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태위해도 평가

Search Result 66,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on Survey and Analysis of Designated Status of Wildlife Protected by City/Do Ordinance (시·도보호 야생생물 조례 지정 현황 조사 및 분석)

  • Chu, Yeounsu;Cho, Youngho;Lee, Taeho;Jang, Eun-Hye;Kim, Jungkwo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8 no.3
    • /
    • pp.299-311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designation status of the Local Wildlife Conservation Ordinance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wild fauna and flora, and to elucidate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directions.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provisions of the wildlife conservation ordinance of 17 regional local governments. After that,the designation status of Wildlife Protected by City/Do was investigated and the appropriateness was confirmed based on guidelines and laws. The ordinances related to wildlife were enacted in all municipalities, and provisions such as selection criteria, protection measures, and act limitations were commonly reflected. The provisions were vari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ocal government, including details of flag species, the addition of species in the restoration promotion plan as criteria for selection and provision of protection and restoration of habitats. Since 2006, when the wildlife protected by City/Do designation and protection guidelines have been established, the protected wildlife have increased sharply, and there has been newly designated regional local government within the past one or two years. However, in some local government, protected wildlife has been designated for more than 10 years, and there are many that do not meet the selection criteria. Therefore, more scientific and objective selection criteria and methods should be constructed for the selection of specie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Wildlife protected by City/Do.

Estimation of bulk flow resistance in vegetated channels based on large-scale river experiments (실규모 하천 실험을 통한 식생하도의 구간 흐름저항 산정)

  • Ji, Un;Bae, Inhyeok;Ahn, Myeonghui;Jang, Eun-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3
    • /
    • 2021
  • 하천의 식생은 생태서식처 제공, 강턱이나 하안 경사의 안정, 영양염류나 오염물 차단에 의한 수질 개선 등의 다양한 생태서비스를 제공하는 반면, 과도하고 편중된 식생 분포로 인해 흐름저항이 증가하고 이로 인한 홍수위 상승과 홍수피해 위험이 가중될 수 있다. 기후변화 영향과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수리수문 특성 변화와 유역으로부터 영양염류의 유입은 하천내 식생이 과도하게 퍼지는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다. 과도한 식생분포로 인한 흐름저항과 홍수위 상승을 평가하기 위해 식생하도의 흐름저항과 관련된 매개변수의 다양성과 복잡성에 따른 해석상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이론적 해석과 수학모형의 개발, 실험실 수로와 하천현장조사, 수치모형을 이용한 예측 등의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실험실 수로에서 단순화된 식생 구조와 배열이 적용되는 한계성과 상류에서 유입되는 유량과 유속 등의 수리조건을 통제할 수 없는 현장실험의 한계성을 보완하고자 목본류 형태의 식생패치를 실규모 하천실험 수로에 조성하여 통제된 수리조건에서의 식생하도의 구간 흐름저항을 추정하기 위한 계측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규모 실험에서는 피에조미터 형식의 정밀 압력식 센서를 이용하여 수위와 수면경사를 계측하였으며, 실험구간의 접근 수로에서 ADCP(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를 이용하여 유입 유량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전체 수로 길이 약 600 m, 하폭 11 m, 깊이 2 m 규모의 실규모 하도 일부 80 m 완경사 구간에 식생패치를 설치하고 구간 수면경사를 실측함으로써 식생하도의 흐름저항을 직접 산정하였다. 이러한 실규모 식생하도의 실험을 통해 식생패치의 밀도, 횡적 차단면적, 구간 차단부피, 목본 식생의 물리적 특성, 식생패치의 배열 등의 다양한 식생분포 조건에 따른 수리조건별 흐름저항 값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식생하도에 대한 정확한 흐름저항 추정과 홍수위 변화에 대한 해석은 하천 식생의 생태서비스와 홍수방어의 하천 치수효과의 최적 솔루션을 제시하기 위한 하도관리의 다양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필수적인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Preliminary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on Fish Compositions and the Ecological Health of Jeokbyeok River on the Road Construction of Muju-Geumsan Region (무주-금산간 도로건설에 따른 적벽강의 어류 종 조성 분석 및 생태건강도 사전환경성평가)

