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활로그

Search Result 68,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Interview - "It is the exhibition's plan to disassemble and fragment for criticism and history It is hopped to utilize the exhibition media actively in order to promote architectural discourse" (인터뷰 - "비평·역사를 해체·파편화시키는 게 '전시기획' 건축담론 활성화되도록 전시매체 적극 활용해주길" _ 정다영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 Jang, Yeong-Ho
    • Korean Architects
    • /
    • s.594
    • /
    • pp.170-181
    • /
    • 2018
  • 국립현대미술관은 김중업건축박물관과 공동주최로 건축사 김중업을 조명하는 '김중업 다이얼로그'전을 8월 30일부터 12월 16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중앙홀과 2전시실에서 열고 있다. 그가 설계한 30여 년간의 건축물과 관련된 사진과 자료 3000여 점이 전시중이다. 전시는 학예연구사의 안목과 해석작업이 중요하다. 역사와 문화라는 재료를 요리하는 학예연구사의 안목에 따라 그 가치가 빛나거나 그 반대일 수 있는데, 이런 이유로 학예연구사는 전시기획에 대한 권한을 갖고 역사해석, 전시방법 선택 등을 하게 된다. 정다영 학예연구사는 2011년부터 국립현대미술관의 건축부문 학예연구사로 일해 왔다. 올해 베네치아 건축 비엔날레 한국관 공동 큐레이터로 참여해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전을 기획했으며, 이번 '김중업 다이얼로그'전도 그의 작품이다. 월간 '공간'에서 약 6년간 기자생활을 하고, 학예연구사의 길을 걷고 있는 그녀는 전시라는 매체를 통해 건축의 영역과 담론을 확장 증폭시켜 관계를 맺고 퍼트리는 어쩌면 당대 건축계에 가장 필요한 일을 해주고 있다.

  • PDF

The Study on System Log Analysis of Malicious Behavior (악성 행위에 대한 시스템 로그 분석에 관한 연구)

  • Kim, EunYoung;Lee, CheolHo;Oh, HyungGeun;Lee, Ji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1193-1196
    • /
    • 2004
  • 1980년 후반. MIT에 버너스 리 교수가 인터넷 상에 웹(WWW)을 창시하면서부터 우리의 일상생활은 엄청난 변화를 가져왔다. 시 공간을 초월할 수 있는 인터넷이라는 가상 세계에서는 개인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등 모든 분야에 걸쳐 인터넷을 통한 쉽고 간편하며 빠른 교류가 이루어짐으로써 이제 더 이상 네트워크를 이용하지 않는 분야는 찾아 볼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현실 속에서 인터넷은 항상 순기능만을 수행하지는 않는다. 특히 악성코드를 이용한 사이버 침해 행위 기술이 인터넷의 발전과 함께 동시에 발전함으로써 이제는 악성코드를 이용한 사이버 침해 행위를 방지하고자하는 노력을 해야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악성코드를 탐지하기 위해 실시간 시스템 모니터링 도구를 이용하여 악성코드가 시스템에 어떠한 침해행위를 행하고, 해당 침해 행위 모니터링 로그 분석을 통해 기존의 알려진 악성코드뿐만 아니라 알려지지 않은 악성코드를 탐지할 수 있는 악성 패턴 분석 및 추출에 초점을 두어 기술하였다.

  • PDF

Tone Mapping Algorithm of High Dynamic Range Image Based on Histogram (고명암 대비 영상의 히스토그램 기반 톤 매핑 알고리즘)

  • Chun, Sung-Moon;Kim, Jae-Jung;Kwack, Kae-Dal;Shin, Seung-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961-962
    • /
    • 2009
  • 본 논문은 히스토그램 기반의 톤 매핑 기법을 소개한다. 톤 매핑 이란 고명암 대비 영상을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할 수 있게 저명암 대비 영상으로 만들어주는 방법이다. 대표적인 방법으로 히스토그램 평균화 톤 매핑, 선형 톤 매핑, 로그 톤 매핑 등이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히스토그램 평균화 톤 매핑과 로그 톤 매핑을 선형결합 함으로써 최대한 정보를 보존하면서 인간의 시각 특성에 적합한 톤 매핑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하여 제안된 톤 매핑 방법이 우수한 성능을 나타냄을 확인하도록 하겠다

Performance Reservation System Based On Spring Framework (스프링 프레임워크 기반 공연 예매 시스템)

  • Hur, Tai-Sung;Park, Su-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275-276
    • /
    • 2020
  • 오늘날 문화, 여가 생활을 즐기는 인구가 늘어가면서 연극, 음악회, 뮤지컬 등 공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공연 예매 시스템으로 스프링 프레임워크 기반으로 관리자와 사용자 기능이 분리되어 구현하였다. 관리자는 회원 관리, 공연 관리, 예매 관리 기능을 갖으며 사용자는 회원가입하고, 로그인 후 공연 및 좌석 예매를 할 수 기능을 가지고 있다.

