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태적 기능

Search Result 923,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Derivation of Meandering for Close-to-Nature Stream Improvement (자연 친화적인 하천 정비사업 구간의 사행 유도 방안)

  • Han, Man-Shin;Choi, Gye-Woon;Lee, Young-Heun;Ahn, Sa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66-766
    • /
    • 2012
  • 최근 진행되고 있는 자연형 하천 조성사업과 관련하여 하천 복원 계획 및 실무에 있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 유역의 복합적인 요인(기후, 지형특성, 수리 수문특성, 식생특성, 유사 특성 등)들에 의하여 영향을 받게 되는 하천의 지형형태학적 측면의 경우에는, 안정 하도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계획의 예비조사 단계서부터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하천 지형형태학적인 측면을 고려한 하천 복원의 연구는 아주 미미한 것이 사실이다. 자연하천 조성에 있어서 획일적으로 직선화된 하천보다 사행화를 유도함으로써 얻어지는 장점들이 더 많지만, 하천설계기준 등에서 제시하고 있는 사행화에 대한 정확한 지침이 부재하여 설계자의 판단에 의하여 사행화를 유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사행현상은 유심의 변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단면에 걸친 수심의 유지가 어렵고, 취수구의 기능저하, 제방의 파괴, 국소세굴에 따른 하천재해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자연 상태의 하천형상은 대부분 호우로 인한 홍수로 인하여 자연스럽게 만들어지게 되며, 대부분 사행하천의 형태를 띠게 된다. 자연적으로 형성된 사행하천은 하천 정비시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직선화로 계획하는 경우가 많으며, 하천 주변 지형과 토지이용 등의 제약 조건 등으로 인하여 만곡구간을 그대로 두고 하천설계를 계획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경제적인 측면만을 고려하여 하천을 직선화하는 것은 상류부 홍수를 하류부로 전가시켜 하류 홍수피해를 가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바람직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직선화된 수로에서는 하천의 생태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하천은 만곡구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하천 조성시 하천의 사행화를 유도할 수 있는 방안으로 호안 공법의 적용을 통한 사행화 유도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길이 20m, 폭 2m, 높이 1m의 크기를 갖는 개수로 장치를 이용하여 수리모형실험을 실시하였고, 이동상 실험을 통하여 호안 공법의 배열에 따른 사행화 영향 정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소프트 백과 같은 유연한 소재뿐만 아니라 돌이나 돌망태와 같은 강성 소재에 대한 사행화 영향을 검토함으로써 다양한 호안기법을 통한 영향범위를 제시하였다.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ultifunctional river restoration framework (다차원 하천공간 복원 프레임웍의 개발과 적용)

  • Kim, Ji sung;Jeon, Ho Seong;Hong, Il;Kim, Kyu Ho;Kim, Woo R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5-5
    • /
    • 2017
  • 최근의 하천복원사업은 인위적으로 축소 또는 소실된 하천공간을 지형학적으로 되돌리기 위한 방향과 강이 가진 자연의 역동성의 복원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하천공간 확보라는 측면에서 구하천 구역을 복원하려는 시도가 이뤄지고 있고 대표적으로 청미천, 함평천, 황구지천 등에서 기존의 제방을 후퇴시키고 과거의 하천공간을 하천으로 되돌려 주었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는 구하도 또는 폐천부지 복원사업의 일환으로 시행되었으며, 복원된 공간규모가 크지 않아 사업의 효과를 크게 장담할 수 없는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 따라서 홍수에 안전하며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터전으로의 공간복원, 그에 따른 하천생태계의 보전과 복원, 레저와 레크레이션이 가능한 친수공간 조성 등 하천기능의 강화와 융합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다차원 하천공간 복원계획과 설계의 절차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유역기반의 문제점과 그 원인에 대한 인식이 선행되어야 하고 그 해법으로 하천공간 확대의 필요성이 도출되어야 한다. 이후, 하천공간 복원 및 활용과 관련된 기본방향이 설정되며 세부 복원목표가 설정되어야 한다. 복원목적과 목표가 세워진 후, 복원대상지를 선정하고 공간 활용방안이 제시되면, 목표달성 여부 판단을 위한 효과분석이 필요하다. 만약, 기대효과를 달성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면 복원목표 재설정 및 복원대상지의 재선정이 필요할 것이다. 이와같이 하천공간 복원사업을 시행함에 있어 간결하고 단계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차원 하천공간 복원프레임워크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제안된 하천공간 복원프레임워크를 통해 하천공간복원으로 인해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또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물리, 생물, 사회, 경제 등의 다양한 분야의 구조를 통합한 하나의 방법을 제시함으로서 임시방편 수준의 파괴된 하천복원사업에 변화를 주고 프레임워크를 통해 하천공간복원에 대한 응집력 있는 접근법을 적용하도록 촉진하여 복원사업에 참여하는 사람들 간에 공통의 유대감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Velocity Fields in the vicinity of Step Weir (계단형 보 주변 유속장 분석)

