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체흡착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4초

Saccharomyces cerevisiae에 의한 Pb 생체흡착 (Pb Biosorption by Saccharomyces cerevisiae)

  • 안갑환;서근학
    • KSBB Journal
    • /
    • 제11권2호
    • /
    • pp.173-180
    • /
    • 1996
  • S. CereVlSWe를 이용하여 Pb 이온의 흡착 능력을 조사하였다. 살아있는 S. CereVlSWe 및 멸균된 S. cereVlswe 보다 건조분쇄 된 S. cerevisiae가 Pb 흡착 능력이 가장 좋았다. 통일의 중금속 농도에서 중금 속 단위 흡착량은 미생물 농도가 높아짐에 감소하였다. 살아있는 S. cereVlsiae의 흡착 능력 순서는 Pb > >Cu> Cd = Co>Cr > Zn = Ni순이었다. 중금속 흡 착에서 0.1 M NaOH로 24시간 전처리하여 흡착량을 1.5배 증가시킬 수 있었다. 0.1 M HCl 및 0.1 M $H_2S_O4$ 로 Pb이온을 효과적으로 탈착시킬 수 있었다. Pb 이온의 흡착평형은 Freundlich 흡착등온식과 Langmuir 흡착등온식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 PDF

괭생이모자반, Sargassum horneri를 이용한 Pb 흡착 및 탈착 (Biosorption and Desorption of Pb by using Sargassum horneri)

  • 서근학;안갑환;김병진;조진구;진형주;홍용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33-337
    • /
    • 1999
  • 우리나라 인근 해역에서 가장 쉽게 채취할 수 있는 해조류중의 하나인 S. horneri을 이용한 Pb 의 생체흡착 실험을 수행하였다. 흡착 평형에는 15분 안에 도달하였으며, 평형흡착량은 185.5mg Pb/g biomass 이었다. pH가 감소할수록 Pb는 흡착량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또한 Pb 흡착시에 Ca 및 Mg가 500mg/L 존재하여도 Ca 및 Mg 등의 경금속은 전혀 흡착되지 않고 Pb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나, 고농도로 존재하는 경금속들이 inhibotor 작용을 하여 Pb의 흡착량은 다소 감소하였다. Pb흡착 및 탈착 과정을 6회 반복한 결과, HCl 및 $HNO_3$ 이용한 경우에 흡착된 Pb의 회수 및 S. horneri의 재생에 있어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폐 활성슬러지를 이용한 Rhodamine B의 생체흡착:흡착평혀여 및 흡착속도 모델링 (Biosorption of Rhodamine B onto Waste Activated Sludge: Equilibrium and Kinetic Modelling)

  • 이창한;안갑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9호
    • /
    • pp.881-888
    • /
    • 2005
  • The biosorption of dye, Rhodamine B(Rh-B), onto waste activated sludge was investigated. The biosorption capacity and contact time were shown as a simulation of dye adsorption equilibrium and kinetics models. We observed that biosorption of Rh-B occurred rapidly less than 4 hr. These experimental data could be better fitted by a pseudo-second-order rate equation than a pseudo-first-order rate equation. The equilibrium dependence between biosorption capacity and initial concentration of Rh-B was estimated and it was found that the equilibrium data of biosorption were fitted by four kinds of model such as Langmuir, Freundlich, Redlich-Peterson, and Koble-Corrigan model. The average percentage errors, $\varepsilon(\%)$, observed between experimental and predicted values by above each model were $21.19\%,\;9.97\%,\;10.10\%\;and\;11.76\%$,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Freundlich and Redlich-Peterson model could be fitted more accrately than other models.

Lecithin이 흡착된 나노 자성입자의 특성과 그 자성유체의 생체 친화성 (Characteristics of Lecithin-adsorbed Magnetic Nanoparticle and Biocompatibility of Its Fluid)

  • 박상임;김종오;김종희;김성민;김근호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293-299
    • /
    • 2006
  • 열분해법을 이용하여 나노 자성입자를 합성하고, 초음파를 인가하여 lecithin을 자성입자 표면에 흡착시켰다. Lecithin의 첨가 농도에 따른 자성입자의 크기 및 포화자화 값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생물학적 시험을 통하여 자성유체의 최대 투여량과 독성을 조사하였다. 자성입자들의 가열 감량에서 lecithin 첨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lecithin 흡착층의 두께가 비선형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성상 lecithin 농도가 20%(w/v)일 때 적정 흡착량을 나타내었다. Lecithin이 흡착된 자성입자의 분산성과 자기적 성질은 lecithin의 초음파 노출시간이 1.5h일 경우 가장 우수하였다. 또한, in vitro 시험에서 세포 생존율이 양호한 lecithin 흡착 자성유체의 최대 투여농도는 $32{\mu}g/ml$이었으며, in vivo 시험에서는 lecithin이 흡착된 자성유체가 순수 마그네타이트 자성유체에 비해 생체 안전성이 1.2배 더 높았다.

Antherobacter sp.에 의한 납 제거 (Removal of Lead by Anherobacter sp.)

