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성기반챗봇

Search Result 38,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Generative Multi-Turn Chatbot Using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생성적 적대적 신경망을 이용한 생성기반 멀티턴 챗봇)

  • Kim, Jintae;Kim, Harksoo;Kwon, Oh-Woog;Kim, Young-Gi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25-30
    • /
    • 2018
  • 기존의 검색 기반 챗봇 시스템과 다르게 생성 기반 챗봇 시스템은 사전에 정의된 응답에 의존하지 않고 채팅 말뭉치를 학습한 신경망 모델을 사용하여 응답을 생성한다. 생성 기반 챗봇 시스템이 사람과 같이 자연스러운 응답을 생성하려면 이전 문맥을 반영해야 할 필요가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문맥을 반영하기 위해 이전 문맥과 입력 발화를 통합하여 하나의 벡터로 표현했다. 이러한 경우 이전 문맥과 입력 발화가 분리되어 있지 않아 이전 문맥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 잡음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입력 발화와 이전 문맥을 각각의 벡터로 표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생성적 적대적 신경망을 통해 챗봇 시스템을 보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채팅 말뭉치(55,000 개의 학습 데이터, 5,000개의 검증 데이터, 5,260 개의 평가 데이터)를 사용한 실험에서 제안한 문맥 반영 방법과 생성적 적대적 신경망을 통한 챗봇 시스템 보강 방법은 BLEU와 임베딩 기반 평가의 성능 향상에 도움을 주었다.

  • PDF

Rule Generator for Chatbot Services in Smart Stores (스마트 매장에서 챗봇 서비스 제공을 위한 규칙 생성기)

  • Kim, Minsoo;Choi, Dojin;Kim, Ina;Kim, Minyoung;Bok, Kyoungsoo;Yoo, Jae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63-364
    • /
    • 2018
  • 최근 ICT의 새로운 흐름으로 특정 규칙 또는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챗봇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규칙 기반 챗봇은 매장의 데이터가 수정될 때마다 규칙이 작성된 파일을 수정해야한다. 본 논문은 소규모 매장에서 챗봇 서비스를 활용 시 관리자가 규칙 기반의 챗봇을 쉽게 수정할 수 있도록 규칙 생성기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제안하는 챗봇 규칙 생성기는 관리자가 컨셉, 매장 정보, 메뉴 정보만 수정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관리자가 챗봇에 적용 버튼을 누르면 규칙 기반의 챗봇이 수정한 규칙들을 사용이 가능하도록 규칙 파일을 자동으로 생성한다.

  • PDF

Machine Reading Comprehension based Question Answering Chatbot (기계독해 기반 질의응답 챗봇)

  • Lee, Hyeon-gu;Kim, Jintae;Choi, Maengsik;Kim, Harkso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35-39
    • /
    • 2018
  • 챗봇은 사람과 기계가 자연어로 된 대화를 주고받는 시스템이다. 최근 대화형 인공지능 비서 시스템이 상용화되면서 일반적인 대화와 질의응답을 함께 처리해야할 필요성이 늘어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계독해 기반 질의응답과 Transformer 기반 자연어 생성 모델을 함께 사용하여 하나의 모델에서 일반적인 대화와 질의응답을 함께 하는 기계독해 기반 질의응답 챗봇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기계독해 모델에 일반대화를 판단하는 옵션을 추가하여 기계독해를 하면서 자체적으로 문장을 분류하고, 기계독해 결과를 통해 자연어로 된 문장을 생성한다. 실험 결과 일반적인 대화 문장과 질의를 높은 성능으로 구별하면서 기계독해의 성능은 유지하였고 자연어 생성에서도 분류에 맞는 응답을 생성하였다.