  • Ryu, Yong Uk;Kang, Joon Gu;Yeo, Hong Koo;Lee, Nam Joo;Kim, Ji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54-454
    • /
    • 2016
  • 하천의 치수안정성 확보 및 수심유지, 생태복원 등과 같은 다양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보의 성능 개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계단형 보는 재료에 의한 폭기효과 및 서식처 효과 등의 환경적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기존 연구는 표면류 흐름특성을 검증하고 유량변화에 따른 하류단 도수발생위치 변화를 분석하는 등 계단형 보에 대해 수리특성을 정량화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흐름변화에 따른 유속장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능성 친환경 횡단 구조물 유형 중 하나인 계단형 보의 안정성 검토를 위한 수리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함으로써 구조물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자체 및 하류 보호공 주변의 유속 분석을 통한 흐름 특성을 검토하고 설계시 외력 고려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계단형 보모형에 대해 수리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폭 0.24 m, 총 길이 3.70 m, 높이 0.30 m인 순환실험수로를 이용하였으며, 계단형 보 모형은 5단으로 단 높이 2 cm와 단 길이 5 cm이며, 보 높이는 10 cm, 보 길이는 25 cm 모형으로 실험하였다. 하류에 전도식 게이트를 설치하여 하류 수위를 증가시키면서 보 하류부에서 발생하는 완전도수부터 하류수심이 보 높이를 초과하는 잠김흐름 조건에 대해 실험하였다. 측정기법은 입자영상측정계(Particle Image Velocimetry; PIV)를 이용하였으며, 상류영역부터 하류영역에 대해 보 주변 흐름의 순간적 유속분포를 확인하였다. 또한 측정된 전반적 흐름 양상에 대해 통계적 수리분석을 수행하였다. 흐름특성에 대한 연구는 향후 계단형 보의 물받이 길이 및 보의 적정 규모 설계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Project Evaluation Technology for the Stream (하천 관련 사업평가를 위한 기법 개발 방안 연구)

  • Jang, Cho Rok;Song, Juil;Jang, Moon Yup;Kim, Han 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26-226
    • /
    • 2019
  • 하천은 이수, 치수 및 환경의 기능을 수행하며 국가의 생활과 문화의 발전에 기여한다. 현재 전국에는 총 3,836개의 하천이 존재하며, 우리 실생활에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 각 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하천유역을 개발 및 복구하기 위한 사업을 추진 중에 있으며, 각 사업의 평가를 시행하고 있다. 환경부의 경우 수질개선 및 수생태계 복원을 목적으로 하는 '생태하천 복원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지속가능한 하천사업 환경영향평가 가이드라인'을 통해 사업의 적절성 및 사업효과를 평가하고 있다. 또한 본 평가를 토대로 매년 "자연환경대상" 공모전을 개최하여 기술적 사회적 평가 및 대내외적 홍보를 진행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재해예방 및 환경개선, 수질보전을 목적으로 하는 '소하천 정비사업'을 수행 중에 있으며 매년 "아름다운 소하천 가꾸기 공모전"추진을 통해 소하천정비 예산으로 추진한 사업들의 평가와 시상을 진행 중에 있다. 국토교통부의 경우 물 관리 기본계획인 '물수자원장기종합계획(2001-2020)', '제4차 수자원장기종합계획(2011-2020)'을 토대로 지방하천의 재해예방 및 수생태계 복원목적의 '지방하천정비사업 종합계획'을 수행 중에 있으며 하천재해 예방사업, 수계치수사업 등의 5가지 세부사업들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하천관리 전문가와 지역주민을 평가단으로 구성하여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위와 같이 각 부처는 하천유역의 환경개선 및 재해예방을 위해 여러 하천사업을 진행 중에 있으나 각 기관별로 사업의 평가기법 또는 평가절차가 통일되지 않고 상이하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국토교통부의 경우 하천사업의 사업계획부터 사후평가까지 사업의 전 절차에 대한 명확한 평가기준이 마련되지 않고 있어 효율적인 사업평가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사업의 특성을 고려한 평가기법 개발을 통해 사업의 적절성 및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urvey of Decentralized Finance(DeFi) based on Blockchain