  • Lee, Sang-Jae;Park, Hee-Sung;An, Kwang-Guk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6 no.1
    • /
    • pp.27-43
    • /
    • 2017
  •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to evaluate fish compositions, endangered species, community structure, physical habitat, and general water quality for a preliminary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Jeokbyeok River on the road construction between two regions. Total number of species and total number of individuals, based on CPUE, were 23 and 1186, respectively. The endangered species (I, II) as the legal protection species were Pseudopungtungia nigra (79 samples) Gobiobotia brevibarba) (5) Gobiobotia macrocephala (2), indicating a requiring of endangered species conservation. In the meantime, exotic species and ecological disturbing species such as Micropterus salmoides and Lepomis macrochirus, were not present, indicating a well conserved area. According to fish community analysis, values of species diversity index were high (range: 0.788 - 1.030), and the dominance index were low (range: 0.097 - 0.183), indicating that the fish community in this area was maintained well without high dominacne by specific species. Also, fish analysis on tolerance guilds and trophic guilds showed that the proportions of sensitive species were largely exceeded the proportions of the tolerant species, while the proportions of insectivore species were largely exceeded the proportions of the omnivore species. This outcome suggests that the ecosystem was well maintained in terms of tolerance and trophic compositions (food chain). Ecological health, based on the multi-metric fish model of Fish Assessment Integrity (FAI), reflected those fish conditions. In other words, values of FAI model averaged 82.4, which means a "good condition" in the criteria of ecological health by the Minstry of Environment, Korea. In addition, general water quality and physical habitat analyses showed that the system was in good condition. Under these conditions, if the road constructions between the two regions happen in the future, inorganic suspended solids may increase in the waterbody, and this may result in indirect or direct influences on the physical habitats and food chain as well as fish compositions, so the ecological protections and prevention strategy from the soil erosion are required in the system.

Exposure and Risk Assessments of Multimedia of Arsenic in the Environment (환경 중 비소의 매체통합 노출평가 및 위해성평가 연구)

  • Sim, Ki-Tae;Kim, Dong-Hoon;Lee, Jaewoo;Lee, Chae-Hong;Park, Soyeon;Seok, Kwang-Seol;Kim, Younghee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8 no.2
    • /
    • pp.152-168
    • /
    • 2019
  • The element arsenic, which is abundant in the Earth's crust, is used for various industrial purposes including materials for disease treatment and household goods. Various human activities, such as the disposal of soil waste, metal mining and smelting, and combustion of fossil fuels, have caused the pollution of the environment with arsenic. Recently, guidelines for arsenic in rice have been adopted by the Korea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to prevent health risks based on rice consumption. Because of the exposure to arsenic and its accumulation in the human body through various channels, such as air inhalation, skin contact, ingestion of drinking water, and food consumption, integrated multimedia risk assessment is required to adopt appropriate risk management policies. Therefore, integrated human health risk assessment was carried out in this study using integrated exposure assessment based on multimedia (e.g., air, water, and soil) and multi-route (e.g., oral, inhalation, and dermal) scenarios. The results show that oral uptake via drinking water is the most common pathway of arsenic into the human body, accounting for 57%-96% of the total arsenic exposure. Among various age groups, the highest exposures to arsenic were observed in infants because the body weight of infants is low and the surface areas of infant bodies are larg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posure assessment, the cancer and non-cancer risks were calculated. The cancer risk for CTE and RME is in the range of 2.3E-05 to 6.7E-05 and thus is negligible because it does not exceed the cancer probability of 1.0E-04 for all age groups. On the other hand, the cancer risk for RME varies from 6.4E-05 to 1.8E-04 and from 1.3E-04 to 1.8E-04 for infants and preschool children, exceeding the excess cancer risk of 1.0E-04. The non-cancer risks range from 5.4E-02 to 1.9E-01 and from 1.5E-01 to 6.8E-01, respectively. They do not exceed the hazard index 1 for all scenarios and all ages.

무당개구리에서 내분비계장애물질에 의한 발생독성 평가

  • Gang, Han-Seung;Gye, Myeong-Chan;Kim, Mu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Conference
    • /
    • 2005.12a
    • /
    • pp.22-35
    • /
    • 2005
  • 내분비계 장애물질 (Endocrine Disruptors: EDs)이란 ‘내분비 기능에 변화를 일으켜, 생체 또는 그 자손의 건강에 위해한 영향을 미치는 외인성 물질’로서 세계야생생물보호기금 (World Wildife Fund: WWF)의 목록에는 67 여종, 일본 후생성에서는 142 여종의 물질을 내분비계 장애물질로 분류하고 있다. 이렇게 분류된 내분비계장애물질 가운데에는 많은 종류의 농약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이 자연상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많은 보고가 있다. 양서류는 먹이연쇄의 중위포식자로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순환 및 생채축적 회로에서 중요한 위치를 갖는다. 또한 농경지나 계류 등에 서식하며 산란하는 습성이 있다. 이러한 서식지는 농약 등에 노출받기 쉬우므로 환경오염평가 대상동물로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제초제, 살충제 등이 양서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이들 물질에 의한 노출을 평가할 수 있는 biomarker 유전자를 발굴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전역에 많이 분포하는 무당개구리(Bombina orientalis)의 초기 배아발생 과정에서 이들 농약을 처리하였을 때, 물질의 종류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농도 의존적으로 배아 및 올챙이의 치사율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농약은 배아 및 올챙이의 기형을 유발하였다. 기형의 종류는 농약에 따라 서로 상이한 형태로도 나타났으나, 특히 몸통휨 또는 꼬리휨등의 척추골 기형이 많이 나타났다. 환경 위해성 평가 biomarker 유전자로서 골격계 형성에 관여하는 Sox9 유전자를 선택하였다. 무당개구리에서 처음으로 Sox9 유전자를 동정하였으며, 농약을 처리한 실험군에서의 Sox9 유전자의 발현 양상은 대조군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생태계에서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위해성 평가를 위해 양서류 초기배아의 치사 및 기형의 정도를 관찰하는 방법이 유효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야생동물의 biomarker 유전자를 발굴과 이를 이용한 위해성 평가는 더욱 정밀한 평가법으로 유용할 것이다.