  • PDF

The development of cinema information service using chatbot (챗봇을 활용한 영화정보 서비스 개발)

  • Kim, Yu-R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05a
    • /
    • pp.365-368
    • /
    • 2018
  • 인공지능 기술이 발달하면서 챗봇 플랫폼이 주목받고 있다. 챗봇이란 규칙 또는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하는 대화형 인터페이스다. 챗봇에서 대화를 처리하는 방법은 규칙기반 대화 시스템, 검색기능 대화 시스템, 생성기반 대화 시스템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규칙 기반 대화 시스템을 바탕으로 하는 모바일 영화 챗봇 서비스를 개발하였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더 편리하게 영화 관련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Korean Generative Chatbot using Topic Embedding (주제 임베딩을 활용한 한국어 생성 기반 챗봇)

  • Oh, Shinhyeok;Kim, Harkso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0.10a
    • /
    • pp.524-528
    • /
    • 2020
  • 챗봇은 발화에 대해 컴퓨터가 자동으로 응답하는 시스템이다. 현재 챗봇은 전체 주제에 대한 잡담(chit-chat)보다는 특정 주제에 관한 대화를 목적으로 많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개개인이 필요로 하는 챗봇 용도에 적합한 학습 데이터는 부족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챗봇 학습을 위해 필요한 주제의 말뭉치를 대량으로 구축하는 것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모되어 현실적으로 어렵다. 따라서 학습에 필요한 소량의 말뭉치만 사용하더라도 주제에 적합한 응답을 할 수 있는 챗봇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은 챗봇의 목적과 관련 없는 대량의 말뭉치와 소량의 주제 기반 말뭉치를 이용하여 높은 성능을 끌어낼 수 있는 주제 임베딩 방법을 제안한다.

  • PDF

Multitask Transformer Model-based Fintech Customer Service Chatbot NLU System with DECO-LGG SSP-based Data (DECO-LGG 반자동 증강 학습데이터 활용 멀티태스크 트랜스포머 모델 기반 핀테크 CS 챗봇 NLU 시스템)

  • Yoo, Gwang-Hoon;Hwang, Chang-Hoe;Yoon, Jeong-Woo;Nam, Jee-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461-46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DECO(Dictionnaire Electronique du COreen) 한국어 전자사전과 LGG(Local-Grammar Graph)에 기반한 반자동 언어데이터 증강(Semi-automatic Symbolic Propagation: SSP) 방식에 입각하여, 핀테크 분야의 CS(Customer Service) 챗봇 NLU(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을 위한 주석 학습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RASA 오픈 소스에서 제공하는 DIET(Dual Intent and Entity Transformer) 아키텍처를 활용하여 핀테크 CS 챗봇 NLU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실 데이터을 통해 확인된 핀테크 분야의 32가지의 토픽 유형 및 38가지의 핵심 이벤트와 10가지 담화소 구성에 따라, DECO-LGG 데이터 생성 모듈은 질의 및 불만 화행에 대한 양질의 주석 학습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생성하며, 이를 의도 분류 및 Slot-filling을 위한 개체명 인식을 종합적으로 처리하는 End to End 방식의 멀티태스크 트랜스포머 모델 DIET로 학습함으로써 DIET-only F1-score 0.931(Intent)/0.865(Slot/Entity), DIET+KoBERT F1-score 0.951(Intent)/0.901(Slot/Entity)의 성능을 확인하였으며, DECO-LGG 기반의 SSP 생성 데이터의 학습 데이터로서의 효과성과 함께 KoBERT에 기반한 DIET 모델 성능의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 PDF

Personalized Multi-Turn Chatbot Based on Dual WGAN (Dual WGAN 기반 페르소나 Multi-Turn 챗봇)

  • Oh, Shinhyeok;Kim, JinTae;Kim, Harksoo;Lee, Jeong-Eom;Kim, Seona;Park, Youngmin;Noh, Myungh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9.10a
    • /
    • pp.49-53
    • /
    • 2019
  • 챗봇은 사람과 컴퓨터가 자연어로 대화를 주고받는 시스템을 말한다. 최근 챗봇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단순히 기계적인 응답보다 사용자가 원하는 개인 특성이 반영된 챗봇에 대한 연구도 많아지고 있다. 기존 연구는 하나의 벡터를 사용하여 한 가지 형태의 페르소나 정보를 모델에 반영했다. 하지만, 페르소나는 한 가지 형태로 정의할 수 없어서 챗봇 모델에 페르소나 정보를 다양한 형태로 반영시키는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최신 생성 기반 Multi-Turn 챗봇 시스템을 기반으로 챗봇이 다양한 형태로 페르소나를 반영하게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Alzheimer's Diagnosis and Generation-Based Chatbot Using Hierarchical Attention and Transformer (계층적 어탠션 구조와 트랜스포머를 활용한 알츠하이머 진단과 생성 기반 챗봇)