  • Kim, Junsang;Kim, Seyo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6 no.3
    • /
    • pp.59-67
    • /
    • 2021
  • Blockchain technology began in 2008 when an unidentified person named Satoshi Nakamoto proposed a cryptocurrency called Bitcoin. Satoshi Nakamoto had distrust of the existing financial system and wanted to implement a financial system that is robust against hacking or mannipulation without a middleman such as a bank through blockchain technology. Satoshi proposed a blockchain as a technology to prevent the creation of the bitcoin and forging of transactions, and through this, the functions of issuance, transaction, and verification of currency were implemented. Since then, Ethereum, a cryptocurrency that can implement the smart contract on the blockchain, has been developed, allowing financial products that require complex contracts such as deposits, loans, insurance, and derivatives to be brought into the area of cryptocurrency. In addition, it is expanding the possibility of substituting products provided by financial institutions through combination with real assets. These applications are defined as Decentralized Finance (DeFi). This paper was prepared to understand the overall technical understanding of DeFi and to introduce the services currently in operation. First, the technologies and ecosystems that implement the overall DeFi are explained, and then the representative DeFi services are categorized by feature and described.

Mycorrhizae, mushrooms, and research trends in Korea (균근과 버섯 그리고 국내 연구동향)

  • An, Gi-Hong;Cho, Jae-Han;Han, Jae-Gu
    • Journal of Mushroom
    • /
    • v.18 no.1
    • /
    • pp.1-9
    • /
    • 2020
  • Mycorrhiza refers to the association between a plant and a fungus colonizing the cortical tissue of the plant's roots during periods of active plant growth. The benefits afforded by plants from mycorrhizal symbioses can be characterized either agronomically, based on increased growth and yield, or ecologically, based on improved fitness (i.e., reproductive ability). In either case, the benefit accrues primarily because mycorrhizal fungi form a critical linkage between plant roots and the soil. The soilborne or extramatrical hyphae take up nutrients from the soil solution and transport them to the root. This mycorrhizae-mediated mechanism increases the effective absorptive surface area of the plant. There are seven major types of mycorrhizae along with mycoheterotrophy: endomycorrhizae (arbuscular mycorrhizae, AM), ectomycorrhizae (EM), ectendomycorrhizae, monotropoid, arbutoid, orchid, and ericoid. Endomycorrhizal fungi form arbuscules or highly branched structures within root cortical cells, giving rise to arbuscular mycorrhiza, which may produce extensive extramatrical hyphae and significantly increase phosphorus inflow rates in the plants they colonize. Ectomycorrhizal fungi may produce large quantities of hyphae on the root and in the soil; these hyphae play a role in absorption and translocation of inorganic nutrients and water, and also release nutrients from litter layers by producing enzymes involved in mineralization of organic matters. Over 4,000 fungal species, primarily belonging to Basidiomycotina and to a lesser extent Ascomycotina, are able to form ectomycorrhizae. Many of these fungi produce various mushrooms on the forest floor that are traded at a high price.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benefits, nutrient cycles, and artificial cultivation of mycorrhizae in Korea.

Functional Modifications of Daechung Reservoir Eutrophication by Upper Dam Construction (상류댐 건설에 따른 대청호 부영양화에 대한 기능 변화)

  • Lee, Soon-Cheol;Han, Jung-Ho;An, Kwang-Guk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1 no.3
    • /
    • pp.348-359
    • /
    • 2008
  •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to elucidate functional modifications in relation to hydrological, physico-chemical and ecological aspects in Daechung Reservoir by the upper dam constructions of Youngdam Reservoir and analyze temporal and spatial dynamic patterns using trophic parameters of TN, TP, chlorophyll (CHL), and Secchi depth (SD). Hydrological data such as inflow, precipitation, and water levels before (BDC, 1995$\sim$2000) and after (ADC, 2001$\sim$2006) the dam construction showed that precipitation had greater correlations with inflow volume in the BDC (r=0.964, p=0.002) than in the ADC (r=0.857, p=0.029). This outcome indicates that the upper dam construction influenced the inflow and water level of Daechung Reservoir. One of the greatest changes after the dam construction was decreases of nutrient contents (TN, TP) and increases of algal biomass (as CHL) as the water residence time increases. Values of CHL had greater relations with TP in the ADC (r=0.412, p<0.001) than the BDC (r=0.249, p<0.001), indicating that CHL had greater response at a given phosphorus in the ADC. Thus, algal yield at a given TP (CHL : TP ratios) increased in the ADC, resulting in a greater CHL-TP relations. Long-term interannual TP, TN, SD, and CHL showed greater variations in the riverine zone (RZ) than any other transition (TZ) and lacustrine zones (LZ). This phenomenon was mainly attributed to rapid hydrological response in the riverine zone (RZ) to flow reductions (short water residence time) from the upper dam, resulting in ambient contents of nutrients and light regime along with functional relations of CHL-TP.

