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태학적

Search Result 2,746,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Lethal and Sublethal Toxicities of Bisphenol A and Ethynyl Estradiol Exposure on the 4th Instar Larvae of Chironomus riparius (Diptera, Chironomidae) (비스페놀 에이와 에티닐에스트라디올에 노출된 키로노무스 4기 유충의 치사, 아치사 독성연구)

  • Lee, Se-Bum;Choi, Jin-Hee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v.21 no.4 s.55
    • /
    • pp.301-31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내분비계장애물질로 잘 알려진 Bisphenol A와 Ethynyl estradiol(이하 BPA, EE)이 Chironomus riparius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생생태계에서 Chironomus의 생태학적 중요성을 고려하여 연구한 반수치사농도(LC50),효소 활성, 성장/발달 등의 생화학적, 생리학적 독성에 대한 연구는 이들 물질에 대한 잠재적인 생태학적 중요성을 이해하는데 있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결과 BPA와 EE에 노출된 후 C. riparius게서 CAT와 GST활성이 증가하였고, EE에 고농도로 노출된 후 성충까지 충분히 성장하지 못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C. riparius에서 BPA, EE에 대한 중요한 독성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므로 앞으로 BPA와 EE의 생화학적 효과와 C. riparitis의 개체수준 이상에서의 생리학적 실험을 통한 검증이 필요할 것이다.

Niche Overlap of Social Space: Duality of Individuals and Groups (개인과 집단의 이중성에 기초한 사회적 공간의 생태지위 분석)

  • 한준;박찬웅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urvey Research Conference
    • /
    • 2001.04a
    • /
    • pp.109.1-127
    • /
    • 2001
  • This paper offers a method to measure the distribution of niches of two types of social organizations, Internet sites and voluntary organizations, based o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ir members. It examines the niches of Internet sites based on age and education of site visitors and those of voluntary organizations based on age, education, and occupational prestige of their members. The method to measure organizational niches makes it possible not only to understand the niche width of organizations but also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organizations potentially compete and coexist. This leads to a method to recognize the way organizational environments influence the performance of individual organizations ecologically.

Estimation of Ecological Carrying Capacity for Oyster Culture by Ecological Indicator in Geoje-Hansan Bay (생태지표를 이용한 거제한산만 굴양식장의 생태학적 수용능력 산정)

  • Lee, Won-Chan;Cho, Yoon-Sik;Hong, Sok-Jin;Kim, Hyung-Chul;Kim, Jeong-Bae;Lee, Suk-M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7 no.4
    • /
    • pp.315-322
    • /
    • 2011
  • The importance of aquafarming is increasing all over the world, however the coastal environment in the semi-closed inner bay has been aggravated due to the long term production and the high stocking density. For the sustainable aquafarming, there is a requirement for a eco-friendly fishery management by the estimation of ecological carrying capacity. The model development and application is still in the initial step, because it has to consider the whole ecosystem and all culture activities. As an alternative, there is a requirement for ecological indicator to assess the ecological performance. This study tried the estimation of ecological carrying capacity using ecological indicator. The production and the facility of the oyster farms was 4,935M/T, $49ind./m^3$ in Geoje-Hansan Bay(2008). Filtration pressure indicator was 0.203 which could provide a guidance on the present level of culture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the present oyster farms in Geoje-Hansan Bay, the newly assessed filtration pressure for the acceptable ecological carrying capacity was 0.102. Consequently, ecological carrying capacity in Geoje-Hansan Bay was 2,480M/T, $25ind./m^3$ and this represents the level of culture that can be introduced into Geoje-Hansan Bay without leading to significant changes to ecological process, species, populations or communities. Our study utilized the ecological indicator to estimate ecological carrying capacity of oyster farming for sustainable productivity and this could be the scientific basis for the eco-friendly fishery management.

Application of Ecological Indicator to Sustainable Use of Oyster Culture Grounds in GeojeHansan Bay, Korea (거제한산만 굴양식장의 지속적 이용을 위한 생태지표의 적용)

  • Cho, Yoon-Sik;Hong, Sok-Jin;Park, Sung-Eun;Jung, Rae-Hong;Lee, Won-Chan;Lee, Suk-M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6 no.1
    • /
    • pp.21-29
    • /
    • 2010
  • The concept of carrying capacity for bivalve culture of an area can be classified into four hierarchical categories, according to their level of complexity and scope, such as physical, production, ecological and social carrying capacity. Most scientific efforts to date have been directed towards modelling production carrying capacity and some of the resultant models have been used successfully. But, the modelling of ecological carrying capacity is still in its infancy, because it should consider the whole ecosystem and all culture activities. A more holistic approach is need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bivalve aquaculture on the environment and ecological carrying capacity. As an alternative, we can use a set of ecological indicators which can show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of bivalve farms and assess ecological carrying capacity. Clearance efficiency and filtration pressure indicators show the value of 0.331 and 0.203, respectively, and these indicators suggest that the present level of culture in GeojeHansan Bay is above the ecological carrying capacity of 0.05. Consequently, these indicators can provide a guidance on the present level of culture in regard to production and ecological carrying capacity in GeojeHansan Bay.

