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산시점

Search Result 595,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The Contents of Namsan Park Records at the Seoul Metropolitan Archives (서울기록원 소장 남산공원 기록물의 현황과 내용)

  • Kim, Jung-Hwa;Gil, Jihye;Seo, Young-Ai;Park, Hee-Soung;Choi, Hyeyoung;Lee, Myeong-J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50 no.6
    • /
    • pp.110-123
    • /
    • 2022
  • Namsan Park in Seoul was designated as a "grand park" in 1954 and is currently operated as an 'Urban Nature Park Area' and four 'neighborhood parks.' However, despite the park's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as an urban park, it has been discussed mainly from a perspective revolving around notions of a mountain or a city wall. To ensure a comprehensive exploration of Namsan Park's history, this study examined public records at the Seoul Metropolitan Archives (SMA), which houses the city's permanent records for preservation and organization. To this end, documents in the SMA Database (DB) were analyzed, yielding 1,359 records concerning Namsan Park. Based on the contents,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park were identified through production periods, record types, and disclosure types. Then, essential keywords concerning organizations, people, geographical areas, subjects, and business functions were examined. Finally,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Namsan Park in public records were scrutinized, focusing on specific spaces. This research also uncovered important information, such as park drawings, photos, planting lists, plant parcel lists, and significant discussions and decisions regarding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park. Although the public records do not contain a comprehensive history of Namsan Park, it was possible to check the primary historical changes and deliberation processes pertaining to the park's history. Therefore, continuous research intended to interpret and describe public records is expected to identify many implications. In addition, because the public records showed heterogeneous characteristics that center on specific periods and events, an essential task is to advance collaboration and networking with various related institutions, designers, researchers, and citizens.

Study on water quality prediction in water treatment plants using AI techniques (AI 기법을 활용한 정수장 수질예측에 관한 연구)

  • Lee, Seungmin;Kang, Yujin;Song, Jinwoo;Kim, Juhwan;Kim, Hung Soo;Kim, Sooj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7 no.3
    • /
    • pp.151-164
    • /
    • 2024
  • In water treatment plants supplying potable water, the management of chlorine concentration in water treatment processes involving pre-chlorination or intermediate chlorination requires process control. To address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water quality prediction techniques utilizing AI technology. This study developed an AI-based predictive model for automating the process control of chlorine disinfection, targeting the prediction of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 downstream of sedimentation basins in water treatment processes. The AI-based model, which learns from past water quality observation data to predict future water quality, offers a simpler and more efficient approach compared to complex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water quality models. The model was tested by predicting the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 downstream of the sedimentation basins at Plant, using multiple regression models and AI-based models like Random Forest and LSTM,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For optimal prediction of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 the input-output structure of the AI model included the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 upstream of the sedimentation basin, turbidity, pH, water temperature, electrical conductivity, inflow of raw water, alkalinity, NH3, etc.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desired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 of the effluent from the sedimentation basin as the dependent variable.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selected from observable data at the water treatment plant, which are influential on the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 downstream of the sedimentation basin. The analysis showed that, for Plant, the model based on Random Forest had the lowest error compared to multiple regression models, neural network models, model trees, and other Random Forest models. The optimal predicted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 downstream of the sedimentation basin present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enable real-time control of chlorine dosing in previous treatment stages, thereby enhancing water treatment efficiency and reducing chemical costs.

Philosophical Stances for Future Nursing Education (미래를 향한 간호교육이념)