Techniques for Acquisition of Moving Object Location in LBS (위치기반 서비스(LBS)를 위한 이동체 위치획득 기법)

  • Min, Gyeong-Uk;Jo, Dae-Su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0D no.6
    • /
    • pp.885-896
    • /
    • 2003
  • The typws of service using location Information are being various and extending their domain as wireless internet tochnology is developing and its application par is widespread, so it is prospected that LBS(Location-Based Services) will be killer application in wireless internet services. This location information is basic and high value-added information, and this information services make prior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o be useful to anybody. The acquisition of this location information from moving object is very important part in LBS. Also the interfacing of acquisition of moving object between MODB and telecommunication network is being very important function in LBS. After this, when LBS are familiar to everybody, we can predict that LBS system load is so heavy for the acquisition of so many subscribers and vehicles. That is to say, LBS platform performance is fallen off because of overhead increment of acquiring moving object between MODB and 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 So, to make stable of LBS platform, in this MODB system, acquisition of moving object location par as reducing the number of acquisition of unneccessary moving object location. We study problems in acquiring a huge number of moving objects location and design some acquisition model using past moving patternof each object to reduce telecommunication overhead. And after implementation these models, we estimate performance of each model.

Evaluation of Crop Production Increase through Insect Pollination Service in Korean Agriculture (한국 농업에서 곤충 화분매개 서비스를 통한 식량 생산 증진 기능 평가)

  • Jung, Chuleui;Shin, Jong Hwa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61 no.1
    • /
    • pp.229-238
    • /
    • 2022
  • Animal pollination is an important ecosystem service provided mostly by diverse insect groups such as bees and hover flies. Maintaining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securing the nutritional balance are closely tied to human wellbeing.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pollination dependent food production in Korean agricultural system. Crop production data were obtained from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data of 2015. By implementing pollination dependency, crop production and market price, contribution of insect pollination to crop production increase were estimated from total 71 crops including 12 cereals, 19 fruits, 18 field vegetables, 13 greenhouse vegetables and 9 specialty crops. Mean pollination dependency of all crops were 29.2% and it was higher on fruits, specialty crops and greenhouse vegetables as well, but low (7.5%) in cereal crops. Pollination dependent (PD) production was estimated as 17.8% of total agricultural crop production with the economic value of 6,850 (6,508-7,193) billion won. Especially, PD production of greenhouse vegetables accounted 49.2% followed by fruits of 42.9%. Even specialty crop also showed higher PD production (35.9%). It was obvious that pollination is the vital service for agricultural production as well as nutritional security in Korea. Further protection and enhancing the pollination service were discussed with integrated pollinator-pest management (IPPM) strategies.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Constructed Small-scale Ponds for Ecological Improvement in Paddy Fields (논 생태 증진을 위해 설치된 둠벙의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

  • Kim, Jae-Ok;Shin, Hyun-Sang;Yoo, Ji-Hyun;Lee, Seung-Heon;Jang, Kyu-Sang;Kim, Bom-Chul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4 no.3
    • /
    • pp.253-263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ain preliminary data for restoration and management of constructed small-scale ponds in paddy fields through analysis of their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A field survey was performed at 13 small-scale ponds located in paddy fields from August 2009 to October 2010. Structural properties, water quality, soil characteristics and fish fauna were measured. Results showed that small-scale ponds without frames might lose their function over time because of crumbling wall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se ponds to have frames for soil protection and sustainable maintenance. Chemical oxygen demand (COD), total nitrogen (TN) and total phosphorus (TP) concentration were higher than the water quality standard for agricultural water in small-scale ponds. In particular, TN concentration was 8.03 mg $L^{-1}$ and over 8 times the water quality standard because of the presence of livestock such as cows and pigs in the study areas. Sand, organic matter and available phosphorus contents of soil in small-scale ponds was 53.4${\pm}$16.6%, 21.8${\pm}$9.74 g $kg^{-1}$ and 12.8${\pm}$7.59 mg $kg^{-1}$,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sand and available phosphorus contents were suitable for plants in small-scale ponds, but organic matter contents was somewhat low in newly constructed small-scale ponds, and would take some time to stabilize for plant growing. Fish fauna was not diverse with only 4 species at all sites surveyed. Collected fishes share a common feature that they all inhabit paddy fields or canals with shallow water depth. In this study, all ponds were not linked to the streams and canals around them. It appears that connection to adjacent streams was the major factor controlling fish fauna in small-scale ponds.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Factor 1 was 26.3%, which shows a structural properties such as area and depth of small-scale pond. As for factor 2, it appears on 20.1%, showing water quality like a TP, suspended solids (SS) and COD. Small-scale pond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y factor scores. Group I consisted of 6 small-scale ponds, which were larger than the others. Group III had higher water quality than the others. We conclude that the most important points to be considered for restoration and management of small-scale ponds is connection with adjacent streams or ditches and depth and size of the small-scale po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