  • PDF

Similarity Calculation for Mobile Life Log Data Mining (모바일 라이프로그 데이터 마이닝을 위한 Non-Euclidean 데이터의 유사도 계산)

  • Lee, Young-Seol;Cho, Su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a
    • /
    • pp.298-301
    • /
    • 2011
  • 모바일 기기에서 수집된 많은 정보들은 시맨틱한 정보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수치 해석에 특화된 클러스터링 등의 데이터마이닝 방법들을 적용하기가 힘들다. 따라서 상대적인 유사도를 계산하는 방법이 많이 이용되지만, 상대적인 유사도 값조차 유클리드 거리로 환산이 불가능한 특징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본 논문에서는 비유클리드 특징을 가지는 유사도를 TFIDF 와 pseudo-Euclidean embedding을 적용하여 유클리드 공간 상의 거리값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의 가능성을 보이기 위하여 모바일 기기에서 대학생들의 생활 패턴을 반영하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에 제안하는 방법을 적용한다. 그리고 적용된 결과를 대학생들의 생활 패턴과 비교하여 분석한다. 또한 장소 간의 유사도를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한다.

Research on classification system of emotionally experienced image (감성 경험 이미지 자동 분류 시스템 개발)

  • Lee, Jeong-Nyeon;Hwang, Min-Cheol;Gwak, Dong-Min;Jeon, Gi-Hyeok;Jeong, Bong-C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05a
    • /
    • pp.195-198
    • /
    • 2009
  • 본 연구는 사용자가 경험하는 감성 이미지를 추출하여 생리신호를 통해 자동으로 분류하는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스템은 이미지의 감성평가를 위하여 착용과 휴대가 간편한 PPG생체신호를 활용하였고, 생활 속의 장면들에서 감성 별 이미지를 무선으로 PC에 저장 및 분류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미지의 라이프 로그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은 사용자의 경험과 이미지를 연관시켜 생활 속 정보의 경험 피드백을 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 PDF

Study of Design for Digital Appliance Interlace Using Analog Metaphor (아날로그 메타포를 활용한 디지털 가전 제품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

  • Shim, Jae-Hee;Yang, Jeong-Hwa;Jang, Sae-Hu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b
    • /
    • pp.334-339
    • /
    • 2008
  • 요즈음 각종 미디어를 통해 '디지로그' 라는 신조어가 주목 받고 있다. 디지로그의 핵심은 디지털 기반의 이분법적인 사고의 틀을 보완하기 위해 아날로그적인 감성의 도입을 의미한다. 이는 기능중심적인사고로 해결할 수 없는 인간과 컴퓨터의 간극을 새롭게 조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서 HCI 문제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기존 생활가전제품 인터페이스의 중요한 목적은 사용성, 유용성과 같은 기능적인 측면 이었다. 이는 제품자체의 목적을 그 기능에 국한하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 에어컨, 냉장고와 같은 생활 가전제품들의 위상은 기능을 넘어 집안의 인테리어의 요소로써의 역할 뿐만 아니라 자신을 대변 할 수 있는 혹은 과시하고 싶은 명품 이미지로써 점차 자리잡기 시작하였다. 또한 TFT Color LCD의 도입은 제품의 상태를 단순히 전달해 주는 단계를 벗어나 심미적인 표현까지 가능하게 해주었다. 이를 계기로 수채화 표현기법과 같은 아날로그 메타포를 활용한 감성적 인터페이스가 시도될 수 있었다. 아날로그 메다포를 활용한 디지털 가전 인터페이스의 첫 번째 단계는 스타일이다. 아날로그적인 스타일을 가장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것은 바로 회화영역이다. 에어컨 공기청정기능의 프로그레시브 영역에 수채화로 표현된 산과 들을 보여줌으로서 인터페이스가 하나의 풍경화로서의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소비자들에게 정신적인 만족감과 더불어 제품의 프리미엄의 이미지를 각인시킨다. 두 번째 단계는 스토리이다. 기능을 디지털의 On/Off에 의거하여 나열 하기보다 기능과 기능사이의 문맥을 스토리로 연결함으로서 아날로그적인 접근이 가능하다. 이러한 스토리의 기준은 사용자의 경험에 기인하여 만들어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단계는 컨텐츠이다. 이제는 한가지로 집중된 기능만으로는 사용자를 만족 시킬 수 없다. 사용자에게 인간적인 체온이 느껴지는 아날로그적인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서 인터페이스 자체로 감동을 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변화는 디지털제품의 궁극적인 목표가 사용자에게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준다. 이제는 똑똑하고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넘어 사용자체가 감성적 만족감을 주는 매력적인 인터페이스로 진화 하고 있는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facial recognition application for automation logging of emotion log (감정로그 자동화 기록을 위한 표정인식 어플리케이션 개발)

