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애과정

검색결과 286건 처리시간 0.035초

성인입양인의 생애사 연구 (A Study on the Life History of an Adult Adoptee)

  • 권지성;최운선;변미희;안재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1호
    • /
    • pp.83-107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성인입양인의 생애경험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한명의 성인입양인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 관찰, 기록물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생애사 접근을 통해 분석하였다. 자료분석 과정은 우선 연구참여자의 생애 과정을 연대기 형식으로 요약한 뒤, 인생 이야기를 구체적으로 서술하였고, 연구참여자 사례에서 나타난 의미 있는 주제들을 파악하여 기술하고 해석하였다. 또한 앞서 분석된 내용들을 검토하여 입양현장에서 고려해야 할 개입이슈들을 파악하여 논의하였다. 주제분석에서는 '옹이 신세', '나비가 되려는 애벌레', '괜찮아요. 아니, 안괜찮아요', '내가 잘못한 건 아니니까', '사랑, 삶을 이끄는 결정적 요소' 등의 주제들을 발견하여 제시하였으며, 입양 시점, 사후관리, 비밀입양과 공개입양, 뿌리찾기, 성인입양인 대상 개입 등의 개입이슈들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성인입양인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 방향과 실천 지침들을 제언하였다.

  • PDF

우리나라 중고령자의 은퇴과정 유형화 연구 - 다양성과 불평등 중심으로 - (A Study to Classify the Type of Retirement Process among the Mature-aged in Korea - Focusing on Diversity and Inequality -)

  • 박경하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3호
    • /
    • pp.291-327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고령자의 은퇴과정을 유형화 하고 다양성과 경제적 불평등에 초점을 두어 각 유형의 특성을 살펴보는 데 있다. 유형화 분석을 위해 한국노동패널 제2~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탐색적 분석방법인 최적일치법(optimal matching)과 군집분석(cluster analysis)을 적용하였다. 은퇴과정의 유형화 분석결과, 주변적경제활동형, 사적이전의존형, 재진입제약형, 안정적퇴장형, 퇴장후재진입형 5개의 유형을 도출하였다. 각 유형별로 다양한 유형적 특성을 보였는데, 우선 주변적경제활동형은 주변적 근로자에게서 발견되는 전형적인 고용 불안정 특성을 보였다. 둘째, 사적이전의존형은 은퇴과정에서 고용활동 중단 시 사적이전에 의한 소득보전 가능성이 높은 유형이다. 셋째, 재진입제약형은 경제적 지원없이 '비경활-비수급' 상태의 분포가 가장 높은 유형이다. 넷째, 안정적퇴장형은 비경활-연금수급 상태로 이행한 비중이 높은 유형이다. 끝으로, 퇴장후재진입형은 은퇴과정에서 재취업을 하여 늦은 연령기까지 고용상태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은 특징을 보였다. 또한 상태별 지속기간 분석을 통해 유형 간 경제적 불평등 상태를 비교해 본 결과, 공적연금 수급 가능성과 수급의 지속성이 가장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유형은 안정적퇴장형이었다. 사적이전의존형은 사적이전의 경제적 지원 가능성이 가장 높고 지속기간도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은퇴과정에서 경제적 지원이 없는 상태에서 고용상태에 따른 상태 별 지속기간을 살펴 본 결과, 정규직 지속기간이 가장 긴 유형은 안정적퇴장형이었다. 주변적경제활동형은 은퇴과정에서 비정규직 고용상태의 지속기간이 가장 길게 나타났다. 비임금 근로는 퇴장후재진입형에서 지속기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정책적 함의는 생애과정의 초기에 형성된 기회구조와 노동시장에서 불리한 지위로 인해서 은퇴 이후에 불이익이 더 증가되지 않도록 완화하는 생애과정 관점의 재분배정책이 강화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한국 여성의 생애 유형: 저출산과 M자형 취업곡선에의 함의 (Patterns of Korean Women′s Life Course)

