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존 분포

검색결과 483건 처리시간 0.035초

Salmonella typhimurium의 혐기적 산내성도 평가 (Anaerobic Acid Tolerance Response in Salmonella typhimurium)

  • 김영찬;이선;이경미;임성영;박용근;백형석;박경량;이인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69-175
    • /
    • 1999
  • Salmonella typhimurum은 생활사 동안에 다양한 환경과 접하게 된다. S. typhimurium은 오염된 웅덩이에서 숙주의 phgolysosome에 이르기까지 생태계에 널리 분포하면서 산성 스트레스를 경험하며 또한 생존할 수 있다. Salmonella 이와 같은 산저항능은 Acid Tolerance Response (ATR)에 의해 획득된다. 약산의 pH에 적응된 S. typhimurium은 낮은 pH 영역에서 생존할 수 있는 일종의 대항능을 갖게되며, 이런 생존 능력은 복잡한 유전적 유도현상 결과로 해석된다. Salmonella 있어서 ATR은 RpoS 의존적 그리고 RpoS 비의존적 현상으로 구분되며, 특히 혐기적 조건(5% $CO_2$, 5% H$_2$, 90% $N_2$)에서 rpoS$\Omega$Ap는 UK1과 동일한 ATR을 나타내어, 혐기적 조건의 ATR은 RpoS 비의존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P22와 MudJ (Km, lacZ)를 이용한 gene fusion기법과 sodium acetate (pH4.5)를 이용한 돌연변이체 분리방법을 병행하여 산민감성의 형질을 나타내는 LE487 aatA::MudJ를 얻었다. antA 는 Salmonella의 유전자 지도상에서 12min에 위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antA는 혐기적 조건(5% $CO_2$, 5% H$_2$, 90% $N_2$)하의 pH4.3 조건에서 야생형 Salmonella 비해서 매우 높은 산민감성을 보여주었다. 그러므로 antA는 혐기적 ATR에 있어서 산적응 기전에 관여하는 중요한 유전자로 확인되었다.

  • PDF

활막 육종 (Synovial Sarcoma)

  • 한수봉;신규호;김진용;조남훈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91-97
    • /
    • 1995
  • 저자들은 1983년 1월부터 1992년 12월까지 신촌 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에서 활막육종 진단받고 치료를 받은 13명의 치료결과 및 생존율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평균 연령은 28세 2개월로 62%(8례)가 10세에서 40세 까지의 분포를 보였다. 2. 호발부위는 하지의 큰 관절 주위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연구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였다. 3. 13례중 46%(6례)에서 국소재발 또는 전이되었으며 원격전이는 폐가 주된 전이소였다. 4. 수술 및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활막육종 환자의 Kaplan-Meier법에 의한 5년 생존율은 68%였다. 5. 종양의 크기 5cm 미만인 경우가 5년 생존 예상율이 100%(6 of 6)로 5cm 이상의 38%(3 of 7)에 비해서 예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p=0.0393). 6. 수술시 충분한 절제연을 가진 경우가 예후가 좋았다. 7. 따라서 활막육종의 치료는 종양의 크기가 5cm 미만인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수술시 충분한 절제연의 획득 및 술후 보조적 치료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30세 이전에 발생한 비인강암의 임상적 고찰 (Nasopharyngeal Cancer in Patients Under Thirty Years of Age)

  • 안기정;정은지;이형식;문성록;성진실;김귀언;서창옥;노준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8권2호
    • /
    • pp.183-188
    • /
    • 1990
  • 비인강암은 해부학적으로 두개저부 및 중추신경계와 인접하고 있어 수술적 접근이 어렵고, 또 최근 항암제요법의 발달로 복합항암제를 이용한 항암제요법으로 반응율을 높이기 위한 여러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비인강암에 대한 치료는 방사선치료가 그 근간을 이루고 있다. 비인강암의 연령분포곡선은 30세 이후에 급격히 증가하여 45세에서 54세까지에서 수평을 이룬후 서서히 감소하는 곡선을 그리는데, 10대 내지 20대에서도 작은 증가곡선을 나타내어 bimodal curve를 그리게 된다. 30세 이전에 생긴 비인강암은 그 빈도가 매우 적어서 이에 대한 연구보고가 많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30세 이후에 생긴 비인강암과는 다른 임상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에 저자들은 1971년부터 1987년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에서 치료받았던 113명의 비인강암 환자들을 30세 이전과 30세 이후 환자군으로 구별하여, 임상적 특성 및 치료에 대한 관해율, 이에 따른 생존율 및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그리고 치료실패양상 등을 분석 비교하여 향후 30세 이전의 비인강암 환자의 치료에 지침을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30세 이전의 비인강암 환자에서 치료에 대한 초기반응율이 높았다 2. 30세 이전의 비인강암 환자에서 통계적 의의는 없었으나 원격전이가 많았다. 3. 두 연령군간에 생존율의 차이는 없었다.

