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태기능

Search Result 1,096,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Biotope Map Using 3D GIS (3차원 GIS를 이용한 생태지도의 설계 및 구현)

  • Yang, Su-Yeong;Jung, In-Sung;Song, Gil-Jong;Yoo, Nam-Hyun;Kim, Won-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b
    • /
    • pp.289-293
    • /
    • 2010
  • 21C 현대 문명사회에서는 도시의 고밀도 및 팽창으로 인하여 도시 내 생태계가 파괴되면서 생물서식처의 환경 악화 및 엄청난 감소가 초래되었으며, 그 결과로 인하여 인간과 생물이 접촉할 수 있는 공간이 현저하게 줄어들고 있다. 또한 도시 영역의 확장을 위하여 산림 및 녹지의 감소, 녹지의 분절 및 단절화, 해안 매립 등이 계획 없이 무분별하게 진행됨으로써, 각종 동식물의 개체 수 감소 및 토양의 건조화 등이 발생하고 있으며, 그 영향으로 생물종의 다양성이 떨어지고, 도시 생태계의 교란이 심해지고 있다. 이러한 도시 생태계의 교란은 도시에 거주하고 있는 시민들의 생활의 질이 떨어지게 하고 많은 환경 문제들의 주원인이 되고 있다. 지속적이면서도 자연친화적인 도시발전을 위해서는 도시 내 자연생태계를 회복하고 생물서식공간을 종합적으로 보전하면서 복원해야 한다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지만, 이를 체계적으로 이루기 위한 방법론의 부재에 시달리고 있었다. 이러한 가운데 유럽을 중심으로 생겨난 비오톱(Biotope)과 비오톱 지도화 방법이 생태계를 보전하며, 시민들에게 다양한 자연체험과 휴양 기회를 제공하고 친환경적인 도시계획을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비오톱 지도는 이미지 기반의 2차원 지도로 제공되고 있어, 거리 및 공간 분석에 취약하고 정보전달력이 부족하여, 익숙한 전문가가 아닌 경우 비오톱을 이해하는데 상당한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공간정보가 결여된 2차원 형태의 GIS 데이터를 기반으로 3차원 공간 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위성영상과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이용하여 3차원 지형을 만들어 각 주제도별로 입체적인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동영상 녹화 기능과 3차원 객체 추가 기능을 이용하여, 자연생태계를 고려한 도시의 설계를 진행하는 경우 3차원적인 모델링을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이면서도 사용자의 이해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정보 전달력을 가질 수 있도록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Establishing a Research Framework for Ecological Aesthetics: A Methodological Review (생태미학 연구의 개념화 및 방법론 탐구)

  • Lee, Jong-Se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5 no.4
    • /
    • pp.71-80
    • /
    • 2017
  • Landscape design pursues a balance among different values in our society, but aesthetic value and ecological value in landscapes must bring complex relationships into harmony. Ecological aesthetics can be defined as a domain of study that manages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scape ecology and landscape aesthetics to create aesthetically attractive and ecologically beneficial landscapes.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 research area, there has been limited empirical research addressing ecological aesthetics. This article aspires to connect and expand the conceptual framework to the research methodologies of ecological aesthetics. First, this study suggests a conceptual framework that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scape and perceptual process in the context of ecological aesthetics. This framework stresses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and design intervention as moderators in this relationship. From this framework, three key topics in ecological aesthetics arise: (1) correlation between ecological integrity and aesthetic preference, (2) "compromised" design and management intervention principles that enhance aesthetic pleasure and still have biodiversity, and (3) the impact of information intervention in aesthetic experience. The framework indicated three domains affect each other; thus, when one domain is studied, the other two need to be considered. Secondly, several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on ecological aesthetics will be reviewed from a methodological point of view. This will help to consider ecological aesthetics research, which has primarily been limited to theoretical discourse in empirical research.