  • Park, Jun Yeong;Choi, Chang Hwan;Shin, Su Jong;Lee, Jung Jae;Choi, Sa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333-335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두 가지 모델이 필요했던 작업을 하나의 모델로 처리할 수 있는 자연어 처리 아키텍처를 제안한다. 단일 모델로 알츠하이머 환자의 언어패턴과 대화맥락을 분석하고 두 가지 결과인 환자분류와 챗봇의 대답을 도출한다. 일상생활에서 챗봇으로 환자의 언어특징을 파악한다면 의사는 조기진단을 위해 더 정밀한 진단과 치료를 계획할 수 있다. 제안된 모델은 전문가가 필요했던 질문지법을 대체하는 챗봇 개발에 활용된다. 모델이 수행하는 자연어 처리 작업은 두 가지이다. 첫 번째는 환자가 병을 가졌는지 여부를 확률로 표시하는 '자연어 분류'이고 두 번째는 환자의 대답에 대한 챗봇의 다음 '대답을 생성'하는 것이다. 전반부에서는 셀프어탠션 신경망을 통해 환자 발화 특징인 맥락벡터(context vector)를 추출한다. 이 맥락벡터와 챗봇(전문가, 진행자)의 질문을 함께 인코더에 입력해 질문자와 환자 사이 상호작용 특징을 담은 행렬을 얻는다. 벡터화된 행렬은 환자분류를 위한 확률값이 된다. 행렬을 챗봇(진행자)의 다음 대답과 함께 디코더에 입력해 다음 발화를 생성한다. 이 구조를 DementiaBank의 쿠키도둑묘사 말뭉치로 학습한 결과 인코더와 디코더의 손실함수 값이 유의미하게 줄어들며 수렴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발화 언어패턴을 포착하는 것이 향후 해당 병의 조기진단과 종단연구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Bringing Characters to Life: AI Chatbot (캐릭터를 현실로: AI 챗봇)

  • Junghye Min;Sang-Hun Kim;Ji-Mi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25-27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캐릭터 챗봇을 학습시키고, 학습된 모델을 React 기반 웹 페이지에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웹 페이지 사용자들은 실시간으로 게임이나 영화 캐릭터와 대화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받게 된다. 캐릭터 챗봇은 사용자의 질문을 이해하고 학습된 캐릭터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응답을 생성함으로써 상호작용하게 된다. 사용자가 웹 페이지에서 입력한 질문이나 요청은 챗봇 모델을 통해 처리되며, AI 챗봇은 학습된 지식과 데이터를 활용하여 응답을 생성한다. 사용자는 웹 페이지에서 자연스러운 대화를 통해 원하는 캐릭터와 대화를 이어갈 수 있게 된다.

  • PDF

Development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Chatbo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학생을 위한 학교폭력 예방교육 챗봇 개발)

  • Yu-Seop Kim;Yu-Hyeon Kim;Min-Gee Joh;So-Hui J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399-400
    • /
    • 2023
  • 본 프로젝트는 ChatGPT와 카카오톡 채널 챗봇을 사용하여 초등학생 대상의 학교폭력 예방교육을 위한 대화형 챗봇을 개발한다. 이를 위해, 한림대학교 간호대학에서 제공받은 학교폭력 예방교육 자료를 기반으로 ChatGPT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증강하였고, AWS RDS의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의 예상 발화와 그에 대한 답변을 저장하였다. 그리고 AWS Lambda에 REST API를 구현하고, AWS API Gateway를 통해 카카오톡 채널 챗봇과 연결하였다. 사용자가 발화를 입력하면 발화를 포함한 요청이 AWS Lambda로 전달되고, ChatGPT를 사용해 답변을 생성하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와 코사인 유사도를 비교한다. 이때 기준치보다 유사도가 높다면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를 반환하고, 낮다면 생성된 답변을 반환한다. 이후 반환된 답변을 카카오톡 채널 챗봇으로 전달해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