  • PDF

진행된 병기의 비인강암에서의 선행보조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 (Neoadjuvant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in Advanced Stage Nasopharyngeal Carcinoma)

  • 홍세미;우홍균;박찬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7권4호
    • /
    • pp.275-280
    • /
    • 1999
  • 목 적 :국소적으로 진행된 비인두암환자에서 선행보조 항암화학요법의 실행 용이성과 부작용의 정도를 평가한다. 대상 및 방법 : 77명의 조직학적으로 비인두암으로 확진 되고 이전에 치료를 받은 적이 없는 진행된 병기의 비인두암 환자들이 1984년부터 1996년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선행보조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았다. 환자군의 병기분포는 다음과 같다. 1992년 AJCC 분류법에 따라 제 3 병기에 속하는 환자가 2명이었고 제 4병기에 속하는 환자가 75명이었다. 방사선치료 시행 전에 선행보조 항암화학요법으로 66명의 환자가 5-FU와 Cisplatin의 정맥 내 투여를 시행 받았고, 11명의 환자가 5-FU와 Carboplatin의 정맥 내 투여를 시행 받았다. 생존환자의 중앙추적기간은 44개월이었다. 결 과 :항암화학요법에의 반응율은 87$\%$였다. 항암화학요법의 부작용은 심하지 않았다. 3명의 환자만이 3도의 부작용을 경험하였다. 1명은 백혈구 감소증을 보였고 2명은 오심과 구토의 부작용을 보였다. 방사선에 의한 점막염도 심하지 않았는데, 10명의 환자에서 2도의 점막염이 발생하였다. 5년 생존율과 5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68$\%$와 65$\%$였다. 5년 무원격전이율은 82$\%$였으며 5년 국소 치유율은 75$\%$였다. 결 론 : 선행보조 항암화학요법이 진행된 병기의 비인두암 환자에 있어서 부작용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효과적인 치료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조기 성문암의 방사선 치료 결과 (Radiotherapy Results of Stage I Glottic Cancer)

  • 김재철;박인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6권3호
    • /
    • pp.245-250
    • /
    • 1998
  • 목적 : 조기 성문암의 방사선 치료 후 생존율, 실패 양상, 그리고 예후 인자에 대해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5년 6월부터 1992년 11월까지 방사선 치료를 위해 의뢰된 57례의 성문암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령 분포는 17세부터 71세까지 광범위했고 (중앙값 39세), 남자 55례와 여자 2례로 남성에서 호발하였다. 방사선 치료는 6 MV X-ray를 이용하여 1회 선량 2 Gy씩, 주 5회, 총선량 66 Gy를 조사하였다. 결과 : 방사선 치료에 대한 반응은 완전 관해 89.5% (51/57), 부분 관해 혹은 무반응 10.5%(6/57) 였다. 51례의 완전관해 환자 중에서 7례의 재발이 관찰되었고 7례 모두 수술로 구제되었다. 부분 관해 혹은 무반응 6례 중 4례에 대하여 구제수술을 시행하였고 2례에서는 수술을 시행하지 못하였다. 구제수술을 시행한 4례 중 3례가 구제되었고 1례는 다시 국소재발하였다. 3년 및 5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72.9% 및 63.8%였다. 병소의 위치에 따른 5년 무병생존율은 후방인 경우 85.5%, 전방인 경우 61.6%였다 (P<0.05). 방사선치료에 대해 부분 관해 혹은 무반응을 보인 5례를 포함하여 13/57 (22.8%) 례의 치료 실패가 관찰되었고 그 중 10/13 (76.9%) 례가 수술로 구제되었다. 최종 5년 국소제어율은 92.3%였고 전체적으로 47/57 (82.5%) 례에서 음성을 보존할 수 있었다. 결론 : 높은 음성 보존율을 고려하면 초기 성문암에서 방사선치료가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 PDF