  • Shin, Seong-Yoon;Kang, Sun-Kyo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1 no.4
    • /
    • pp.737-743
    • /
    • 2017
  • The intelligent life-log system proposed in this paper is intended to identify and record a myriad of everyday life information as to the occurrence of various events based on when, where, with whom, what and how, that is, a wide variety of contextual information involving person, scene, ages, emotion, relation, state, location, moving route, etc. with a unique tag on each piece of such information and to allow users to get a quick and easy access to such information. Context awareness generates and classifies information on a tag unit basis using the auto-tagging technology and biometrics recognition technology and builds a situation information database. In this paper, we developed an active modeling method and an application that recognizes expressionless and smile expressions using lip lines to automatically record emotion information.

A Life Browser based on Probabilistic and Semantic Networks for Visualization and Retrieval of Everyday-Life (일상생활 시각화와 검색을 위한 확률망과 의미망 기반 라이프 브라우저)

  • Lee, Young-Seol;Hwang, Keum-Sung;Kim, Kyung-Joong;Cho, Sung-Bae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6 no.3
    • /
    • pp.289-300
    • /
    • 2010
  • Recently, diverse information which are location, call history, SMS history, photographs, and video can be collected constantly from mobile devices such as cellular phone, smart phone, and PDA. There are many researchers who study services for searching and abstraction of personal daily life with contextual information in mobile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introduce MyLifeBrowser which is developed in our previous work. Also, we explain LPS and correction of GPS coordinates as extensions of previous work and show LPS performance test and evaluate the performance of expanded keywords. MyLifeBrowser which provides searching personal information in mobile device and support of detecting related information according to a fragmentary keyword and common knowledge in ConceptNet. It supports the functionality of searching related locations using Bayesian network that is designed by the authors. In our experiment, we visualize real data through MyLifeBrowser and show the feasibility of LPS server and expanded keywords using both Bayesian network and ConceptNet.

Adaptive Web Image Server for Sharing e-Catalog of e-Commerce (전자상거래용 이미지 공유를 위한 웹 이미지 서버)

  • 김명은;라인순;조동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31-33
    • /
    • 2002
  • 인터넷의 발달로 데스크탑 컴퓨터만이 아니라 냉장고, 달리는 차안, PDA, 핸드폰 등 생활 영역 곳곳에서 인터넷을 할 수 있다. 이런 다양한 기기에서 누릴 수 있는 서비스의 질은 분명 다르다. 여러 종류의 다양한 서비스를 보장하기 위해서 서비스 제공자는 같은 상품이라도 화질별로 이미지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전자상거래용 이미지는 같은 상품에 대한 이미지라도 상황에 따라 보이는 크기가 다르다. 카달로그 목록에 있는 이미지는 작은 것을 사용하고 상품을 제시할 때는 확대된 그림을 사용해야 한다. 현재의 서버시스템은 이미지를 크기에 따라 개별적으로 저장한다 따라서 상품을 교체할 때마다 여러 개의 이미지를 동시에 바꿔야 하기 때문에 이러만 시스템은 비효율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비효율성을 줄이기 위해 수준에 맞게 이미지를 자동으로 처리하여 같은 이미지를 여러 버전으로 보여주는 웹 이미지 서버를 제안한다. 제안된 웹 서버는 사용자를 분류하고 그 분류에 따라 대용량, 고화질 이미지에서 저용량, 저화질로 이미지를 자동으로 처리하여 효과적이고 더 빠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웹 이미지로도 다양한 수준의 이미지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 종류 별로 웹 페이지를 만들지 않아도 되고, 저장공간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