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태건강성

Search Result 397,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Hydrolocgic and Ecologic Indices in the Han River Basin (한강유역의 수문지수와 생태지수 상관성 분석)

  • Kim, Siyeon;Lee, Jiwan;Jeon, Seol;Lee, Moonyoung;Jung, Wonwoo;Jung, Kichul;Kim, Seongjoon;Park, Daer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40-44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수문지수와 생태지수간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하천의 유량이 하천 생태계와 하천 건강성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분석했다. 수문지수는 각 유역의 유량 자료를 이용하여 구하였다. 각 유역의 평균 일일 유량, 평균 월 유량, 일 중앙 유량, 월 중앙 유량, 유량의 왜곡, 유량의 변동계수, 유량 빈도 등을 구하였다. 생태지수는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dex (BMI)를 이용하였다. 피어슨 상관계수 분석(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을 통해 수문지수와 생태지수 간의 상관성을 분석했다. 또한 Gaussian Process Regression(GPR) Model을 이용하여 수문지수와 유역의 지형적 특성을 이용한 회귀모형을 통해 미래의 BMI를 예측할 수 있었다. 각 수문지수별로 생태지수와 높은 상관성을 보이는 것과 낮은 상관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GPR 모형을 이용하여 미래의 BMI의 값을 예측해 하천 건강성 평가로 이용될 수 있는 수문지수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수문학적 지수와 생태지수를 이용해 정량적으로 건강성을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GPR 모형을 통해 미래 생태지수의 값을 예측해보고 해당 연구 유역의 하천 건강을 위한 하나의 지표를 제안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어류를 이용한 하천 생태계 건강성 평가

  • An, Gwang-Guk
    • River and Culture
    • /
    • v.2 no.4
    • /
    • pp.64-68
    • /
    • 2006
  • 기존의 수환경 평각가 BOD 및 COD 개념의 이화학적 평가법 이었다면, 현재 우리나라 환경부에서 개발 추진 중에 있는 수질평가 기법은 생물 지표특성을 이용해 생태건강성을 평가한다는 점이다. 즉, 기존의 인간위주의 개념에서 탈피하여 인간과 함께 실제 생태계내에 사는 생물관점에서 평가된다는 것, 즉 수환경 관리정책의 페러다임이의 전환이라 할 수 있다.

  • PDF

Landscape Scale Ecosystem Evaluation for Sustainable Landuse Planning (지속가능한 토지이용을 위한 경관규모 생태계평가기법 연구)

  • Hwang, Kook-Woong;Park, So-Y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6 no.1
    • /
    • pp.78-84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cosystem soundness in landscape scale using landscape indices, and to extract regional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for sustainable landuse planning. About BongWha-gun, the landcover classification using Landsat TM images and patch analysis ware carried out, and some landscape indices were calculated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and patch analyst program.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Seokpo, Jaesan and Sochun got higher scores in landscape indices related to the ecosystem soundness. But, Bonghwa-eup got lowest scores in the 10 regions. When compared with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NDVI), this result showed consistency to some degree. Although, there needs more supplementary studies, it is anticipated that landscape scale ecosystem evaluation using landscape indices can gives us some informations related to sustainable landuse planning.

  • PDF

Ecosystem Diagnosis and Evaluations Using Various Stream Ecosystem Models (다양한 하천생태모델을 이용한 생태계 진단 및 평가)

  • Kim, Ja-Hyun;Lee, Eui-Haeng;An, Kwang-Guk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0 no.3
    • /
    • pp.370-378
    • /
    • 2007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diagnose integrative ecological health in Bansuk Stream, one of the tributaries of Gap Stream, using the fish assemblage during July 2006${\sim}$April 2006. For this research, we selected six sampling sites and applied some approaches such as the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QHEI), and necropsy-based Health Assessment Index (HAI). The stream health condition, based on the IBI values, averaged 24 (n= 18, range: $10{\sim}46$), indicating "poor${\sim}$fair" condition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US EPA (1993). Physical habitat condition, based on the QHEI, averaged 116 (n=6, range: $77{\sim}139$), indicating "fair${\sim}$good" condition. Values of IBI were more correlated with 3 metrics of instream cover ($M_1$, r=0.553, p=0.017, n=18), flow/velocity ($M_3$, r=0.627, p=0.005, n=18), and riffes/bends ($M_7$, r=0.631, p=0.005, n=18) than other metrics. Value of HAI in the control was zero (i.e., excellent condition), while the values in the T1 and T2 treatments were 5 (range: 0${\sim}$30) and 50 (range: 40${\sim}$80), respectively. The maximum values of IBI (46) were coincided with zero of HAI. Thus, these approaches seem to be a good tool for a diagnosis and evaluations of stream ecosystem health.

Examination of River Restoration Technology using Non-toxic materials as Plant-based Polyurethane (식물성 폴리우레탄 계열의 무독성 소재활용을 이용한 하천 복원기술 검토)

