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태적 천이

Search Result 73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Monitoring the DangWang Small Stream: Before and Under Stream Rectification Project (당왕소하천 정비 시범사업의 공사전${\cdot}$중 모니터링)

  • Ahn, Tae Jin;Kim, Kyung Sup;Gye, Myung Chan;Cha, Yoon Jung;Bae, Kyung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912-916
    • /
    • 2004
  • 소하천의 치수기능상 안전성을 확보하고 소하천의 생태계를 고려하려 소하천의 본래의 경관을 보전 및 향상시키는 이른바 자연형 소하천 정비를 추진되고 있다. 행정자치부는 자연형 소하천 정비 사업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성시 당왕소하천 등 9개 소하천에 관한 자연형 소하천정비 시범사업 및 소하천 모니터링 사업을 2002녀부터 시행하였다. 모니터링 사업은 시범소하천의 공사전, 공사중, 공사후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향후 자연형 소하천 정비 공사에 관한 개선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본고에서는 당왕소하천 시범사업에서의 공사전${\cdot}$중의 현황을 조사 및 분석한 결과를 수록하였다. 나아가 공사후 모니터링을 통하여 적용공법에 따른 수리적 특성 린 변화, 적용된 시설물의 수리적 영향, 하천 수리변화와 생태계와의 관계 규명, 각 구간에서의 적용공법의 적정성 평가,분야별 공법 및 사업전반에 대한 평가, 치수 안정성을 갖는 자연형 호안공법에 관한 설계지침 및 유지관리 지침, 향후 하천 환경 정비 공법에 대한 대안 등을 제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축적하고자 한다.

  • PDF

광양만 종합개발에 따른 섬진강 하구역의 해양생태변화 1. 엽록소 $\alpha$량의 시ㆍ공간적 분포 특성

  • 윤양호;한명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10a
    • /
    • pp.216-218
    • /
    • 2001
  • 1970년대에 접어들면서 광양만 및 인근해역은 대규모 산업단지 조성에 의해 다량의 생활하수와 산업배(폐)수가 유입되면서 매우 빠르게 부영양화가 진행되게 되어 급격한 생태계의 천이를 발생시키고 있다. 따라서 연구에서는 연안해역의 개발과 인위적 부영양화 과정에 따른 생태계 천이과정을 추구하는 한가지 수단으로 외부 환경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의 시ㆍ공간적 분포특성을 파악하여 보았다. (중략)

  • PDF

Eco-floristic Characters of Vegetation in Successional Stages of Abandoned Paddy Fields (휴경연차에 따른 묵논 식생의 생태식물상 특성)

  • Shim, In-Su;Kim, Jong-Bong;Jung, Yong-Kyoo;Park, In-Hwan;Kim, Myung-Hyun;Shin, Hyun-Seon;Cho, Kwang-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18 no.4
    • /
    • pp.29-41
    • /
    • 2015
  • Abandoned paddy field provides an excellent opportunity to improve the species diversity and habitat quality. Ecological characteristic on the changing of plant communities at different seral stages is a major basis data for ecological restor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changes of the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indices on the plant community associated with abandonment of cultivated rice paddies. The ecological stability of the habitat was evaluated by using eco-floristic characters(Di; Disturbance index, AUI; Actual urbanization index). Survey sites were grouped into six stages(stageI (${\leq}3years$), stageII(3-5years), stageIII(5-7years), stageIV(7-10years), stageV(10-15years), stageVI(${\geq}20years$). Vegetation investigation was done from May 2009 to October 2012 and carried out phytosociological approach. The total flora were summarized as 176 taxa including 58 families, 127 genera, 157 species, 3 subspecies, 15 varieties and 1 forms. At each of successional stages, 64 taxa in stage I, 34 taxa in stage II, 84 taxa in stage III, 83 taxa in stage IV, 92 taxa in stage V, 23 taxa in stage VI were identified. Of the occurrence plants, the species with the highest r-NCD value were Alopecurus aequalis, Juncus effuusus var. decipiens, Persicaria thunbergii, Artemisia princeps, Salix koreensis and Alnus japonica at each stages. Herbaceous annual plants were dominated in the early stage, but its r-NCD value declined in the middle stage and the late stage. On the other hand, herbaceous perennial plants and Persicaria thunbergii, annual hydrophytes, increases in the middle stage. Woody plant and herbaceous plant which appeared in the forest edge increases in the late stage. Community indices correlate with successional stages. Richness and diversity index increase along the successional gradient. But dominance index decrease along the successional gradient. Evenness index was correlated with lower. In the ecological stability analysis of the habitat that evaluated by eco-floristic characters, stage I was the most unstable habitat. And the stability of the habitat has improved according to the successional stage.