  • PDF

Sediment Unit Loads from Developing Areas during Storms (개발사업장에서의 강우시 토사 유출원단위 산정)

  • Kim, Cheol Min;Lee, Eun Ju;Lee, So Young;Kim, Young Chol;Kim, Lee Hyung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0 no.1
    • /
    • pp.59-68
    • /
    • 2008
  • Three phases of development in construction projects (i.e. pre-development, construction and post construction) diversely effect the environment, hydraulics and ecosystem. Currently, the domestic environmental policy is in control of the various environmental hazards produced after completion of development operations. Nevertheless, with the enforcement of water pollution total amount management system, improving the water quality; also the water and ecosystem preservation law recommends enforcing the sediment management for development operations in order to lessen the negative impacts to the environment. Recently, the country is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various development project locations due to insufficiency of interpreting the fundamental data for sediment loss and miscalculation of soil loss unit loads of sediment. This research utilizes data from 2000 to 2005 discussing a total of 1,036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projects gathered from various ministries and offices namely Ministry of Environment (MOE), Ministry of Agriculture, the Office of Forestry, and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Moreover, quantity of sediment from high land agriculture reports involving contaminant discharge characteristic investigation previously did concerning old land agriculture and So-Yang lake non-point pollution source management area as well as management measured data from MOE.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 that the highest soil loss rate occurred from mountain district for pre-development and post construction and sports facility during construction.

  • PDF

Evaluation of multiplicative random cascade models for CMIP 6 rainfall data temporal disaggregation (MRC 모형의 CMIP6 강우 자료에 대한 시간 분해 성능 평가)

  • Kwak, Jihye;Lee, Hyunji;Kim, Jihye;Jun, Sang Min;Lee, Jae Nam;Kang, Moon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67-367
    • /
    • 2021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극한 강우 사상의 빈도가 잦아짐에 따라 수공 구조물의 안전성이 저해되거나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기후변화에 따른 기상현상의 변화 추세를 파악하고 대비하기 위해 CMIP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Phase)의 GCM(General Circulation Model) 기상자료 산출물이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홍수기 방재 대책 수립 등의 연구에도 적용되고 있으나, GCM에서 산출된 기상자료의 시간 간격은 24시간 혹은 3시간 정도로 시간적 해상도가 낮아 홍수 모형의 입력자료로 사용되기 어려운 형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홍수 모의 등의 분야에 접목하기 위해서는 GCM 자료의 시간적 해상도를 1시간 이하로 낮춤으로써 시나리오 산출물이 홍수모형과 적절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MRC (Multiplicative Random Cascade) 모형은 국내외에서 예보강우의 시간 분해 및 일강우 데이터 분해 연구에 활용된 바 있으며 관측 강우에 대하여 분해 성능이 준수함이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MRC 모형을 활용하여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물에 적용함으로써 MRC 모형이 일단위 및 3시간 단위 기후변화 자료의 시간 분해에 대해 적절한 성능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분석하고, 기후변화 자료의 최소 시간 간격별 강우 분해 결과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 기상자료 시간 분해에 대한 MRC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the Data Cleaning and Standardization of National Ecosystem Survey in Korea (전국자연환경조사 데이터 정제와 표준화 방안 연구)