해양생태계 기반 수산자원관리

  • 장창익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2.10a
    • /
    • pp.261-262
    • /
    • 2002
  • 현재 세계 해양의 어업자원은 상당부분이 최대 지속적 생산량을 넘는 수준에서 개발 이용되고 있는 상황이며 1980년에서 1990년의 10년 동안 과도 어획된 종의 수는 2.5배가 증가하였다 (Alverson and Larkin 1994). 세계 해양에서 어획되는 대부분의 어획물은 점진적으로 낮은 영양단계에 위치한 종의 상대적 비율이 증가되고 있다 (Pauly et al. 1998). 어획활동은 해양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의 변화를 초래하지만 어획으로 인한 생태학적 변화는 종종 무시되어 연구의 대상이 되지 않았다. (중략)

  • PDF

감성돔 치어의 사료 종류별 성장 및 에너지 수지

  • 박헌우;김태우;박기영;김강웅;서영석;김진각;최명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197-198
    • /
    • 2003
  • 해양동물의 성장, 호흡 및 동화효율 등의 생태ㆍ생리적 연구는 에너지 흐름의 역학적 구조를 이해하고 생태계의 기능을 파악하는데 있어 유용한 수단이 된다. 생태계는 복잡한 먹이사슬과 같은 영양학적 구조와 집단간 에너지 흐름의 양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복잡한 먹이망 속에서 그 물질의 전환에 따른 에너지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서 에너지 수지를 분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Klekowski and Ducan, 1975). (중략)

  • PDF

한국 연근해 영양염 및 동.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변동 특성

  • 강영실;이용화;오현주;서영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379-380
    • /
    • 2000
  • 최근 수산자원의 이용, 관리 및 환경보전 등의 문제를 생태계 보존이라는 관점에서 해석하고 풀려고 하는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단위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고 밝히는 것이 주요한 연구과제로 대두하고 있다. 특히, 생태계의 하부 영양구조인 영양염-식물플랑크톤-동물플랑크톤의 상호관계를 밝히는 것은 어류 등과 같은 상부 영양구조의 변동을 파악, 예측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 연근해의 영양염-식물플랑크톤-동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변동 특성과 이들의 상호관계를 논의하였다. (중략)

  • PDF

An Experimental Comparison of Feature Subset Selection Methods using Bio-Inspired Algorithms (생태계 모방 알고리즘을 이용한 특징 선택 방법들의 성능 비교 분석에 대한 연구)

  • Yun, Chulmin;Yang, Ji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27-29
    • /
    • 2007
  • 패턴 인식 문제를 푸는데 있어 특징 선택을 해주는 것은 패턴 인식의 성능 향상을 위해 중요한 과정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생태계 모방 알고리즘 2 가지를 선택하여 특징 선택 문제에 적용하여 보고, 그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데이터의 특징을 줄여주는 기능과 패턴 인식 성능의 향상 여부를 중심으로 평가하였으며, 이를 통해 생태계 모방 알고리즘이 특징 선택 문제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해보고, 두 방법의 장단점과 특징에 대해 생각해 본다.

  • PDF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Meaning of Bibo Landscape in Otgol Village (옻골마을 비보경관의 환경생태적 의미)