토양에 투입된 미생물의 거동 및 활성 (Fate and Activity of Microorganism introduced into the Soil)

  • 정재춘;주설;이재웅;이정재
    • 유기물자원화
    • /
    • 제10권2호
    • /
    • pp.100-116
    • /
    • 2002
  • 농작물에 영양분을 공급하거나 식물의 생장촉진, 식물 병원균의 억제 등을 위하여 토양에 미생물이 투입된다. 대표적인 예가 질소고정 공생세균과 Pythium, Rhizobium 등이다. 이들이 투입되어 성공적으로 작용하려면 생존하여 충분한 밀도로 집략을 형성하여야 한다. 이들의 생존과 집략화에 미치는 영향은 생물적인 인자와 비생물적 인자에 의해 좌우된다. 생물적 인자중에서 중요한 것은 포식과 경쟁, 비생물적 인자 중에서 중요한 것은 물의 장력 유기탄소, 무기영양분(N, P), pH 등이다. 토양의 토성과 소공극 분포도 투입된 미생물의 생존과 활착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미생물에 대한 토양생태계의 선택성은 접종 세포 개체군의 활착에 있어서 중요하다. 예를 들면 항생제의 사용에 의한 토착미생물의 제어, 계면활성제를 분해하는 Psendomonas종을 투입하는 경우이다. 투입미생물의 활착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이탄, 점토 등의 수송체를 동시에 첨가할 수 있는데 이들은 투입미생물에게 보호적인 미소서식지를 만듦으로서 토양중에서 세균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세균이나 공업용 효소를 부동화시키기 위한 수송체로서 유기성 중합체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물질들의 예를 들면 아질산칼륨, agarose, k-carrageenan 등이다. 이들도 미소서식처를 제공하므로서 투입미생물의 활착을 돕는 역할을 한다.