  • 안갑환;서근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7-61
    • /
    • 1998
  • 중금속 폐수를 처리하는 활성슬러지로 부터 Arthrobactor sp.를 부터 분리하여 생체흡착 실험에 사용하였다. Aythrobactor sp.의 납 흡착량은 초기농도 500 mg/L에서 146.9 mg Pb/g dry biomass로 Sacchuomyces ceieuslae와 Sacchuomyces uvuum보다 약 4배 더 많은 흡착량을 보여주었다. pH가 1.8, 3.0 및 4.0으로 골아 질수록 납의 홉착량은 증가하였고, biomass의 양이 많아질수록 단위 미생물당 납 흡착량은 감소하였다. Biomass에 0.1M KOH, $CaCl_2$및 NaOH로 4시간 동안 전 처리하여 흡착실험을 수행한 결과 KOH로 전 처리된 biomass의 납 흡착량은 1.26배 증가하였으나 NaOH로 처리한 것은 납의 흡착량이 감소하였다. Polyacrylamide에 고정화된 biomass를 반응기에 충진한 연속실험에서, 유속 2.12 $m^3/m^2/$day 에서 15시간 동안 납 제거효율이 99%이상 되었다.

  • PDF

헤파린 제거제용 셀룰로오스의 개질 (Modified Cellulose for Heparin Binder)

  • 이원규;박기동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59-264
    • /
    • 1994
  • 혈액으로부터 헤파린을 선택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cellulose 기질에 양이온 고분자인 poly(allylamine)(PALA)을 새로운 방법으로 고정화하여 헤파린 제거제를 제조한 다음 in vitro 헤파린 용액내에서 흡착실험을 행하여, 미처리 cellulose control과의 흡착능을 비교하였다. 제조된 헤파린 제거제와 미처리 cellulose의 표면적은 각각 1.36 및 $2.56m^2$/g로 개질처리된 경우의 표면적이 약 1/2로 감소하였다. 또한 제조된 헤파린 제거제에 흡착된 헤파린의 양은 개질 방법에 따라 0.16~$0.03{\mu} g$/$cm^2$로 미처리 celluose($0.03{\mu} g$/$cm^2$)보다 월등히 우수한 헤파린 흡착능을 나타내었다.

  • PDF

반응성 염료 제거를 위한 재생 가능한 흡착제로서 Corynebacterium glutamicum 바이오매스의 이용 (Utilization of Corynebacterium glutamicum Biomass as a Regenerable Biosorbent for Removal of Reactive Dyes from Aqueous Solution)

  • 원성욱;최순범;한민희;윤영상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3권4호
    • /
    • pp.542-547
    • /
    • 2005
  • 생체흡착은 염색폐수로부터 염료 제거를 위한 현재의 처리방법을 교체 또는 보충할 수 있는 유력한 대안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용액으로부터 반응성 염료(Reactive Red 4, Reactive Blue 4)를 제거할 수 있는 생체흡착제로서 아미노산 발효공정에서 발생되고 있는 폐기물인 Corynebacterium glutamicum 바이오매스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염료들의 흡착량은 용액 pH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이는 산성 pH에서 바이오매스의 표면 작용기는 (+)극성을 띠게 되어 반응성 염료의 (-)극성을 갖는 술폰기(sulfonate group)와 결합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접촉시간에 따른 생체흡착속도 실험을 통해 평형에 도달하는 시간은 약 10시간으로 평가되었다. 흡착평형의 수학적인 묘사를 위해 Langmuir 흡착 모델을 적용한 결과, Reactive Red 4, Reactive Blue 4의 최대흡착량은 pH 1에서 112.4 mg/g 및 263.16 mg/g이었으며, pH 3에서는 각각 71.94 mg/g 및 155.88 mg/g이었다.

첨단기술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제17권9호통권184호
    • /
    • pp.46-48
    • /
    • 1984
  • 생체고분자재료 (Bio-Polymeric Material) / 우라늄흡착재 (Uranium Absorbent) / 인조다이아몬드(Synthetic Diamond)

  • PDF

생체적합성 및 골전도성 향상을 위한 경조직 대체용 생체재료의 표면개질 (Surface Modification of Biomaterials for Hard Tissue Substitutes to Improve Biocompatibility and Osteoconductivity)

  • 김성욱;이우걸
    • 공업화학
    • /
    • 제16권6호
    • /
    • pp.725-730
    • /
    • 2005
  • 경조직 대체용 생체재료의 개발에 있어서 재료의 생체적합성 및 골전도성은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 중의 하나이다. 인산칼슘 박막은 경조직과 화학적 성분이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재료의 표면에 인산칼슘 박막을 형성함으로써 재료의 생물학적 성질을 매우 증진시킬 수 있다. 생체재료의 성공여부는 재료의 표면에 대한 부착단백질의 작용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는 부착단백질들이 세포의 부착 및 부착된 세포의 생물학적 반응을 유도하기 때문이다. 재료의 표면에 대한 부착단백질들의 흡착기전과 흡착된 입체구조에 따라 조골세포의 부착, 증식, 그리고 분화와 같은 세포반응이 향상되거나 또는 억제된다. 인산칼슘 박막에 의해 개질된 생체재료의 경우 골전도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골세포의 분화 정도가 증가함은 물론 뼈 결절들이 신속하게 형성되는 것이 관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