A Sociological Approach to the Destruction of Ecosystem (생태계 파괴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

  • Jeong, Dai-Yeun;Chang, Shin-Ock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16 no.3
    • /
    • pp.207-227
    • /
    • 2007
  • 본 연구는 오늘날 범지구적 차원에서 심각한 수준에 있는 생태계 파괴에 대한 사회학적 함의를 정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생태계의 개념과 구조를 살펴보고, 다음으로 인간활동으로 인한 생태계 파괴의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마지막으로 그 메커니즘에 기초하여 생태계 파괴에 대한 사회학적 함의를 정립하였다. 생태계로서의 자연은 인간 없이 존재할 수 있지만 인간은 자연 없이는 생존할 수 없다. 따라서 생계위기는 곧 인간의 위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8세기 산업혁명 이후 풍요성과 편리성 추구를 위한 인간의 활동 결과 지구는 점용환경용량을 2.5배 초과되었다. 이것은 인간이 범한 모순이다. 이 모순을 해결하면서 사회발전을 추진하자는 이념으로 1987년 지속가능발전이 제창되었고, 지속가능발전은 1990년대 중반에 지속가능사회로 대치되었고, 2000년대에 와서는 지속가능사회가 생태적 근대화로 대체되었다. 18세기 산업혁명 이후 풍요성과 편리성 증대를 위한 인간의 활동으로 생태계가 파괴되기 시작한 후, 생태계를 보전하면서 사회발전을 추진하자는 생태적 근대화 이념이 출현까지의 역사적 과정은 정(正)-반(反)-합(合)의 변증법 과정으로 이론화될 수 있다. 산업혁명 이전의 농업사회 때는 인간의 활동이 점용환경용량 범위 안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환경문제가 없었다. 이 시대는 생태적 지속가능성이 유지되었기 때문에 생태적 합(合)의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산업혁명 이후 인간의 활동이 생태계의 점용환경용량을 초월시킨 것은 생태계에 반(反)이 작용한 것이다. 따라서 범지구적 차원에서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정책이 도입되기 이전까지 생태계는 정(正)과 반(反)이 대립상태에서 공존하였다. 1990년대 이후 생태적 지속가능성을 위한 각종 지속가능발전정책의 도입은 정(正)과 반(反)의 대립을 통해 다시 생태학적 합(合)의 상태를 지향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Analysis of habitat environment characteristics for Endangered Fish (Liobagrus Obesus) using MD-SWMS (MD-SWMS를 이용한 멸종위기 어종(퉁사리)의 서식환경 특성 분석)

  • Park, Sung-Chun;Jin, Young-Hoon;Roh, Kyong-Bum;Lee, Y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45-749
    • /
    • 2012
  • 국내 주요하천은 지속적인 산업화와 난개발로 인해 생태계파괴 및 수변생물의 서식처 환경 악화로 하천 생태계에 많은 악영향을 받고 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국내에서는 하천의 기능과 생물의 다양성, 하천환경 및 생태학적인 가치와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매우 커짐에 따라 하천의 생태적 기능을 매우 중요시 하고 있으며, 하천의 난개발로 인한 피해를 복원하기 위해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인 연구로 생태계 건전화 개념을 도입하여 담수성 어류 서식처 제공 및 이동에 필요한 유량을 산정한 한국 수자원공사(1995)의 연구가 있으며, 김규호 등(1996a, 1996b)은 물고기 서식처 환경 중 특히 수심과 유속 등 수리조건을 유지하기 위한 최소유량 산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노경범(2011)은 섬진강의 하천환경 회복을 위한 연구대상 구간에서의 대표어종을 선정하여 서식처 특성 파악을 위해 하천 특성을 연구하였다. 이와 같이 현재 국내에서도 하천의 기능과 생태학적 기능을 위한 노력과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생태학적 서식처 연구에서는 아직까진 미진한 부분이 많이 있다. 그 예로 보호종이나 멸종위기어종과 같은 생물의 서식처 확보를 위한 연구가 아직까지는 많은 노력과 연구가 필요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부에서 지정한 멸종위기 1급 어종인 퉁사리를 대상으로 서식환경 특성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퉁사리의 생태학적 서식특성과 현재 지석천 상류 유역에서 관찰되고 있는 서식구간을 중심으로 MD-SWMS (Multi-Dimensional, Surface Water Modeling System) 모형을 이용하여 수리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하상재료 입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입도가 큰 굵은모래 및 잔자갈, 굵은자갈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리학적 특성분석결과 서식구간 내에서는 비교적 빠른 유속이 나타났다. 이러한 퉁사리의 서식환경의 특성 분석으로 서식구간 내 입도가 큰 하상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퇴적구간이 생성되지 않을 정도의 유사이송량과 유속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퉁사리의 장기적인 서식환경 조성과 보존을 위해 대상구간의 유사이송의 연구와 실측 및 수변환경 모니터링을 통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Validating Iconic Memory According to the Phenomenological and Ecological Criticisms (현상학적, 생태학적 비판에 기초한 영상기억의 타당성)

