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활습관개선

Search Result 199,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고지혈증의 원인과 치료 - 고지혈증과 식사요법

  • Jang, Yun-Jeong
    • The Monthly Diabetes
    • /
    • s.285
    • /
    • pp.30-34
    • /
    • 2013
  • 고지혈증의 치료를 위해서는 올바른 식사와 생활습관의 수정이 필요하다. 미국 당뇨병학회(American Diabetics Association, ADA)는 당뇨병환자의 고질혈증의 치료를 위해 생활습관 조정, 신체 활동 증가, 체중 감소, 금연과 함께 개인별 상황을 고려한 영양적 중재를 권하고 있고, 국립 콜레스테롤 교육 프로그램(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에서 제정한 고지혈증 치료지침서(Adult Treatment Panel III, ATP III)에서는 비약물 요법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식사요법 및 생활습관의 개선(therapeutic lifestyle change, TLC)으로 고지혈증의 치료를 시작하여 6주 이상 실시한 후에 효과가 없을 때는 약물치료를 하도록 권하고 있다. 따라서 고지혈증 개선을 위해 바람직한 식사 원칙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 PDF

Lifelog Big Data Based Metabolic Syndrome Management System (라이프로그 빅데이터 기반 대사증후군 관리 시스템)

  • Kim, Ji-Eon;Kim, Seung-Jin;No, Si-Hyeong;Jeong, Chang-Won;Kim, Tae-Hoon;Jun, Hong-Yong;Yu, Tae-Yang;Yoon, Kwon-H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05a
    • /
    • pp.236-237
    • /
    • 2018
  • 최근 생활습관정보는 대사증후군을 진단하기 위한 임상적 진단지표로 중요하게 활용되고 있다. 대사증후군은 심혈관 및 간질환 그리고 당뇨와 같은 여러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질환으로 질환 정도에 따른 체계적 관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대사증후군 환자의 생활습관을 수집하기 위한 대부분의 시스템은 자가진단 및 예방 중심의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어 정확한 생활습관을 수집하여 생활습관을 관리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임상적 진단지표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신뢰성 있는 생활습관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수집된 생활습관정보를 모니터링 하여 환자의 생활습관 개선 여부에 따라 지속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여 체계적으로 생활습관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비만아동의 생활습관개선을 위한 예비프로그램의 효과

  • 이혜상;정운선;박응임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4.05a
    • /
    • pp.427.1-427
    • /
    • 2004
  • 아동비만은 성인비만으로 이어지기 쉬우며, 비만아동은 자신의 신체에 대해 열등감을 가지며 자아존중감이 낮고 우울한 경향이 많다. 국내의 경우 주로 의사와 영양사를 중심으로 비만관리 프로그램이 이루어지고 있고 효과도 평가되고 있으나, 본 연구는 아동의 생활습관 개선에 의한 체중감량을 목표로 한 종합적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여 선행 연구에서 비만아동의 의생활, 식생활, 신체적ㆍ심리적 특성 등을 분석하였다.(중략)

  • PDF

The Affection on Improvement of Healthy Life habit toward Skin Care Education for Women -Trainee on Related Education Center- (여성의 피부미용 교육이 건강생활습관 개선에 미치는 영향 -관련 교육 수강생을 중심으로-)

  • Kim, Moon-Jo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8
    • /
    • pp.3452-345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on participation on health education program toward skin care and the improvement of healthy life habit.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selected by multi-stage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among the skin care education center to learn health education program toward skin care among women in the Seoul and Kyunggi area.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adapted from Payne and Hahn's(1986) 'Understanding Your Health-A personal profile; Evaluating Your Health'. The pilot test was executed after the questionnaire was translated into Korean. The statistics employed the study were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 $x^2$ verification, frequency, ANOVA, multiple classification analysis, ANC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that were derived from these processes were as follows: First, before and after on health education program toward skin care, the student's healthy life habit is partially changed. Second, the relationship the period of education program and the characteristic healthy life habit, long-term skin care education is positively affected sleeping habit, anti-stress treatment, exercise and nutrition. Third, the relationship on the frequency of education program and the characteristic healthy life habit, more frequently participation on skin care education is positively affected on healthy life habit and exercise.

Development of Metabolic Syndrome Management System for Health Life Analysis Using Iterative Survey Method (반복적인 설문 방법을 이용한 생활습관분석을 위한 대사증후군 관리 시스템 개발)

  • Kim, Ji-Eon;No, Si-Hyeong;Jeong, Chang-won;Kim, Tae-Hoon;Jun, Hong-Yong;Yu, Tae-Yang;Yoon, Kwon-H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614-615
    • /
    • 2017
  • 국내에서 서구화된 생활습관으로 인해 대사증후군 환자가 매년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대사증후군은 다양한 심혈관 및 간질환 그리고 당뇨와 같은 질환으로 위험성 높으며, 여러 합병증을 유발 할 수 있다. 이러한 질환을 진단하는데 임상적인 진단지표가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최근 생활습관정보를 기반으로 분석하여 자가진단 및 예방에 중점을 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임상에서 생활습관정보를 기반으로 질환진단에 활용하는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사증후군 관련 환자를 대상으로 반복적으로 생활습관과 정확한 운동습관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족 생활습관관련 설문지 조사 방법은 반복적인 설문방법을 채택하여 앱상에서 수집하고 운동습관 정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정확한 운동관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비만 및 대사증후군 환자의 생활습관 개선에 따른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 수집한 생활습관과 운동습관정보를 분석하여 임상에 활용할 수 있는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The Convergence Effect of the Willingness to use Smartphone Application on Therapeutic Lifestyle Change among People with Mental Illness (스마트폰 앱 활용의지가 정신질환자의 생활습관 개선에 미치는 융합적 효과)

  • Lee, Kyunghee;Han, Mihwa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7
    • /
    • pp.325-335
    • /
    • 2018
  • We aimed to construct and tes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analyze the convergence effect of utilizing smartphone technology for Therapeutic Lifestyle Change(TLC) among people with mental illness. A survey using a structured self-questionnaire was conducted from 549 male and 357 female subjects. The data was analyzed by SPSS 23.0 and AMOS 21.0. The model fit for the modified hypothetical model was shown: Q(${\chi}^2/df$)=3.241, AGFI=0.968, CFI=0.970, RMSEA=0.050(95% CI=0.035, 0.065), SRMR=0.048. In modified model from hypothetical model, the opinions about smartphone use affect the willingness to use smartphone applications. And the willingness to use smartphone applications affect dietary and living habits.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a convergent study using various delivery systems such as smartphone technology is necessary to implement TLC, which can facilitate the prevention of the metabolic syndrome among people with schizophre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