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태기능상태

Search Result 129,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Community Analysis and Bological Water Quality Evaluation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in Wangpi-cheon Watershed (왕피천 유역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석 및 생물학적 수질평가)

  • Park, Young-Jun;Jeon, Yong-Lak;Kim, Ki-Dong;Yoon, Hee-Nam;Nam, Sang-Ho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7 no.3
    • /
    • pp.327-343
    • /
    • 2013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erform community analysis and biological assessment of water quality using benthic macroinvertebrate from Wangpi-cheon watershed which is defined as conservation areas of ecosystem and landscape by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 Field survey of the study area was carried out 2 times from June to September in 2012. As a result of the field survey, total 155 specie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74 families, 15 orders, 7 classes and 5 phyla were collected. The findings of community analysis using the classified species and individuals showed relatively low DI(Dominant Index) value of 0.22 and very high value of average H'(Diversity index) as 4.24. And the analyzed results of SI(Similarity Index) according to habitat types using functional feeding groups showed higher values of 94.51% and 93.19% respectively to tributary and main stream after the designation of conservation areas of ecosystem and landscape. These results infer that various species and lots of individual are widely distributed at Wangpi-cheon watershed and stream ecosystem of the study area is healthy and well maintained after the designation of conservation areas. And also, the calculated EPT value was 62.9% as high enough to explain the cleanness of Wangpi-cheon watershed. We evaluated environmental condition and biological water quality by using ESB(Ecological Sco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and KSI(Korean Saprobic Index). The average evaluated ESB shows very high value of 208.2, therefore Wangpi-cheon watershed is designated as 'First priority protection waters' area and the value of KSI is 0.32 which meets the saprobic water quality standard as 'First class'.

A Study on the Irrigation Reservoir to prevent Drying Stream (건천화방지를 위한 농업용수 개발방안)

  • Choi, Nag-Weon;Choi, Hyun-Il;No, Hwang-Won;Jee, Ho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390-394
    • /
    • 2009
  • 우리나라의 강우특성 및 지형여건상 최근 농촌지역 하천의 건천화가 급속히 진행되어 전통적인 농촌지역 하천의 기능이 줄어들고 있다. 하지만 건천화 원인에 대한 과학적인 분석은 극히 저조하다. 농촌지역 소하천의 건천화 원인은 다양하게 존재하고, 각각의 원인에 따라 방지 대책이 달라야 할 것이다. 그러나 현실은 일률적인 방지책을 시행하고 있어 그 효율성이 불확실한 상태이다. 농촌지역 소하천 건천화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는 기존 저수지 유지수량 미확보, 유휴지 난개발, 지하수 과다사용, 무분별한 하천개수, 하천 퇴사 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원인분석 없기 때문에 개략적인 방지 대책이 시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중소하천의 생태환경 건전성을 위해서 농업저수지를 비롯한 농업용수의 하천유지용수 공급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적정한 농업용수의 하천유지유량 공급방안 정립이 필요하다. 또한 농촌 소하천 유역에서 상류에 위치한 농업용 저수지는 우선적으로 농업용수를 공급함에 따라 소하천들은 수문순환 과정이 인위적으로 단절되어 심각하게 건천화되어 가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안정적인 하천유지용수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농촌 소하천의 건천화에 따른 하천수의 부족은 용수확보의 불가능, 수질오염의 심화 등의 문제를 초래함으로써 경제적인 측면에서 많은 손실을 가져오고 있으며 하천이 갖추어야할 친수공간으로서의 기능도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많은 주민들이 여가 활용과 휴식공간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농업용저수지의 시설규모를 확장하여 추가적으로 하천유지용수를 확보함으로써 하천의 건천화를 예방하고 향후 확장 가능한 농업용수 전용저수지의 설계방향을 제시코자 한다. 기존저수지의 지역적 요소 및 환경적 요소를 감안하여 저수지 증고에 의한 재개발 방향을 검토 분석하여 물부족에 의한 하천 건천화를 예방하고 추가 용수량의 확보를 할 수 있도록 노력을 해야겠다.

