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태복원

Search Result 1,30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the method of quantifying habitat according to the floodplain restoration scenarios (홍수터 복원 시나리오에 따른 서식처 정량화 방안에 관한 연구)

  • Hong, Il;Jeon, Ho Seong;Kim, Ji-Sung;Kim, Kyu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42-442
    • /
    • 2018
  • 강의 하도와 연결되어 간헐적으로 침수되는 홍수터는 가장 생산적인 육역 서식처 중 하나이다. 하지만 도시 개발과 농업이용은 강의 하도와 홍수터와의 연결을 제한함으로써 그 기능이 상당부분 축소되었다. 이에 기존 홍수터 서식처를 특성화하고 미래 홍수터 복원을 계획하는 것은 하천관리 및 생태계 회복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홍수 흐름의 규모, 시기, 기간, 빈도 등을 포함한 하천 유황 특성과 생태적 반응이 나타나는 홍수터 영역과 흐름 특성을 연계함으로써 서식처를 정량화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홍수터 복원의 시나리오는 현재 지형(기존 홍수터), 제방후퇴, 제방후퇴/구하도 복원, 제방후퇴/배후습지 조성으로 설정하였다. 홍수터 서식처를 정량화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일 유량의 수문통계학적 분석, 수리학적 모델링을 통한 범람 분석, 어류 물리서식처 모델링을 통한 가중가용면적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잠재복원영역(Potential Restored Area)에서 연중 기대되는 서식처 면적(Expected Annual Habitat Area)의 크기는 제방후퇴/배후습지 조성, 제방후퇴/구하도 복원, 제방후퇴, 기존 홍수터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홍수터 복원에 따른 서식처 정량화 방안은 홍수터 복원 계획 설계 시 시나리오 별 서식처 복원효과를 예측 평가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Case Study on the Factors of Obstacles to Growth of Planted Trees in the Gimcheon Jakjumgogae of Baekdudaegan Ecological Axis Restoration Site (김천 작점고개 백두대간 마루금 복원사업지 내 식재수목의 생육 장애 요인에 관한 연구)

  • Kim, Su-Jin;Park, Hyun-Bi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6 no.4
    • /
    • pp.422-432
    • /
    • 2022
  • Soil and micro-climatic environmental monitoring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actors causing tree growth impediments at the Baekdudaegan ecological axis restoration project sit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nutrient supply was insufficient in the restoration project site due to the lack of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of the soil compared to the surrounding forest. After the completion of the restoration, the soil moisture in the autumn decreased more than 7 times faster than that of the surrounding forest, and it was evaluated that the soil moisture was significantly low due to the lack of silt and clay content. In the case of the restoration site, the annual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was analyzed to be 975mm, which is approximately two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surrounding forest. The soil moisture of the restoration site in the summer decreased rapidly during the daytime when the amount of insolation increased and this was found to be strongly influenced by the increase in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above factors affecting the tree growth at the Baekdudaegan ecological axis restoration project site, it is necessary to induce the smooth supply of nutrients and water to plants by improving physical proprieties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i.e., using litterfall, humus soil, soil conditioner and organic fertiliz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basic data for the design,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ecological axis restoration projects in the future.

The parameter investigation for the development of model to predict responses of vegetation to hydrological conditions (수문생태 모델의 개발을 위한 요소 검토)

  • Hong, Il;Lee, Jin-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076-1080
    • /
    • 2007
  • 최근 국내에서는 하천변 생태계를 대상으로 생태구조 및 서식처 평가 등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생태적 변화를 예측하고 예측된 결과에 따라 생태복원 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연구는 현재까지 미흡하다고 볼 수 있으며, 이는 생태복원 연구에 있어 주요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유럽과 미국에서는 수문학적 서식처 조건에 따른 식생 반응 예측 등 수문생태 모형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져 왔으며, 최근에는 습지, 홍수터 등을 대상으로 생태보전 복원분야에 널리 응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외의 수문생태모형 적용사례를 분석하여 국내 적용가능성 및 문제점에 대한 타당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대상으로는 유역 내에 홍수량 분담을 위한 천변저류지를 적용하였으며, 의미상으로 홍수터(범람원), 습지 역시 해당 범위에 포함할 수 있다. 천변저류지는 홍수기와 비홍수기에 따라 활용 측면을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런 맥락에서 천변저류지의 수위변화는 식생 변화의 중요한 요소(factor)가 될 수 있다. 그 외 범람시기, 범람일수, 건조기간 등을 포함한 수문요소 역시 수문생태 모델의 예측 변수인 식생 성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수문/생태시스템의 상호관계를 활용하고 모형의 형태를 국내 식생에 대한 생리학적 특성에 맞게 변화시킬 수 있다면 국내 천변저류지에도 충분히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잠재적으로 식생 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환경조건 예를 들면 영양물질, 토양구조, 토사 퇴적 등을 적용대상지 환경에 맞게 포함하거나 고려할 수 있다면 모형의 재현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다.의 기대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리라 생각되며 분석된 인자들은 수달 서식지를 위한 하천정비의 기초자료에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따른 유량측정망을 구축하는 것이다.의 의사결정 지원 도구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유역의 물순환 해석을 위한 일련의 과정, 즉 자료의 조사 및 취득에서부터 물순환 해석 모형을 이용한 정량적 현황파악, 물순환 개선 기법 및 평가를 수행함에 있어 주요 착안점 및 실무에서의 기술적 가이드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보다 세밀한 도시유역의 물순환 해석을 위하여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적용이 활발한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모형(WEP, SHER, SWMM)의 적용사례를 통하여 국내 도시하천의 물순환 해석에 활용함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적용절차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다.호강유역의 급격한 수질개선을 알 수 있다.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 동년대에 동일한 목적으로 찬술되었음을 알 수 있다. $\ulcorner$경상도실록지리지$\lrcorner$(慶尙道實錄地理志)에는 $\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의 비교를 해보면 상 중 하품의 통합 9개소가 삭제되어 있고, $\ulcorner$동국여지승람$\lrcorner$(東國與地勝覽) 에서는 자기소와 도기소의 위치가 완전히 삭제되어 있다.