  • 박경숙;김영혜
    • 한국인구학
    • /
    • 제26권2호
    • /
    • pp.63-90
    • /
    • 2003
  • 이 연구는 결혼, 출산, 취업 시기와 순서에 기초하여 한국 여성의 생애과정의 유형적 특성을 분석하고 있다. 또한 생애 유형의 변화와 집단간 차이에 유의하면서 결혼코호트와 여성의 가족ㆍ개인 특성에 따라 생애 유형의 차이를 설명하고 있다. 분석에 활용한 자료는 2002년 한국여성개발원이 조사한 '제4차 여성 취업실태조사'이다. 초혼 경험이 있는 기혼 여성의 생애는 크게 다섯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결혼과 출산기간에도 쉬지 않고 계속 일한 여성(일ㆍ가족역할 중복형, 13.7%), 결혼 전에 일하였지만 출산/육아기간 동안 일을 그만두고 공백기 이후 다시 일자리로 돌아온 여성(M형, 18.6%), 결혼과 출산 직후 일을 그만 둔 여성(잠재 M형, 26.9%), 결혼 전에 일한 경험이 없지만 결혼/육아 이후 일자리를 처음 가진 여성(양육 후 입직형, 23.5%), 마지막으로 전혀 일한 경험이 없는 여성(17.3%)이다. 각 생애유형의 상대적 구성은 결혼코호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최근의 결혼코호트일수록 M형(잠재 M형 포함)이 지배적인 생애 유형이 되고 있다. 양육 후 처음 일을 하거나, 전혀 일한 경험이 없는 기혼여성의 비율은 최근 결혼코호트일수록 작아지고 있다. 또한 1990년 이후 결혼한 여성에서 일가족 중복형의 생애 패턴이 증가하는 경향이 확인된다. 동일 코호트 내에서 살펴보면, 생애 유형은 여성의 교육수준 성장기 일하는 여성의 역할 모델의 존재(어머니의 취업), 남편과 여성의 성역할태도, 가구의 주 생업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여성의 생애유형별 일과 가족역할의 의미를 조망하고 있다.

공공 전자기록의 생애주기 기반 관리 비용 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ifecycle Cost Model for Electronic Records & Archival Management)

  • 현문수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51-178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기록관리기관이 공공 전자기록의 생애주기 전체에 걸친 관리 책무를 다하는데 소요될 비용을 예측해 산정하기 위한 모형을 개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공공 전자기록관리에 필요한 활동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비용 요소를 설계하였다. 연구 초기부터 전문가 면담을 진행하면서 연구의 과정과 결과를 검토하였으며, 특히 실무 전문가 면담을 통해 비용 모형의 적절성과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설계한 비용 요소와 비용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요인 등을 종합하여 기록관리기관의 정책 결정에 활용할 수 있는 공공 전자기록 관리 비용 모형, CoMMPER 모형(안)을 제안하였다.

경력단절여성 자격증 취득과 취업률과의 연관성분석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Interrupted Women's Certification Acquisition and Employment Rate)

  • 이정원;이충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87-489
    • /
    • 2021
  • 우리나라 여성의 대부분은 결혼부터 재취업에 이르는 생애사건으로 인한 노동시장으로의 재접근이 매우 어려운 상황으로 생애과정에서 경제활동 및 비경제활동 인구를 오가며 지위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력단절여성이 취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요인으로 자격증을 고려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데이터의 분석 방법으로는 구조적 특성을 알아내기 위한 통계적 기법인 탐색적 분석(Exploratory Data Analysis : EDA) 방법을 사용하였다. 우리나라 경력단절여성을 위한 직업훈련과정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격증 취득이 취업에 얼마나 많은 도움이 되는지 연구하였다.

  • PDF

대학생의 평생교육의식과 리더십 및 생애핵심능력 간의 구조적 분석 (A Structural Analysis on University Students' Consciousness of Lifelong Education, Leadership and Life Core Competencies)