  • PDF

Suggestions on the operation of sewage treatment plant used to integrated water quantity and quality analysis (수량-수질 연계모의를 통한 하수처리장 운영방안 제시)

  • Seo, Jae-Seung;Choi, Si-Jung;Lee, Dong-Ryul;Kang, Seo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028-2032
    • /
    • 2009
  • 하천법에서 하천유지유량은 "생활 공업 농업 환경개선 발전 주운 등의 하천수 사용을 고려하여 하천의 정상적인 기능 및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유량"으로 정의 되어있고, "하천유지유량 산정요령"에 따라 갈수량을 기본으로 하여 하천의 수질보전, 하천 생태계 보호, 하천경관 보전 등 8가지 항목을 고려하여 산정하고 있다. 환경부에서는 2007년1월 환경부 고시에 '중권역별 수질 및 수생태계 목표기준과 달성기간"을 제정 고시하였고, 하천의 주요지점에 목표수질을 설정하고 그 수질을 만족시키기 위해 오염물질의 허용량을 제한하는 오염총량관리제도를 도입하였다. 이와 같이 하천 수질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하천의 기능을 제대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량뿐 아니라 적절한 수질이 요구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과 SEI-US(Stockholm Environment Institute-U.S center)가 공동으로 개발한 통합수자원평가모형인 K-WEAPq 모형을 이용하여 만경강 유역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2003년의 수질 및 유량 자료를 이용하여 수량-수질을 모의하였다. 일별 수량-수질 동시모의를 통해 만경강 유역의 하수처리장 방류수 수질에 따른 하천 수질의 연중 변화를 파악하였고,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수질을 변화시켜 수질모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수질에 따라 하천의 수질이 변화됨을 알 수 있고, 하수처리장 방류수 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하천의 목표수질을 달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를 활용하면 하천의 수질 및 유량에 따라 하수처리장의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며 비용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산악지(山岳地)에서 국토보전(國土保全)과 토지이용효과(土地利用効果) 제고(提高)를 위한 혼림초지(混林草地)의 조성방안(造成方案)

  • Ma, Sang-Gy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58 no.1
    • /
    • pp.125-131
    • /
    • 1982
  • 산지개간(山地開墾)에 의한 인공초지(人工草地) 조성(造成)은 급경사지(急傾斜地)이고 복잡(複雜)한 지형(地形)의 한국(韓國) 산악지(山岳地) 조건(條件)과 계절간(季節間)에 기후차(氣候差)가 심한 한국(韓國)의 기후상태(氣候狀態)로 보아 많은 문제점(問題點)이 있을 것이고, 이와 같은 지형(地形)과 기후조건(氣候條件)들 때문에 토지이용시(土地利用時) 신중(愼重)한 배려(配慮)가 요구(要求)된다. 산지황폐(山地荒廢)와 홍수피해(洪水被害) 등(等)이 국토관리상(國土管理上) 큰 문제점(問題點)으로 되어 왔고 금후(今後)에도 이 문제(問題) 해결(解決)은 토지경영(土地經營)에 있어 커다란 과제(課題)로 남아 있다. 또한 식량증산(食糧增産)을 위한 토지(土地)의 경제적(經濟的) 이용(利用)도 큰 과제(課題)의 하나임에는 틀림 없다. 이와 같이 토지이용상(土地利用上)에 서로 상충(相衝)되는 이들 과제(課題)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공토지(人工土地) 조성(造成) 대책(對策)을 검토(檢討)한 바 임축인(林畜人)들이 상호(相互) 협동(協同)하여 이 과제(課題)의 기술(技術)을 개발(開發)시켜야 될 것으로 판단(判斷)이 된다. 국토보존(國土保存) 문제(問題)를 해결하고 동시에 인공초지(人工草地)의 문제점인 하고현상 식피밀도(植被密度)와 연년생장(年年生長)의 감소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호보완적(相互補完的)인 생태적(生態的)인 방법(方法)이 도입(導入)되어야 할 것 같다. 이를 위해 삼림(森林)이 갖고 있는 토양침식방지(土壤浸蝕防止), 토양수분보지기능(土壤水分保持機能), 온도변화기능(温度變化機能), 공중온도(空中温度) 보지기능(保持機能), 방풍기능(防風機能)과 풍치기능(風致機能)을 잘 활용(活用)하여 국토(國土)를 보존(保存)시키고 동시(同時)에 초지생산성(草地生産性)도 높이는 방안(方案)이 인공초지조성(人工草地造成)에 있어 기대될 수 있는 방법(方法)으로 사료(思料)된다. 이의 대책(對策)의 일환으로 유실수(有實樹)와 초(草)와의 혼농림조성(混農林造成), 임간초지(林間草地)와 방목(放牧), 활엽수림하(闊葉樹林下)의 혼림초지(混林草地) 경사지(傾斜地)에 있어 대상식(帶狀式)과 세포식(細胞式)의 방풍(方風) 및 황폐방비림(荒廢防備林)에 의한 초지조성(草地造成) 또한 산능선부와 계곡부의 삼림(森林)을 보존(保存)시키는 초지조성법(草地造成法)을 제시(提示)하였다. 수광량(受光量)이 문제(問題)가 될 경우에는 간벌(間伐)과 가지치기 들(等)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예취작업(刈取作業)의 기계화상(機械化上)의 문제(問題)는 상하(上下) 수대(樹大)의 배열(配列) 또는 배식방법(配植方法)에 의해 조절할 수 있으므로 혼림초지조성(混林草地造成)이 초지생산성(草地生産性)에 하등의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사료(思料)되며 오히려 초생산량(草生産量)을 증대(增大)시키는 방법(方法)이 될 것이다.