  • PDF

Stream Eco-corridor Restoration by Out-aged Small Dma Remmoval - Focused on Hantan River Gotan Small Dam Removal- (기능을 상실한 보 철거를 통한 하천생태통로 복원 -한탄강 고탄보를 대상으로-)

  • Ahn, Hogn-Kyu;Woo, Hyo-Seop;Rhee, Dong-Seop;Kim, You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536-1539
    • /
    • 2008
  • 본 연구는 하천을 가로막고 있는 기능을 상실한 횡단구조물 철거를 통하여 하천 생물들이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생태통로를 복원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기능을 상실한 보인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한탄강 소재의 길이 190m, 높이 2.8m 규모의 고탄보를 철거하여 철거에 의한 보 상하류에서 하상변동과 하천형태 변화와 같은 물리적 영향, 수질 변화와 같은 화학적 영향, 보 상하류에서의 어류/저서동물/식생의 생태 서식처 변화와 같은 생물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어류의 경우, 철거 이전에 보 최상류역 대조구간에서 조사된 16종이 26종으로 늘어났으며, 특히, 뱀장어, 강준치, 쏘가리와 같은 어류의 개체수가 증가되었다. 보 철거를 통하여 이동통로가 확보됨으로써 종다양도 지수가 전반적으로 상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저서무척추동물의 경우, 보 철거로 인하여 정수역었던 곳이 유수역으로 변모함에 따라 철거 전에 출현했던 잠자리와 다슬기 종류는 발견되지 않았던 반면, 철거 전에 출현되지 않았던 날도래류가 출현하는 등 출현 종에 다소의 변화를 보였다.

  • PDF

An Analysis on the Alteration of Flow Regime Characteristics : A Case of the Geum River Basin (금강유역의 유황특성 변동 분석)

  • Kang, Seong-Kyu;Lee, Dong-Ryul;Moon, Jang-Won;Choi, Si-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429-434
    • /
    • 2008
  • 최근 하천의 복원과 자연형 하천 조성 사업 등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하천의 정상적인 상태를 유지하기위한 최소유량의 개념인 하천유지유량의 산정도 정부차원의 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 하천복원사업의 주목적은 변형된 수로의 복원, 오염하천의 정화, 생태서식처 조성, 자연 구조물 재료를 이용한 친수공간 확보 등이나, 해외 관련연구사례는 자연상태 혹은 자연상태와 가까운 상태로 하천을 복원, 유지하기 위해서는 과거의 유량 흐름 특성을 복원하는 것이 이에 못지않게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유황특성을 세분하여 이들 특성이 하천생태계에 줄 수 있는 영향을 외국의 사례를 통해 고찰하였으며, 금강유역의 유황변동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대청댐 및 용담댐의 건설 전 후의 유황특성 변동을 분석하였다. 또한, 과거 관측자료가 부족한 경우, 모형을 통해 산정된 자연유량자료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여 본 연구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유황특성 변동 분석은 향후, 하천유지유량의 산정, 자연형 하천 복원 및 하천관리 시 유황의 특성을 복원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방향성을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the Actual Vegetation of Nanji-do for Restoration of Ecosystem after Stabilization Construction (난지도 안정화공사 이후 생태계 복원을 위한 현존식생에 관한 연구)

  • 이경재;오충현;김지석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1 no.1
    • /
    • pp.126-132
    • /
    • 1997
  • Nanji-do is an island in Seoul, the area is 272ha, and in which gad was piled up waste discharged from Seoul metropolitan for 15 years(form March 1978 to March 1993). The volume of waste is 92, 000, 000m$^{2}$. The actual vegetation area of Nanji-do is 191ha, and the area of woody plant is 31ha. The rest area is covered by herbaceaus plant. In actual vegetation area of woody plant,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and Salix pseudo-lasiogyne community are 83%. The soil pH is alkaline, though general soil pH is acid in Seoul. There is no relation with soil condition and actual veget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actual vegetation of Nanji-do don't help the establishment of vegetation restoration after soil stabilization construction. And so following a countermeasure is proposed. 1) Selection of adequate species by an experiment of planting pioneer species, native species, and dietary species 2) Establishment of an adequate planting plan and development of slope stabilization method by planting of native species 3) Establishment of a restoration plan of animal ecosystem by survey for animal ecosystem

  • PDF

An Economic Value for Construction of Ecological Stream in Hong Cheon Area, Korea (홍천강 생태하천 복원사업의 경제적 가치)

  • Koo, Yoonmo;Kang, Hyeongsik;Lee, Misu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8 no.1
    • /
    • pp.71-79
    • /
    • 2014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economic benefit of restoring ecological stream of Hong Cheon river. The benefit is determined by estimating willingness-to-pay for the value of Hong Cheon river because it is a non-market good which is difficult to be measured in terms of monetary value. Specifically, the spike model, one of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s, is used to distinguish respondents having zero willingness-to-pay for Hong Cheon river. The results show that a household located near the Hong Cheon river is willing to pay 3,300~4,628 Korean Won per year, while a household not located near the Hong Cheon river is willing to pay 1,308~2,929 Korean Won per year. Thus, total benefit of restoring ecological stream of Hong Cheon river is estimated as 97.6~216.3 billion Korean 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