Plant Community Structure Analysis in Jujeongol Valley of Soraksan National Park (설악산 국립공원 주전골계곡 식물군집구조분석)

  • 이경재;민성환;한봉호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0 no.2
    • /
    • pp.283-296
    • /
    • 1997
  • To investigate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in valley and suggest the management of Mational Park, fifty plots were set up and surveyed in Jujeongol Valley, Soraksan National Park. The classification by TWINSPAN and DCA ordination technique were applied to the study area in order to classify them into several groups based on woody plants. The dividing groups were Quercus mpnngolica - Q. variabilis - Pinus densiflora community, P. densiflora community, Carpinus laxiflora community, Q. serrata community. The ecological trends of tree species by DCA ordination technique and DBH class distribution analysis was like that Q. mongolica - Q. variabilis - P. densiflora community and P. densiflora community seems to be trended from P. densiflora community to Q. mongolica community. Q. serrata community seems to be trended from Q. serrata community to C. laxiflora community and C. laxiflora will be maintaimed stable state.

  • PDF

Present State and Conservation Counterplan for the Wetlands of the Tributaries around Namgang-River (남강 주변 습지의 보전 현황과 보전 대책)

  • Ha, Hye-Jeong;Oh, Kyung-Hwa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2 no.3
    • /
    • pp.21-37
    • /
    • 2010
  • The abiotic factors and the vegetation naturalness of the 13 tributary wetlands around Namgang-River were assessed to investigate the present state and to present the conservation counter plan for the wetland ecosystem of the tributaries. Assessment indices for the abiotic factors were estimated based on the dominant land use types of the riparian zone, ecological function of the upper levee, levee slope structure, artificiality and utilization intensity of the waterfront, artificiality of the revetment structure, diversity of the substrate, and severance of the transverse. The assessment index of Omi-cheon is the highest among 13 tributaries. The second was Banseong-cheon and third was Hyangyang-cheon, followed by Nabul-cheon and Yeongcheon-gang and Sugok-cheon, Jungchon- cheon, and Daegok-cheon in their order and Munsan-cheon got the lowest assessment index. Assessment indices for the vegetation naturalness were estimated based on the vegetation diversity, exotic species dominance, annual herb dominance, naturalness and peculiarity of the vegetation, and species diversity. The assessment index of Omi-cheon is the highest among 13 tributaries. The second was Sugok-cheon and third was Banseong-cheon, followed by Yeongcheon-gang, Jungchon- cheon, Jinae-cheon, Nabul-cheon, and Jisu-cheon in their order, and Yonga-cheon got the lowest assessment index. The grades of the stream naturalness were estimated based on the the naturalness indices for the abiotic factors and the vegetation naturalness. The grades of Omi-cheon is the highest among 13 tributaries as the grade I. Those of Banseong-cheon, Sugok-cheon, Yeongcheon-gang, Nabul-cheon and Jungchon-cheon, Hyangyang-cheon, Jinae-cheon, Jisu-cheon, Daegok-cheone, and Munsan-cheon and Doksan-cheon were grade II in their order, and Yonga-cheon got the lowest as the grade III. It was suggested that restoration of the simple and flat substrate, create the natural vegetation on the levee slope constructed with concrete or stone wall, and rehabilitation of the eco-bridge were demanded to improve the grades of the stream naturalness through the restoration of the tributaries for the diverse aquatic wildlife, high vegetation diversity and species diversity with the vegetation consisted of perennial herbs and trees.