  • PDF

Variations of Seaweed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Crustose Coralline Algae at Gallam, Samchuk, Eastern Coast of Korea (한국 동해 삼척시 갈남 해역의 해조 군집구조와 무절산호조류의 분포 변화)

  • Kim, Chansong;Kim, Young Sik;Choi, Han Gil;Nam, Ki Wa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8 no.1
    • /
    • pp.10-23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seaweed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crustose coralline algae at the intertidal and subtidal zones of Gallam, Samchuk, eastern coast of Korea. Total 112 species including 14 of green algae, 33 of brown algae, and 65 of red algae were collected and identified. Among these species, 29 species were found throughout the year. The dominant species which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total biomass were Ulva pertusa, Colpomenia spp., Sargassum fulvellum, Sargassum fusiforme, Sargassum muticum, Sargassum thunbergii, Corallina pilulifera, and Gelidium elegans. Annual seaweed biomass in dry weight was 66.7 $gm^{-2}$ and maximum biomass was recorded seasonally in summer (107.5 $gm^{-2}$), while minimum was recorded in autumn (36.2 $gm^{-2}$). In seaweed functional group analyses, coarsely branched form was the most dominant functional group constituting from 40.0 to 48.6% of the total flora. Ecological state group ESG II, as an opportunistic species, including sheet form, filamentous form, and coarsely branched form, consisted of 46~61 species, constituting 76.7~82.4%. Crustose coralline algae was observed throughout all seasons. Species of the crustose coralline algae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Lithothamnion lemoineae, Lithophyllum okamurai, Lithophyllum yessoense, and Hydrolithon gardineri. The coverage of crustose coralline algae seems to be lower than that of other studies from 36.8% to 11% on average.

A Study on the Telemetry system for the Inhabitant Environments and Distribution of Fish-I - Sea Temperature , Salinity and Distribution of Fish - (어류의 서식환경과 분포생태의 원격계측에 관한 연구-I - 수온, 염분과 어류의 분포생태 -)

  • Sin, Hyeong-Il;An, Yeong-Hwa;Sin, Hyeon-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 /
    • v.33 no.4
    • /
    • pp.321-333
    • /
    • 1997
  • This paper describe on the transmitting/receiving functions and the monitoring effects for the telemetry system which is designed to monitor the environmental condition of a culturing fishery ground inside a bay. The telemetry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by the telemetry system which constructed with the sea water temperature/salinity measuring sensor and telesounder at culturing fishery ground located in the coast of Sangyang-Myon, Kyongsangnam-Do province from October, 1995 to May, 1996.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showed that the developed telemetry system could be used for monitoring the sea water temperature/salinity and the distribution of fish in culturing fishery ground.

  • PDF

Study on Reduction Effect of the Non-Point Pollutants through Riparian Buffer Zones (비점오염부하 저감을 위한 수변완충지대의 효율적 조성 연구)