  • PDF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공학적 성질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 성찬용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75-82
    • /
    • 1997
  • 건설기술과 산업의 발전에 따라 구조물은 대형화되어 가고, 건설공사의 급격한 팽창으로 골재 수용량이 급증함에 따라 천연골재자원은 점차 부족현상을 면치 못할 처지에 있다. 또한, 무리한 천연골재의 채취는 자연환경을 훼손시킬 뿐만 아니라 자연보호 측면에서도 심각한 공해문제로 대두되고 있어 공급량 부족현상은 날로 심화되고 있다. 이에 세계 몇몇 나라에세는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골재 생산으로 공해예방과 폐기물 활용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산업부산물중 플라이 애쉬 생산량은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2억여톤에 달하고 있으나 이중 일부만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같은 부산물을 활용하기 위한 일환으로 산업부산물인 PFA(Pulverized Fuel Ash)로 만든 인공경량골재의 년생산량이 영국은 600,000$m^3$, 미국은 300,000$m^3$이며, 매년 증가주세에 있다. 고성능 경량골재 콘크리트는 단위중량의 증가없이 내구성과 강도를 향상시켜 실용화 측면에서 경제적인 효과가 있으며, 플라이 애쉬로 만든 경량골재는 시멘트와의 친화력이나 접착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시험에 사용한 골재는 플라이 애쉬로 만든 인공경량 조골재와 강모래이고, 결합제로서 프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다. 부수적인 결합재로서는 플라이 애쉬, 슬래그, 실리카 흄을 사용하였으며, 고성능 경량골재 콘크리트를 개발코자 재령 28일과 180일의 압축강도가 각각 50MPa와 60MPa가 되도록 배합설계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플라이 애쉬, 슬래그, 시리카 흄과 같은 산업부산물을 혼입했을때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휨강도, 동탄성계수, 공극체적, 공극률, 단위중량, 공극 크기별 분포등의 변화를 실험적으로 구명하여 재반 구조용 콘크리트에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코저 한다.있어 특정한 발육단계의 난포 사망기전을 연구하기 어렵다. 또한 난포는 생체 내에서 다양한 호르몬을 동시에 분비하기 때문에 특정한 난소국부호르몬이 사망기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힘든 점이 있다. 최근 들어 난포체외배양이 다양하게 개발되면서, 이러한 어려운 점을 극복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은 각 발육단계의 난포를 절단해 체외배양하면서, apoptosis DNA 절단 현상을 이용하여 각종 난소국부 호르몬들이 난포발육단계별로 사망기전에 미치는 영향을 요약해 보였다. 난포는 발육하면서 점차 복잡한 호르몬 경로를 생존을 위해 필요로 한다. Prevulatory난포생존에 필요한 난소국부호르몬들은 early antral 단계의 난포에서는 그 미치는 영향이 감소되다가 preantral단계의 난포에서는 영향을 전혀 미치지 못했다. 단지 예외는 cGMP처리로써, 세포내 cGMP수준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것이 난포발육단계에 무관하게 생존에 중요한 인자로, 장래 연구는 난포 세포내의 cGMP수준을 조절하는 기작을 규명하는데 있을 것이다.인정되지 않았다. 7. 농지보전 처리구인 배수구와 초생수로구는 비처리구에 비해 낮은 침두 유출량과 낮은 토양유실량을 나타내었다.구보다 14% 절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된다.정량 분석한 결과이다. 시편의 조성은 33.6 at% U, 66.4 at% O의 결과를 얻었다. 산화물 핵연료의 표면 관찰 및 정량 분석 시험시 시편 표면을 전도성 물질로 증착시키지 않고, Silver Paint 에 시편을 접착하는 방법으로도 만족한 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째, 회복기 중에 일어나는 입자들의 유입은 자기폭풍의 지속시간을 연장시키는 경향을 보이며 큰 자기폭풍일수록 현저했다. 주상에서 관측된 이러한 특성은 서브스톰 확장기 활동이 자기폭풍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 PDF

진행 위암의 UICC와 일본식 림프절 병기의 비교 및 UICC N3M0 병기의 문제점 (Comparison of Nodal Staging, of UICC TNM and Japanese Classification, and Prognostic Nodal Grouping of UICC N3M0 in Advanced Gastric Cancer)

  • 한상준;양대현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5권3호
    • /
    • pp.163-168
    • /
    • 2005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제5판 UICC (International Union Against Cancer) 림프절 병기와 일본 위암 학회 림프절 병기를 분석하여 병기별 분포와 예후의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UICC N3M0 위암 환자들을 여러 림프절 전이군으로 분류하여 예후 예측에서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2월부터 2000년 5월까지 지방공사 서울 의료원 및 한림대학교 성심병원에서 진행 위암으로 근치적 절제 수술을 받은 환자 197예를 대상으로 하여 두 가지 병기의 연관성 및 예후 예측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UICC N3M0군으로 분류된 58예를 세 가지의 림프절 병기 분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UICC 림프절 병기 N1, N2, N3의 5년 생존율은 각각 62.9%, 33.0%, 21.2%였다. 일본 위암 학회 림프절 병기 n1, n2의 5년 생존율은 각각 61.2%, 25.3%였다 N3M0군에서 일본 위암 학회 병기 n1의 5년 생존율이 각각 62.5%였고, 전이 림프절 비율 0.5 미만, 전이 림프절 수 26개 미만인 군에서는 각각 33.0%, 22.9%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0.5이상, 26개 이상의 군보다 좋은 예후를 보였다(P=0.018, 0.021). 결론: UICC 림프절 병기 체계는 예후 예측 능력에서 일본식 림프절 병기보다 더 우수했다. N3M0 병기 위암환자에서 전이 림프절 비율, 전이 림프절 수는 의미 있는 예후 인자였다.