The Monitoring and Ecological Restoration Concept of Ecosystem Conservation Area in Dunchon, Seoul (서울시 둔촌동 습지 생태계보전지역 모니터링 및 생태적 복원구상)

  • 한봉호;김정호;홍석환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7 no.3
    • /
    • pp.242-257
    • /
    • 2003
  • This study surveyed an ecosystem conservation area that is wetland area to establish ecological restoration and preservation plan. Monitoring standard have been set up item, method, period, number of times etc. Result that examine according to monitoring standard, Plant field investigated Flora, actual vegetation. Flora is 132 taxa(39 family 116 species 19 variety 1 forma) appeared and wild species were 85 species, and introduced species were 47 species. Grasped monthly(April∼September) actual vegetation, swampy plant community influence were increase and influence of Persicaria thunbergii was big situation specially. Frequency appearance of naturalized plant is much on field. Animal field investigated Birds, Herpetofauna, Insecta. Birds were appeared 34 species 378 individual and Herpetofauna were appeared 4 species 5 individual and insecta investigated 11 order 52 family 153 species. Inorganic environmental field investigated groundwater level, quality of water, soil quality. Groundwater level is high by 0.0∼89.0cm, $Ca^{++}$ content is some high by 2.18∼13.73cmol/kg in soil. Also we suggested basis direction and each space details plan on monitoring as follow : wetland ecosystem restoration plan, eruption area restoration plan, forest ecosystem restoration plan.n.

Using Weighting-Factored Matrix Evaluation Method for Development of System Deducing Optimal Ecological Stream Flow Secured Methodology (가중치부여매트릭스 평가기법을 이용한 최적의 생태하천유량 확보 방안 도출 시스템 개발)

  • Byun, Dong-Hyun;Lee, Jong-Chul;Lee, Kyoung-Do;Jung, Seung-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12-216
    • /
    • 2011
  • 현재 하천 건천화에 따른 수생태계 교란 및 수질악화 등의 근본적인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최근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기조에 따라 조성되고 있는 신도시, 소규모 및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의 경우는 환경 친화적인 단지조성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기존 도심하천의 복원 및 인공하천의 녹색성장을 고려한 친환경적 생태하천으로 조성하고자 하는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으나 안정적인 생태복원의 수원확보 방안을 마련하지 못해 실제 설계가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조성하고자 하는 소하천 혹은 실개울 등의 수질보전 및 생태계 보호 등 하천이 본래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생태하천유량을 확보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있지만, 공사 유형과 주변 환경에 적합한 생태하천유량 확보 방안을 선정할 수 있는 비구조적 대책마련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실정과 문제점을 고려해 볼 때, 조성하고자 하는 도시 내 자연하천 및 인공하천 조성 등 수변환경을 고려한 단지조성에 맞는 생태하천유량 확보 방안 및 평가에 대한 연구가 단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태하천유량 확보와 하천수질 개선이 필요한 특정 지역 또는 다양한 유형의 공사 지구 내 하천이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적용 가능한 생태하천유량 확보 방안들과 수리해석 모델인 HEC-RAS(River Analysis System), 생태하천유량 산정 모델인 PHABSIM(Physical HABitat SIMulation)을 연계한 물리서식처 평가 모듈을 개발하고, 이를 기초로 가중치부여매트릭스 평가(국토해양부, 2006) 기법을 적용한 최적의 생태하천유량 확보 방안과 수질개선 방안을 제시해 줄 수 있는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을 구축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최적의 생태하천유량 확보 방안 도출을 위한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의 활용으로 필요유량은 물론, 기준을 만족하는 수질의 확보가 절실히 요구되는 중 소규모 하천에 실질적으로 적정수질의 생태하천유량을 확보함으로서 하천으로서의 역할을 위한 본 기능의 회복과 동시에 소하천, 도심하천 및 인공하천 등 중 소규모 수계의 수문순환을 정상화하여 하천의 지속 가능한 개발과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진다.

  • PDF

Application of Evaluation Technique for the Revetment in Gwangju Stream (광주천에 대한 호안평가기법의 적용)