  • Jang, Byoung-Kwan;Whang, Bo-Chu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6 no.2
    • /
    • pp.32-41
    • /
    • 2008
  • An empirical study and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analysis were conducted on Otgol Village(a village of the Gyeongju Choi's clan in Daegu) where an enclosed pond and groves are still observed. In particular, the enclosed pond and groves and village water system were investigated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The enclosed landscape is described based on feng shui principles and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significance were examined. In general,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significance is very broad; however, they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quality of life as an empirical study as follows: First, water quality was measured to investigate the improvement of continuous water system functions. In other words, water quality was measured at East Valley(resting space), West Valley(living space), the enclosed pond where the two valleys merge, and the stream that flows out of the pond. Second, the climate functions of the enclosed groves that border the village were examined. In other words, temperature was measured in two places(200m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groves). Third, whether or not a sound ecosystem can be sustained was investigated. In other words, landscape ecological indicators were chosen and measur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nclosed pond played the role of purifying water quality. While the East Valley has been popular with men for its rock walls and torrents, the West Valley has been popular with women as a living space(ex: doing the laundry). Therefore, the difference of water quality can be explained. Second, since enclosed groves are in a small village forest, they are very weak in terms of being wind proof and temperature reduction effects. Instead, they play the role of the village boundary. Third, the groves are ecologically sound considering the landscape ecological indicators and are similar to ordinary traditional rural villages. In terms of the connection of the green zone, the village groves are well connected to the village boundary wood. If the village groves are restored, in particular, they would offer a decent habitat for grove creatures. According to this study, the traditional village space was formed upon the influence of Feng Shui theories that are based on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rinciples that focus on the harmony between humans and nature. From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erspective, the enclosed pond and groves are important factors in building a sustainable village. The diverse water space would help to improve water quality and increase water volume by promoting the water circulation system. In addition, the village woods would surround the village and decreas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difference between winter and summer. If the groves are small and badly damaged, however, they are meaningful only in dividing the region. The overall improvement of a forestation system and botanical composition may increase the biological diversity and promote the migration of species. Otgol Village has developed an enclosed landscape to improve the village environment. In other words, a sound and refreshing living environment can be developed when the natural ecological system is well understood and properly preserved. Additionally, this traditional village planning will be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method. From the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ecology, therefore, a traditional village is recommended.

Assessment of Dam-Wetland Functions and Economic Value using HGM and CVM (HGM과 CVM을 이용한 댐습지의 기능 및 가치평가)

  • Kim, Duck-Gil;Yoo, Byong-Kook;Kim, Hung-Soo;Jang, Su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87-187
    • /
    • 2012
  • 최근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생물다양성, 홍수조절, 온실가스 저감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습지에 대한 보전 및 복원을 위한 많은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습지 보전 및 복원을 위한 다양한 방안 중 하나가 댐 및 주변지역을 습지로 조성하여 활용하는 방안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댐 및 주변지역의 습지로서의 활용을 위한 특성 파악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댐 주변지역에 조성된 습지와 댐 저수지 자체를 모두 포함하여 댐습지라고 정의하고, 댐습지가 지니고 있는 습지의 기능 및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지역은 기준습지와 대상습지로 구분되며, 기준습지는 우포늪과 보령댐, 대상습지는 용담댐이다. 댐습지의 기능평가는 수문지형학적 특성을 고려하는 HGM(Hydrogeomorphic Method)을 이용하였으며, 가치평가는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이용하였다. 기능평가 결과는 우포늪과 보령댐을 각각 기준지역으로 선정하였을 경우로 구분하여 나타낼 수 있다. 자연습지인 우포늪을 기준지역으로 선정하였을 경우에는 댐의 주목적과 관련이 있는 수문학적 기능이 높게 평가되었으나 습지 내에서 진행되는 생지화학적 기능과 다양한 식물 종에 대한 서식처로써의 기능은 다소 미흡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보령댐을 기준지역을 선정하였을 경우에는 일부 기능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기능이 유사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한 용담댐의 경제적 가치평가는 댐습지 생태공원조성에 따른 훼손된 습지의 보호, 희귀생물종의 보호, 휴양 및 여가기능 제공을 주요인으로 설정하고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가치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용담댐의 총 가치는 우포늪의 가치와 비교하였을 때 우포늪의 35~41%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댐습지의 기능 및 가치평가 결과는 댐이 단순히 이 치수 측면으로만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생태학적으로도 활용성이 있다는 사실을 나타내고 있다. 이를 통해서 향후 댐의 친환경적 활용 방안 및 댐습지 관리 방안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댐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증진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