 생활습관에서 시작되는 질환, 치질

  • Jo, Dong-Ho
    • 건강소식
    • /
    • v.35 no.1
    • /
    • pp.18-23
    • /
    • 2011
  • 치질로 인해 병원을 찾는 사람들의 원인을 파악해보면 대부분이 생활습관으로부터 병이 시작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도 모르게 익숙해진 식습관, 배변습관이 항문질환의 원인이 되는 것이다. 치질은 수술 없이도 좌욕 등 생활습관만 고치면 증상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귀찮고 창피하다는 이유로 병을 숨기다가 수술까지 가는 경우가 많다.

  • PDF

사물인터넷기반 라이프케어 빅데이터 센싱기술

  • Jo, Wi-Deok;Choe, Seon-Tak;Baek, Jae-Sun;Min, Myeong-Gi;Lee, Yeong-Gwon;Lee, Gyu-Pil;Park, Gyeong-Chan;Lee, Jong-Ik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2 no.11
    • /
    • pp.21-31
    • /
    • 2015
  • 현대 사회에서의 삶의 모습이 다양해짐에 따라 생활습관이 다양해지고 잘못된 생활습관으로 인한 생활습관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 및 빅데이터와 같은 IT기술을 통해 사용자의 다양한 생활습관을 추적할 수 있는 방법과 그 응용 기술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이러한 생활습관 추적 및 분석 기술은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노약자나 장애인, 생활습관병 환자 등 특수계층의 건강 예측, 질병 관리 분야에서 실효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라이프케어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센싱 기술에 초점을 두고, 낮 시간의 활동과, 밤 시간의 수면 및 위치 기반 기술, 빅데이터 플랫폼, 스마트 홈 패턴 모델링 기술에 대해서 소개한다.

생활습관병 예방 프로젝트 1 바로알기 - 과식이 부르는 생활습관병 위장질환과 지방간

  • Lee, Jin-Han
    • 건강소식
    • /
    • v.37 no.2
    • /
    • pp.6-9
    • /
    • 2013
  • 습관은 40대 이후의 건강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특히 과식습관의 경우 위장과 관련된 질환과 지방간 등 심각한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어 유의해야 한다. 과식에 노출되기 쉬운 명절, 칼로리를 줄이고 과식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본다.

  • PDF

특집 - 전문의가 바라본 2008년 당뇨병 치료 변화 패턴

  • Park, Jeong-Hyeon
    • The Monthly Diabetes
    • /
    • s.217
    • /
    • pp.27-31
    • /
    • 2007
  • 의학은 항상 변화하고 발전하는 학문이다. 특히 최근 임상의 학은 눈부시게 빠른 속도로 발전해가고 있다. 당뇨병의 치료 분야는 임상의학의 모든 분야를 통틀어 가장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분야의 하나로 해가 갈수록 이전과는 다른 내용의 과학적 정보들 및 진료지침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우리가 당뇨병의 병태생리에 대해 알고 있는 지식과 당뇨병을 치료하기 위해 가지고 있는 기술은 1921년 인슐린이 발견된 이래로 크게 진보된 것은 없다고 생각한다. 아직도 많이 불완전한 치료 방법들만을 너무 맹신하고 당뇨병의 보다 근본적인 병태생리가 되는 생활습관의 왜곡에 대해 보다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않는 것은 크게 잘못된 것이다. 2008년에는 당뇨병을 앓고 있는 모든 환자분들과 당뇨병 치료에 관련된 모든 의학계의 분들이 같이 노력해서 잘못된 관행과 습관 및 제도 등을 개선하고, 약물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잘못된 생활 습관을 제대로 교정하려는 노력도 함께 기울였으면 한다.

  • PDF

관상동맥합병증과 당뇨병

  • O, Dong-Ju
    • The Monthly Diabetes
    • /
    • s.194
    • /
    • pp.24-27
    • /
    • 2006
  • 관상 동맥성 심장 질환의위험 요인들은 거의 모두가 평소의 생활습관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관상 동맥성 심장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이런 바람직하지 못한 생활습관을 조절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또 효과적인 대책이라고 할수 있다.

  • PDF

당뇨병의 예방및 관리

  •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 건강소식
    • /
    • v.26 no.11 s.288
    • /
    • pp.6-13
    • /
    • 2002
  • 지난 30여년 동안 급속한 경제 성장과 생활 양식의 변화는 우리 사회에 많은 변화를 초래하였고 한국인의 질병 양상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동물성 식품과 지방질 섭취의 증가, 신체활동 감소,노령인구 증가, 생활양식의 서구화 및 도시화 등은 한국인에서 만성질환의 발생과 이환을 증가시키고 있다. 통계청의 2001년 사망원인통계를 보면 1위가 암, 2위가 뇌혈관 질환, 3위가 심장질환, 4위가 당뇨병, 5위가 간질환으로 모두 잘못된 생활습관으로 인한 만성질환이다. 이중에서도 당뇨병은 지난 1991년 이후 암 다음으로 많이 증가한 질병으로 인구 10만명 당 23.8명이 당뇨병으로 사망했으며 하루 평균 당뇨병으로 31명이 사망한다. 2002년 4월, 대한당뇨병학회의 "한국인의 당뇨병 발생 현황 보고"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의 당뇨병 유병률은 10%선으로 최소 3백만명에서 최대 5백만명 정도가 당뇨병을 앓고있다. 우리나라는 식생활의 서구화, 고령화 등으로 당뇨병 환자가 급증하고 있어 생활 양식의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앞으로 10년 안에 전체 국민의 1/4정도인 1천2백만명 가량이 당뇨병으로 고통을 받게 될 것이라 한다. 당뇨병은 당뇨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만성 합병증이 매우 무서운 병으로 일단 발병하면 적극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정상으로 회복되기 어렵다. 따라서 합병증의 효과적인 예방을 위해서는 특별한 임상 증상이 없더라도 당뇨병을 처음 진단 받은 날부터 주기적인 검진을 통하여 조기에 발견해 낼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이와 더불어 주기적인 혈액 검사와 주치의 면담을 통하여 정상 혈당을 유지할 수 있는 혈당 조절 방법과 함께 만성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는 생활 습관 개선(금연, 금주,표준체중 유지,규칙적 운동,정상 혈압 유지,정상 혈중 지질 유지등)을 반드시 실천하여야 한다.

  • PDF

Lifestyle factors related to glucose control for diabetes management strategies: Nested case control design using KNHANES data (당뇨병 관리전략을 위한 혈당조절 관련 생활습관 요인: 국민건강영양조사 활용 코호트내 환자-대조군 연구)

  • Kim, Yunjung;Cho, Eunhee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11
    • /
    • pp.501-510
    • /
    • 2019
  • This study aimed to find health related lifestyle factors that influence glycemic control for diabetes mellitus (DM) management strategies. This study used nested case-control design with matching variables that were not controlled by individuals such as age, sex, insulin or oral hypoglycemic agent (OHA) use, disease duration, education level and household income. This study analyzed 983 subjects with type 2 DM who enrolled in the $7^{th}$ (2016-2017)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The target HbA1c level of controlled glucose was defined as less than 6.5%, and 289 (30%) were achieved. Conditional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self-control factors associated with HbA1c levels. The result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variables such as duration of diabetes, insulin or OHA use in overall cohort and body mass index (BMI), smoking and fundus Examination in matched cohort.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as evidence for the intensive care criteria(disease duration, drug use) and lifestyle management strategy(BMI, smoking, fundus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