  • 박명신;한상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212-5222
    • /
    • 2015
  • 본 연구는 대전 충남 충북지역 대학교에서 평생교육사 양성과정 참여 경험이 있는 대학생 607명을 대상으로 대학생의 평생교육의식과 리더십 및 생애핵심능력의 구조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의 평생교육의식은 생애핵심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대학생의 평생교육의식은 리더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대학생의 리더십은 생애핵심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평생교육의식과 생애핵심능력 사이에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대학생의 평생교육의식을 통해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다시 생애핵심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평생교육의식 전환과 그들의 삶에 필요한 리더십 및 생애핵심능력 함양을 위한 평생교육에 활용될 수 있으며, 대학생들이 졸업 후에도 평생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지속적인 참여를 통해 평생교육 참여율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교의 평생교육사 양성과정과 평생교육 운영에 현실감 있는 이론적 실천적 함의로서 평생교육 발전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내 생애 첫 도서관' 정책 집행 요인에 대한 연구 - 립스키(M.Lipsky)의 일선관료제 모형을 중심으로 - (A Study of Factor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The First Library in My Life'(내 생애 첫 도서관) Policy: Based on Street-Level Bureaucracy Model by Lipsky)

  • 유진선;김기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17-236
    • /
    • 2013
  • 시민사회의 정보요구가 점차로 다양해짐에 따라, 각 지역의 특성에 기반한 정책의 수립과 집행과정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나 도서관 정보정책의 경우, 정책과정보다는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립스키(M.Lipsky)의 일선관료제 모형을 이용하여, 경기도에서 진행 중인 '내 생애 첫 도서관' 정책을 대상으로, 정책 집행단계의 집행과정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선관료제 모형을 기반으로 정책 집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여, 도서관 정보정책 집행 분석에 있어서의 일선관료제 모형의 유용성과, 이에 기반한 성공적인 정책 집행을 위한 집행과정에서의 주요 요인을 파악한다. 일선관료제 모형은 집행 현장에서 정책 집행의 다양한 효과 등을 파악하는데 유용하였으며, 간접적인 사회, 경제적 요인들이 더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재독한인 노동이주남성의 젠더 정체성 -생애사적 사례재구성 방법에 기초하여- (Gender Identities of the Korean male Migrant Workers in Germany -Based on the biographical Case Reconstruction-)

  • 양영자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3호
    • /
    • pp.79-106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재독한인 노동이주남성의 젠더 정체성을 생애사적 사례재구성 방법에 기초해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에, 해당 남성 5명의 생애사를 재구성한 결과, 이들의 생애사를 관통하는 젠더 정체성은 '직업생활을 중시한 개인으로서의 남성' 정체성임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정체성은 직업사적 굴절이나 단절의 정도, 이주 이전의 직업과 결혼의 경험 여부에 따라 이주국의 복지를 경험하는 과정에서 연속적 혹은 비연속적으로 재생산되기도 하였고, '생계와 가사를 분담하거나 분 전담하는 남편으로서의 남성' 정체성과 결합되는 방식으로 지체적 혹은 압축적으로 분화되기도 하였음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의거해 사회복지와 생애사 연구에 시사하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 PDF

시설물 기반 생애주기 통합 건설정보 체계 구축 전략 연구 (Strategy Planning for the Development of the Facility-Based Lifecycle Integrated Project Information Portal)

  • 김성일;조정희;장철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26-36
    • /
    • 2019
  • 현재 국내 건설사업의 건설 관련 정보는 약 30개 기관의 개별시스템으로 분산되어 수집 관리되고 있어 정보보유 기관, 정보항목 및 내용, 조회 방법 등을 파악하기 어렵고 데이터의 단절로 활용에 한계가 있다. 기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 등 시설물 및 건축물의 생애주기 각 단계별 정보가 발주 업무수행 과정에서 형성되는 행정자료 구축의 성격에 머물러 전 생애주기에 걸친 이력정보 데이터 구축과 그를 바탕으로 한 수요자 맞춤형 빅데이터 활용이 부족하다. 공공시설 투자 및 관리 효율화를 통한 경제성 제고, 부실과 비효율의 최소화를 통한 품질향상, 시설물 건축물의 성능 향상을 통한 안전 및 삶의 질 제고 등을 위해 정보의 통합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설물의 생애주기 단계별로 각기 다른 정보 시스템(DB)에 흩어져 관리되고 있는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통합 활용할 수 있는 기반 구축을 위해 (가칭) "생애주기통합 건설정보포털"의 개념적 구성을 제안하고, 물리적 구축에 앞서 짚어봐야 할 제반여건 정비 등 추진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