  • Park, Nam-Hee;Kim, Yun-Hwan;Jin, Young-Hoon;Kim,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098-1107
    • /
    • 2007
  • 과거 치수적 목적에 의해 진행하던 하천정비방식이 최근에 친환경적 개념의 정비방식으로 전환되면서 하천환경개선에 대한 관심과 공감대가 증가되고 있다. 일부 지자체를 중심으로 하천살리기 운동을 비롯해 하천의 환경기능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진행중이며 전국적으로 자연형 하천정비 또는 친환경적 하천복원 등의 사업이 활발히 시행되고 있다. 자연형 하천정비 개념의 도입이후 많은 하천에 다양한 자연형 호안공법이 시공되어 가고 있는 상황에서 보다 적합한 호안공법의 적용을 위해서는 하천의 환경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는 대상 하천이 지니는 특성에 적합한 호안공법을 선정하는 데 선결되어야 할 문제이며, 적용 호안이 시공 이후 하천환경과 얼마나 조화를 이루는가를 담보할 수 있는 방안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기의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호안에 대한 평가를 위해서 광주천을 대상으로 하여 호안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대상하천인 광주천은 광주시를 관통하는 도시하천으로, 현재 자연형 하천정화사업을 시행하고 있으며 2009년에 완공될 예정이다. 광주천의 호안에 대한 평가를 위해 수리적 안정성, 식생의 건전성과 경관/심미성 및 생태성을 포함한 평가방식을 개발하고, 개발된 기법을 광주천에 적용하여 하천공사 전후의 호안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비교함으로서 호안평가 방법을 확립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PDF

Effect of Typhoon 'Rusa' on the Natural Yeon-gok Stream and Coastal Ecosystem in the Yeong-Dong Province (영동지방 자연형 하천(강릉 연곡천)과 인근 연안 생태계에 대한 태풍 루사의 영향)

  • Yoon Yi-Yong;Kim Hung-sub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7 no.1
    • /
    • pp.35-41
    • /
    • 2004
  • The yeongok stream originates at the natural park, Mt. O-dae and flows to the East Sea of korea, normally maintaining I or II grade of water quality and its average water flux is 352,100 ㎥/d. However, the typhoon 'Rusa', which occured on 31 August 2002, changed its watercourse and configuration, and the ecosystem was deeply damaged. Moreover, the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once more transformed, and the ecosystem was secondarily damaged during repair-work of destroyed bridges and elevations. After the flood disaster, the species diversity diminished 17% for attached diatom and 44% for aquatic animals. However, the earth and sand, dug from river bed during intensive repair-work throughout the entire stream, made diversity drop to 32% for the diatom and the aquatic animals were wiped out. Especially, fishes were totally destroyed except for some species such as Moroco oxycephalus in the upper stream. The yeongok stream has little contamination source and short water residence time due to the short length and rapid slope, and consequently a temporary deterioration of water quality caused by repair-work may be rapidly recovered, but it needs a long time to restore the damaged ecosystem.

  • PDF

A Study on Ecotope Diversity Transition Analysis in the Middle of Mankyung River (만경강 중류 에코톱다양성 추이분석 연구)

  • Kim, Woo Ram;Kim, Ji Sung;Kim, Kyu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80-480
    • /
    • 2016
  • 에코톱은 생태학적 지휘체계(Niche)와 서식처(Habitat)가 결합된 환경을 의미하며 도면에서 최소한의 단위로 일반적인 구성요소의 상태, 잠재자연식생, 잠재생태계 기능으로 균일하게 분류가 가능한 요소로서 천이단계 또는 토지이용이 서로 다른 패치들로 이루진 생태공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에코톱과 비오톱은 식물과 동물의 특정 군집에 요구되는 서식공간의 개념에서는 의미가 같지만 비오톱은 서식공간의 일부분 또는 한 개 이상의 생물이 서식가능한 공간의 개념으로 사용된다. 현재 네덜란드, 스페인을 포함한 유럽국가에서는 에코톱분류를 통한 하천을 관리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만경강 중류 소양천 합류점에서 전주천 합류점까지 약 3.5km 구간의 제외지포함 제내지 1km 폭을 대상으로 1918년 고지도 토지피복을 분류하고, 1948년 해방이전 항공사진, 2003년 2014년 항공사진을 활용한 에코톱을 분류하여 이에 대한 에코톱 다양성지수를 추이분석하여 하천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별 에코톱다양성지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과거 제방축조 이전인 1918년 에코톱 다양성 지수는 하천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안정적으로 감소하였으나 1948년 이후의 하천은 제내지에서부터 지수값이 급격히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1948년 이후의 만경강은 과거 1918년 하천에 비해 구하도 공간이 농경지 증가, 보설치 등으로 인한 인위적 교란에 의한 감소로 분석되어지며 에코톱다양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생물종다양성 역시 감소하였음을 유추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