  • Hyun, Joo-Seok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30 no.4
    • /
    • pp.239-268
    • /
    • 2019
  • Since last several decades, iconic memory has been accepted theoretically valid for its role of the first storage mechanism in visual memory process. However, there have been relatively less interests in iconic memory among researchers than their interests in visual short- and long-term memory. Such little interests seem to arise from a lack of detailed understandings of theories and methodologies about iconic memory and visual persistence. This study aimed to achieve the understandings by reviewing theories and empirical studies of iconic memory and visual persistence. The study further discussed future direction of iconic memory research according to the essential aspects of phenomenological and ecological criticisms against the validity of iconic memory.

A Study on the Effect Range Due to the Dam Operation at the Downstream Channel (댐 운영이 하류하천에 미치는 영향권 범위 설정에 관한 연구)

  • Park, Bong-Jin;Kim, Jae-Yun;Lee, Sam-Hee;Ju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638-642
    • /
    • 2007
  • 댐 운영이 하류하천의 하도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권 범위를 설정하고, 영향정도를 정량화하고자 하는 연구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댐 운영이 하류 하천에 미치는 영향을 지형학적, 수리 수문학적, 환경 생태학적, 사회적 영향권으로 구분하여 다각적인 측면을 고려한 댐 하류하천 영향권 범위 설정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지형학적인 영향권 범위는 댐으로 인한 유사 공급 차단, 토시공급 능력 감소와 하상변동, 하상의 장갑화 현상과 같은 하상토 대표입경의 변화 등으로 설정한다. 둘째, 수리 수문학적인 영향권 범위는 홍수파 전달, 하도의 홍수조절효과, 홍수조절비, 유황변동 등으로 설정한다. 셋째, 환경 생태학적인 영향권 범위는 수질 변화, 하도내 식생분포 변화, 어류서식처 변화 하천 코리도의 토지이용 변화 등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홍수량에 따른 댐 하류하천의 홍수범람지구 및 댐 방류로 인한 하류하천 홍수소통 장애요인 등의 요인에 의한 사회적 측면에서의 영향권 범위를 설정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영향권 범위 설정방법은 정성적인 의미가 크다. 따라서 댐 운영이 하류하천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세부적하고 정량화 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Hydro-ecological characterizations in groundwater dependent ecosystem (지하수 종속 생태환경에서 수문-생태학적 특성 조사 및 분석)

  • Kim, Hee-Jung;Hyun, Yun-Jung;Lee, Kang-Ku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1 no.3
    • /
    • pp.1-8
    • /
    • 2009
  • The groundwater dependent ecosystem associated with a natural stream is the area where mixing and exchange of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occurs due to large chemical and hydraulic gradients. Surface-groundwater interactions play an important role in biogeochemical processes in groundwater dependent ecosystems and make this area a hydro-ecological hot spo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haracterize the groundwater dependent ecosystem in a natural stream where nitrate contamination of stream water is observed by means of hydrogeological,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In this study, vertical flow exchange(hyporheic flow) rates between stream and groundwater were estimated based on vertical hydraulic gradients measured at mini-piezometers of various depths. To investigate the biological natural attenuation potential, biological analyses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PCR)-cloning methods were performed in this study. Results show that the veritical hyporheic water fluxes affect nitrate concentrations and bacterial densities in groundwater dependent ecosystems to some degree. Also, denitrifying bacteria were identified in hyporheic soils, which may support the biodegradation potential of the groundwater dependent ecosystems under certain conditions.

  • PDF

Development of an Ecological Model to Improve Health Care Management for Children in Child Care Centers (보육시설 아동의 건강관리향상을 위한 생태학적 모형 개발)

  • Park, Eun-Sook;Im, Yeo-Jin;Cho, Eun-Ji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v.19 no.1
    • /
    • pp.59-68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current health care management and barriers in health care management according to ecological systems, and to develop an ecological model for enhancing health care in child care centers. Method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directors and teachers of child care centers, and with parents of children enrolled in child care. Data were analyzed by the latent content analysis method. Results: Twelve categories of health care management were identified. Barriers to child health care included knowledge deficit and lack of competence in health care by teachers, lack of useful health care manuals, non-existence of professional child health care personnel in child care centers, lack of mutual information sharing and disagreement on child health conditions between child care personnel and parents, lack of specific health related child care inspection criteria and time flexible child care centers with a lack of policy on collaboration with health care facilities. The ecological model developed included specific strategies to improve health care management in child care. Conclusion: The proposed ecological model to improve child health care management should be useful to plan future health care program considering both the immediate and indirect social environment surrounding children in child c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