  • Choi, I-Song;Kim, Sung-Won;Jung, Sang-Jun;Woo, Hyo-Seop;Oh,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793-1797
    • /
    • 2007
  • 한강 "수변구역"에서 비점오염물질의 공공수역 유입을 억제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 중에서 보편적이고 자연친화적인 방법은 다양한 생물의 서식공간이며, 동시에 본류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수질을 정화시키는 수질개선 공간인 수변완충구역, 또는 지대를 설정하여 관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변완충지대 효과 분석 및 설정에 관한 연구는 국내에서 아직 수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변구역의 자정능력을 높이는 것은 물론 그 밖의 하천 연안에서 비점오염물질의 차단과 처리능력을 증진시키고 수변 생태계의 서식처 보전 및 복원을 위해서 수변완충지대의 수질정화 기술개발과 생물다양성을 창출하는 수변완충지대 조성 기법을 개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수변완충지의 추가적인 조성과 보완, 시험완충지 생태구조 및 기능 기초조사, 시험완충지 오염부하 저감효과의 실험 및 분석, 수변완충지대 설치 구상 등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행 지역은 한강수계 지역으로 남한강 수변인 경기도 양평군 병산리에서 실시하였으며, 잔디와 갈대, 갯버들, 혼합지역, 자연그대로의 상태(대조지역)의 5 구역으로 구분하였고, 깊이별로 샘플을 채취하여 유입수와 표면유출, 하부유출을 비교해 보았다. 연구 결과, 5 가지 구역 중 잔디 구역의 SS, T-N, T-P, TOC의 제거 효율이 각각 76.7%, 85.2%, 97.6%, 83.3%로 가장 좋은 오염물질 제거 효율을 보였으며, 깊이 별 분석에서는 표면유출에서 하부유출로 갈수록 월등한 효율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비점오염원에 대한 한강수계의 수자원 보호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수변완충지대의 조성, 유지관리기술의 개발을 통한 수변완충지대의 계획과 설계에 직접적인 기여를 할 수 있으며, 수변구역에 설치 가능한 Riparian Buffer Zone의 중요성과 효율성을 알려 현재 하상 저니 준설 및 폭기 위주의 사업에서 생태 공학적 복원을 적극 고려한 정화사업으로 확대 추진하고자 한다.해결책을 얻어내는 상호보완적인 결과를 추구한다. 그가 디자인하는 작품은 전형적인 이미지를 내포하지 않는다. 즉 그의 작품은 기존의 가치와 이념적인 것은 배제하고, 창의적인 개념을 도출하였다.형모서리는 건물 특화 성격이 강하므로 불가피할 경우 소형 액센트 광고 위치를 미리 벽면으로 할애하는 것이 경관 및 입면계획에 유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불확실도 해석모형 등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여 제시하였다. 모든 입출력자료는 프로젝트 단위별로 운영되어 data의 관리가 손쉽도록 하였으며 결과를 DB에 저장하여 다른 모형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HyGIS-HMS 및 HyGIS-RAS 모형에서 강우-유출-하도 수리해석-범람해석 등이 일괄되게 하나의 시스템 내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HyGIS와 통합된 수리, 수문모형은 국내 하천 및 유역에 적합한 시스템으로서 향후 HydroInformatics 구현을 염두에 둔 특화된 국내 수자원 분야 소프트웨어의 개발에 기본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았다. 또한 저자들의 임상병리학적 연구결과가 다른 문헌에서 보고된 소아 신증후군의 연구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자극에 차이가 있지 않나 추측되며 이에 관한 추후 연구가 요망된다. 총대장통과시간의 단축은 결장 분절 모두에서 줄어들어 나타났으나 좌측결장 통과시간의 감소 및 이로 인한 이 부위의 통과시간 비율의 저하가 가장 주요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차가운 생수 섭취가 주로 결장 근위부를 자극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아닌가 해석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생다시마를 주원료로 개발된 생다시마차와 생다시마 음료가 만성 기능성 변비 증세를 개선하는 효능이 잠재적으로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생약제재의 변비약 수준으로 변비 개선 효능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재료 배합비의 개선이나 대장 운동기능을 향상시키는 유효성분의 보강 등이 필요하다는 점도 알 수 있었다.더불어 산화물질 해독에 관여하는

  • PDF

Marine Algal Flora and Ecological Role of Eisenia bicyclis in Dokdo, East Sea, Korea (한국 동해안 독도의 해조상 및 대황(Eisenia bicyclis) 부착기의 생물상)