  • Lee, Sang-Hoon;Ahn, Ho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59-259
    • /
    • 2017
  • 국내 하천에는 하천을 가로지르는 보나 낙차공과 같은 횡단구조물이 약 5만여개에 달하고 있다. 이러한 횡단구조물은 작업의 용이성 및 높은 강도로 인해 오랜 시간 콘크리트 소재로 사용되어 왔다. 기존 콘크리트 소재의 공법은 설치되어 있는 한 세굴 방지에 좋은 효과를 발휘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포설된 공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마모되거나 소실되는 문제가 발생되며, 최종적으로 하천횡단구조물의 안전성 및 심미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강우량의 증대 및 집중호우 등의 돌변하는 하천환경변화에 대한 적용 가능한 기술이 미비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와 더불어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자연친화적 하천 및 생태복원 하천에 대한 하천 수질 및 생태학적 건강성에 대한 연구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콘크리트 소재를 활용하여 횡단구조물을 설치할 경우, 콘크리트 소재의 문제점으로 제기되는 납, 크롬 등과 같은 중금속 용출과 석회석으로부터 유출되는 강염기성 물질로 인한 하천의 수질악화와 수생 생물이 독성환경에 노출되어 다양한 환경 생태학적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소재의 대안으로 무 저독성 소재인 식물성 폴리우레탄을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초 조사를 통해 콘크리트 소재의 대안으로 사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식물성 폴리우레탄의 물리적 강도를 확인하였으며,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대한 생태학적 건강성을 확인하였다. 품질 특성은 바인딩강도, 내구성, 압축강도, 휨강도, 투수계수 등을 확인하였으며, 생태학적 건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양서 파충류의 독성 실험, 어류 독성평가, 부착조류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시범지역인 대청천 일부 구간에 대하여 계절별 물리/화학/생물(식생, 어류, 저서동물)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또한 홍수 전 후의 하상변동을 통해 개발기술의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Method of Ecosystem Health Assessment in National Parks (국립공원 생태계 건강성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 Oh, Jang Geun;Won, Hyeok Jae;Myeong, Hyeon-Ho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9 no.2
    • /
    • pp.147-152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technique of ecosystem health assessment on Korea National Parks. The purpose of natural resource monitoring in national parks is to develop scientific information on the current status and long term trends in the composition, structure, and function of park ecosystems, and to determine how well current management practices are sustaining those ecosystems. The evaluation results will reflect in the park conservation and polices and promote the effect and functions of assessment program to the people. Health assessment steps were performed in order the establishing monitoring goals and objectives, development of the conceptual model, frame establishment, determination of indicators, standard and classification and health assessment. Health Indicators were selected the 13 with common, choice and climate indicators. We developed a pictogram and was separated into five colors to health condition, it was divided into three shape for comparison with the past state. Seoraksan, Odaesan National Park has been rated highly but Bukhansan, Kyeryongsan National Park has been underestimated.

기업생태계에서의 IT역할

  • Han, Jae-Min;Kim, Hye-Yeong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1030-1035
    • /
    • 2007
  • 변화가 잦은 환경에서, 기업은 다른 조직들과의 유기적인 협력과 의존을 바탕으로 생태계(Ecosystem)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조직간의 유기적인 형태를 기업생태계(Business ecosystem)라 하고, 기업생태계를 이루는 각 조직들은 기업생태계 전체와 운명을 공유한다. 기업이나 조직은 기업생태계 안의 개체가 되며, 각 개체는 생태계 안에서 고유한 역할을 하고, 생태계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업 전략의 범위를 기업 내에 한정하지 않고, 해당 기업이 속해있는 기업생태계의 범위로 확대하여 보고자 하는 이러한 관점에서, IT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첫 째, 기업생태계는 기업 네트워크의 확장된 개념으로 파악할 수 있는데, 이러한 기업생태계에서 개체간의 상호작용에 IT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두번째, 기업생태계에서는 외부의 자극이나 개체의 상태가 전체 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기업생태계를 다이나믹하고 건강하게 유지시키는데에 IT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기업의 전략적 운명 공통체로써의 기업생태계에 대한 기존연구를 통해, 기업생태계 관점에서 IT 역할을 파악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고, IT역할 구분 시에 필요한 지침에 대해서 논의하여, 추후 수행될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Soil Health Assessment of Soil Washing and Landfarming Treated Soils (토양세척 및 토양경작 정화 토양의 건강성 평가)

  • Yong min Yi;Kijune Sung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2 no.2
    • /
    • pp.112-122
    • /
    • 2023
  • To restore the ecological function of contaminated soil and maximize the ecological services provided by the soil, besides the toxicity orrisk caused by pollutants, the functional aspects of the soil ecosystem should be considered. In this study, a method for evaluating the health of cleaned soil was presented, and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evaluation method was examined by applying it to soil treated with washing and landfarming. Productivity, habitat, water retention capacity, nutrient cycling, carbon retention capacity, and buffering capacity were used as soil health evaluation indicato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oil health was not completely recovered after remediation, and even in the case of the washed soil, the health was lower than before remediation.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soil quality due to oil pollution, but soil health deteriorated. Unlike the slightly improved soil quality after landfarming treatment, soil health was not completely restored.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t is desirable to consider both soil quality and health when evaluating the remediation effect. The soil health evaluation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usefully utilized for the sustainable use of cleaned soil and to promote ecosystem services.

Applications and Assessments of a Multimetric Model to Namyang Reservoir (남양호에서 다변수 메트릭 모델 적용 및 평가)

  • Han, Jung-Ho;An, Kwang-Guk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1 no.2
    • /
    • pp.228-236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fish metric attributes using a model of Lentic Ecosystem Health Assessment (LEHA) and apply the model to the dataset sampled from six sites of Namyang Reservoir during October 2005$\sim$May 2006. The model was composed of 11 metries and the metric attributes were made of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parameters. Trophic composition's metrics showed that tolerant species ($M_3$, 80%) and omnivore species ($M_4$, 92%) dominated the fish fauna, indicating a biological degradation in the aquatic ecosystem. The metric of $M_7$, relative proportions of exotic species, also showed greater than 8% of the total, indicating a ecological disturbance. The average value of LEHA model was 24.3 (n= 12) in the reservoir, indicating a "poor condition" by the criteria of An and Han (2007). Spatial variation based on the model values was low (range: $21{\sim}26$), and temporal variation occurred due to a monsoon rainfall. Electrical conductivity (EC) and tropic state index of chlorophyll-$\alpha$ [TSI(CHL)] was greater in the premonsoon than the postmons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