  • Kwon, Yong-Su;Song, Kyohong;Kim, Mokyoung;Kim, Kidong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3 no.4
    • /
    • pp.380-389
    • /
    • 2020
  • Research on diagnosing and predicting the response of ecosystems caused by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artificial disturbance and climate change is emerging as the most important issue of biodiversity and ecosystem researches. This study aims to clean, standardize, and provide the results of National Ecosystem Survey which should be considered fundamentally in diagnosing and predicting ecosystem changes in the form of dataset. To refine and clean the dataset we developed a simple verification program based on the fifth National Ecosystem Survey Guideline and applied that program to the data from the second (1997~2005), third (2006~2013) and fourth (2014~2018) National Ecosystem Survey. Data quality control processes were implemented including (1)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y, (2) similar data table integration, (3) unnecessary attribute and error elimination, (4) unification of different input items, (5) data arrangement in codes, and (6) code mapping for input items. These approaches and methods are the first attempt propose an option for ecological data standardization in Korea. The standardized dataset of National Ecosystem Survey in Korea will be easily accessible, reusable for both researchers and public. In addition, we expect it wi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diverse environmental policies concerning environmental assessments, habitat conservation, prediction of endangered species distribution and ecological risks due to climate change. The dataset through this study is open freely online via EcoBank (nie-ecobank.kr) which is the first ecological information portal system in Korea developed by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Trace Metal Distribution and Ecological Risk Assessment in Marine Sediments from the Southeast Coastal Areas of Korea (남동해 연안 퇴적물 내 미량금속 분포 및 생태위해도 평가)

  • Dong-Woon Hwang;Minkyu Choi;Jae-Hyun Lim;In-Seok Lee;Garam Lee;Sujin Na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56 no.4
    • /
    • pp.438-448
    • /
    • 2023
  • The concentrations of trace metals and organic matters in marine sediments collected from southeast Korean coastal areas were investigated.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ntamination status, spatial distribution and potential ecological risks associated with the physiochemical composition in the studied areas. We found that the concentrations of trace metals in marine sediments were as follows: Fe > Mn > Zn > Cr > Pb > Cu > As > Cd > Hg. According to the sediment quality guidelines (SQGs) of Korea, concentrations of Zn, Cr, Cu and Cd at all sampling sites were below threshold effect levels (TEL). However, concentrations of As, Hg, and Pb (i.e., at the 94-98% of sampling sites), were below the TEL. In addition, concentration factors (CF) in the surveyed area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low ecological risks, whereas As, Hg, and Cu showed moderate to high risk levels in some inner parts of the studied bays. Finally, the pollution load index (PLI) and ecological risk index (ERI) of the elucidated metals were linked to moderate ecological risk, pointing to the possibility of being deleterious to some benthic organisms.

Analysis on the Water Level Variation due to Remaving the Singok Submerged Weir in the Lower Han River (한강하류부 신곡수중보 철거에 따른 수위변화 분석)

  • Park, Jae Hyeun;Lee, Jong Jin;Park, Chng 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01-101
    • /
    • 2015
  • 1986년 한강종합개발사업으로 대규모 준설이 실시되고, 수위가 낮아지면서 발생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1988년 김포대교 직하류 지점에 신곡수중보를 건설하였다. 당시 수중보의 설치목적은 취수시설 유지를 위한 수위유지가 주요기능이었으나, 30년이 지난 지금 생활용수 취수시설은 잠실 수중보 상류로 모두 이전하였고, 농업용수와 일부 공업용수 등의 일부 시설만이 남아 있어 신곡수중보 시설의 필요성 및 현재 기능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한 시점이다. 신곡수중보 철거시 변화하는 한강 본류의 수위를 모의하기 위해 수리학적 모형인 HEC-RAS를 이용한 부정류 모의를 실시하였다. 모형의 보정을 위해 저수기를 대표하는 2014년 4월부터 5월까지 45일간과 풍수기를 대표하는 2014년 8월부터 9월까지 45일간을 모의하였다. 조위영향을 받고 있는 강화대교 관측수위를 기점수위로 선정하고, 팔당댐 유량을 유량조건으로 모의하였으며, 본류구간의 전류, 행주대교, 한강대교 지점의 실측수위와 모의결과는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곡수중보 철거시 평가를 위해 팔당댐 방류량이 최소가 되는 조건과 한강의 갈수량, 저수량, 계획홍수량 등 유량조건 변화에 따른 한강 본류수위를 비교하였다. 보 철거시 서해안의 조위영향이 잠실수중보 직하류지점까지 영향을 미치고, 일시적인 수위하강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모의되었다. 보 철거에 의해 감조하천으로 변화되는 구간에서는 전반적인 유속이 증가하여,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신곡수중보 직상류 및 지천 합류부 주변의 퇴적문제와 수질 문제개선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신곡수중보 상류지역에서 잠실수중보 하류까지 발생하는 수위변화와 수면폭변화는 간조대 형성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여 한강변의 퇴적지 면적 증가 및 생태계 서식처 제공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신곡수중보 하류지역의 수위는 현재보다 전반적인 상승이 예상되어 장항습지 면적이 일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홍수시 침식 및 퇴적이 가장 활발히 발생하므로 하상변동 등에 대한 면밀한 평가가 필요하다. 또한 홍수기 신곡수중보 구조물에 대한 평가 결과에서는 철거 시 한강 본류의 하천 수위가 일부 하강하는 것으로 모의되어 하천을 횡단하는 구조물이 홍수위 상승에 기여한다고 판단되므로 대안마련을 위한 종합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