  • Park, Seo Kyoung;Lee, Jung Rok;Heo, Jin Suk;An, Dae Sung;Lee, Haeng Pil;Choi, Han Gil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8 no.6
    • /
    • pp.613-626
    • /
    • 2014
  • Seaweeds were identified after qualitative sampling at 14 stations of Dokdo coasts from May to July 2013 and seaweeds and animals inhabiting 23 Eisenia bicyclis plants were examined to evaluate its ecological role. Biomass was calculated by using regression between stipe length and weight of E. bicyclis. A total of 128 species were identified, including 18 green, 35 brown, and 75 red algae. Coarsely branched form was dominant functional group occupying 47.66% and 91 species (71.09%) were in ESG I group, growing in stable environmental coast. Also, R/P, C/P, and (R+C)/P were 2.14, 0.51, and 2.66, respectively showing temperate and mixed flora. Biomass and density of E.bicyclis were $23.74kg\;m^{-2}$ and 64 fronds $m^{-2}$. Twelve seaweeds and 83 animal species (15 Annelida, 25 Mollusca, 34 Arthropoda, 3 Echinodermata, and 6 others) were observed from 23 holdfasts and Ericthonius pugnax was dominant taxon having 538 (43.11%) of 1,248 animal individua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bicyclis is a keystone species showing very important ecological role. In conclusion, the number of seaweeds increased because of intensive research and dominance of coarsely branched form and ESG I group seaweeds, representing that environmental condition of Dokdo is still intact.

Significance of Dissimilatory Fe(III) Reduction in Organic Matter Oxidation and Bioremediation of Environmental Contaminants in Anoxic Marine Environments (혐기성 해양환경에서 철 환원세균에 의한 유기물 분해 및 생물정화)

  • Hyun Junc-Ho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10 no.3
    • /
    • pp.145-153
    • /
    • 2005
  • I reviewed an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significance of microbial carbon respiration coupled to dis-similatory reduction of fe(III) to Fe(II) which is one of the major processes controlling mineralization of organic matter and behavior of metals and nutrients in various anaerobic environments. Relative significance of Fe(III) reduction in the mineralization of organic matter in diverse marine environments appeared to be extremely variable, ranging from negligible up to $100\%$. Cenerally, Fe(III) reduction dominated anaerobic car-bon mineralization when concentrations of reactive Fe(III) were higher, indicating that availability of reactive Fe(III) was a major factor determining the relative significance of Fe(III) reduction in anaerobic carbon mineralization. In anaerobic coastal sediments where $O_2$ supply is limited, tidal flushing, bioturbation and vegetation were most likely responsible for regulating the availability of Fe(III) for Fe(III) reducing bacteria (FeRB). Capabilities of FeRB in mineralization of organic matter and conversion of metals implied that FeRB may function as a useful eco-technological tool for the bioremediation of anoxic coastal environments contaminated by toxic organic and metal pollutants.

Diversity, Spatial Distribu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Relict Forest Trees in South Korea (한국 산림유존목의 다양성, 공간 분포 및 생태 특성)

  • CHO, Hyun-Je;Lee, Cheol-Ho;Shin, Joon-Hwan;Bae, Kwan-Ho;Cho, Yong-Chan;Kim, Jun-S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5 no.4
    • /
    • pp.401-413
    • /
    • 2016
  • Forest resources utilization and variable disturbance history have been affected the rarity and conservation value of forest relict trees, which served as habitat for forest biodiversity, important carbon stock and cultural role include human and natural history in South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baseline data for forest resources conservation by clarifying species diversity, spatial distribu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dividual and habitat) of forest relict trees (DBH > 300 cm) based on the data getting from mountain trail, high resolution aerial photos and field professionals and field survey. As results, 54 taxa (18 family 32 genus 48 species 1 subspecies 3 variety and 2 form) as about 22% of tree species in Korea was identified in the field. 837 individuals of forest relict trees were observed and the majority of the trees was in Pinaceae, deciduous Fagaceae and Rosaceae, which families are abundant in population diversity. High elevation area was important to relict trees as mean altitudinal distribution was 1,200 m a.s.l as likely affected by human activity gradients and mid-steep slope and North aspect was important environment for the trees remain. Many individuals exhibited 'damage larger branch' (55.6%) and consequent relatively lower mean canopy coverages (below 80%). Synthetically, present diversity and abundance of relict forest trees in South Korea were the result of complex process among climate variation, local weather and biological factors and the trees of big and old were estimated to important forest biodiversity elements. In the future, clarifying the role and function of relict trees in forest ecosystem, in- and ex- situ programmes for important trees and habitat, and activities for building the background of conservation policy such as "Guideline for identifying and measurement of forest relict tre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