  • PDF

대장-직장암의 수술중 방사선 치료 (Intraoperative Radiotherapy (IORT) for Locally Advanced Colorectal Cancer)

  • 김명세;김성규;김재황;권굉보;김흥대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9권2호
    • /
    • pp.265-270
    • /
    • 1991
  • 대장-직장암은 한국에서 남녀 모두 4위의 비교적 높은 빈도를 보이고 있으며 점점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근치적 수술요법이 주 치료방법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그 생존율은 $20\~50\%$에 불과하다. 국소재발은 특히 직장암에서 가장 흔한 실패의 원인으로서 근치적 복합요법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40\~92\%$의 높은 국소재발율이 보고되고 있어 생존율를 높이고 생존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는 국소재발을 줄이는 노력이 필수적이다. 수술중 방사선 치료는 수술중에 원하는 부위에만 다량의 방사선을 한번에 조사하는 방법으로 최근 보고에서 국소재발율을 $5\%$까지 줄일 수 있었다고 보고되고 있다. 영남대학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는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91년 5월 30일 직장암 환자에 수술중 방사선 치료를 실시한 후 현재까지 6명의 대장 직장암 환자에 수술중 방사선 치료를 실시하였기에 환자선택, 치료선량, 선량분포, 수술 및 방사선치료과정등을 보고하고저 한다.

  • PDF

급성 심근경색 환자의 Tc-99m Tetrofosmin 심근 관류 지연영상에서 관찰되는 역재분포 현상의 임상적 의의 (Clinical Significance of Reverse Redistribution Phenomenon on Delayed Tc-99m Tetrofosmin Myocardial Perfusion Imaging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 박순아;김대응;김창근;정진원;김남호;김경호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3권2호
    • /
    • pp.112-119
    • /
    • 2009
  • 목적: Tc-99m tetrofosmin은 일반적으로 재분포 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 일부 연구에서 Tc-99m tetrofomin의 재분포 현상이 보고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재관류 치료를 받은 급성 심근경색 환자의 Tc-99m tetrofosmin 심근 관류 지연영상에서 역재분포 현상을 관찰하고 이에 대한 정량분석 및 추적 검사를 통해 역재분포 현상의 임상적 의의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급성 심근경색으로 관동맥 중재술을 시행한 67명(남자 46명, 여자 21명, 평균연령 $62{\pm}12.9$세)을 대상으로 게이트 Tc-99m tetrofosmin SPECT영상을 얻었다. 휴식기 조기 영상은 주사 후 40분째 얻었고 부하 후 지연기 영상은 3시간째 촬영하였다. 심근은 단축 영상을 주로 하여17개 분절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심근의 혈류감소 정도와 범위, 국소심근벽 운동, 심근벽 두께는 단축 영상을 주로 하여 정상에서 결손까지 4등급으로 분류하여 분절 점수를 매겼다(0: 정상, 1: 약간 감소, 2: 심한 감소, 3: 결손). 조기 영상을 지연기 영상과 비교하여 지연기 영상에서 2점 이상으로 악화되는 분절을 역재분포가 있는 분절로 정의하였다. 대상 환자들은 9개월 후 관동맥 조영술과 게이트 Tc-99m tetrofosmin 심근 관류를 시행하였으며 역재분포가 있었던 경우와 없었던 경우로 나누어 관동맥 재협착 유무와 심근의 혈류감소 정도와 범위, 국소 심근벽 운동, 심근두께. 구혈률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관동맥 중재술을 시행한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서Tc-99m tetrofosmin의 역재분포 현상은67명 중 43명으로 64%였으며 391개 분절 중에서는 100개로 31%에서 관찰되었다 심근 혈류의 감소와 범위, 국소 심근벽 운동의 이상과 심근벽 두께의 감소, 구혈률은 역재분포가 있는 심근에서 더 심하였으며 통계학적 의미를 가졌다. 9개월 후 추적검사에서 관동맥 재협착의 발생은 역재분포의 유무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Tc-99m tetrofosmin 심근관류 SPECT에서 역재분포를 보이는 심근이 혈류감소의 정도와 범위, 국소 심근벽운동의 이상, 심근 두께의 회복은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Tc-99m tetrofosmin지연기 영상에서 보이는 역재분포는 관동맥 중재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관찰될 수 있으며 재혈관화 된 심근의 생존 가능성과 좌심실 기능의 회복을 예측하는데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Tc-99m tetrofosmin 심근관류 영상의 임상적 유용성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