  • Hong Yeo Shin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27-38
    • /
    • 1981
  • 오늘 저희에게 주어진 주제, 내일에 타당한 간호사업 및 간호교육의 향방을 어떻게 정하여야 하는가의 논의는 오늘날 간호계 주변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서 비롯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먼저 세계적으로 건강관리사업이 당면한 딜레마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어떠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오고 있는가를 개관 하므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정의해 보고 장래 간호교육이 지향해야할 바를 생각해 보려 합니다. 오늘의 사회의 하나의 특징은 세계 모든 나라들이 각기 어떻게 전체 국민에게 고루 미칠 수 있는 건강관리체계를 이룩할 수 있느냐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사실이라고 봅니다. 부강한 나라에 있어서나 가장 빈궁한 나라에 있어서나 그 관심은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읍니다. 보건진료 문제의 제기는 발달된 현대의학의 지식과 기술이 지닌 건강관리의 방대한 가능성과 건강 관리의 요구를 지닌 사람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혜택간에 점점 더 크게 벌어지는 격차에서 발생한다고 봅니다. David Rogers는 1960년대 초반까지 갖고 있던 의료지식의 축적과 민간인의 구매력 향상이 자동적으로 국민 건강의 향상을 초래할 것이라고 믿었던 순진한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의료사업의 위기는 의료지식과 의료봉사간에 벌어지는 격차와 의료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그에서 얻는 건강의 혜택간의 격차에서 온다고 말하고 있읍니다. 균등 분배의 견지에서 보면 의료지식과 기술의 향상은 그 단위 투자에 대한 생산성을 낮춤으로서 오히려 장애적 요인으로 작용해온 것도 사실이고 의료의 발달에 따른 일반인의 기대 상승과 더불어 의료를 태성의 권리로 규명하는 의료보호사업의 확대로 야기되는 의료수요의 급증은 모두 기존 시설 자원에 압박을 초래하여 전래적 의료공급체제에 도전을 가해 왔으며 의료의 발달에 건 기대와는 달리 인류의 건강 문제 해결은 더욱 요원한 과제로 남게 되었읍니다. 현시점에서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기아, 영양실조, 안전한 식수 공급 및 위생적 생활환경조성의 문제에서부터 가장 정밀한 의료기술발달에 수반되는 의료사회문제에 이르는 다양한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주로 각개 국가의 경제 사회적 여건이 이 문제의 성격을 결정짓고 있다고 볼수 있읍니다. 그러나 건강 관리에 대한 요구는 영구히,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요구에 속한다는 의미에서 경제 사회적 발달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국가가 공히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제한된 자원문제로 고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 하나의 공통된 관점은 각기 문제의 상황은 달라도 오늘날의 건강 문제는 주로 의료권 밖의 유전적 소인,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인 환경여건과 각기 선택하는 삶의 스타일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오늘과 내일의 건강관리 문제는 의학적 견지에서 뿐 아니라 널리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는 점과 의료의 고급화, 전문화, 일변도의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기본건강관리체계 강화에 역점을 둔 다양하고 탄력성 있는 사업전개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양한 건강관리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기 위한 그간 세계 각처에서 시도된 새로운 건강관리 접근과 그 제안을 살펴보면 대체로 4가지의 뚜렷한 성격들로 집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첫째는 건강관리사업계획 및 그 수행에 있어 지역 사회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일, 둘째는 지역단위의 일차보건의료에서 부터 도심지 신예 종합병원, 시설 의료에 이르기까지 건강관리사업을 합리적으로 체계화하는 일. 셋째로 의료인력이용의 효율화 및 비의료인의 훈련과 협조 유발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인력관리에 대한 제안과 넷째로 의료보험 및 각양 집단 의료유형을 포함하는 대체 의료재정 운영관리에 관련된 제안들을 들 수 있읍니다. 건강관리사업에 있어 지역사회 참여의 의의는 첫째로 사회 경제적인 제약이 모든 사람에게 가능한 최대한의 의료를 모두 고루 공급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한된 정부재정과 지역사회가용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자조적이고 자율적인 지역사회건강관리체제의 구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둘때로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민의 건강에 영향하는 많은 요인들은 실질적으로 의료권 외적 요인들로서 위생적인 생활양식, 식사습관, 의료시설이용 등 깊이 지역사회특성과 관련되어 국민보건의 실질적 향상을 위하여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여건이 된다는 점 입니다. 지역 단위별 체계적인 의료사업의 전개는 제한된 의료자원의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요구가 있을때 언제나 가까운 거리에서 경제 사회적 제약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일차건강관리망을 통하여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얻으며 질병예방, 건강증진 및 기초적인 진료의 도움을 얻을 수 있고 의뢰에 대한 제2차, 제3차 진료에의 길은 건강관리사업의 질과 폭을 동시에 높고 넓게 해 줄 수 있는 길이 된다는 것입니다. 인력 관리에 관련된 두가지 기본 방향으로서는 첫째로 기존보건의료인력의 적정배치 유도이고 둘째는 기존인력의 역할확대, 조정 및 비의료인의 교육훈련과 부분적 업무대체를 들수 있으며 이러한 인력관리의 기본 방향은 부족되는 의료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주민들의 자조적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데에 두고 있음니다. 대체적 의료재정운영안은 대체로 의료공급과 재정관리를 이원화하여 주민의 경제능력이 의료수혜의 장애요소로 작용함을 막고 의료인의 경제적 동기에 의한 과잉치료처치에 의한 낭비를 줄임으로써 의료재정의 투자의 효과를 증대하는 데(cost-effectiveness) 그 기본방향을 두고 있다고 봅니다. 이러한 주변의료 사회적인 동향이 간호교육의 미래상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한 것이라 봅니다. 첫째로 장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정치, 사회, 경제, 환경적인 의료권 밖의 요인들에 의해 더욱 크게 영향 받는다고 전제한다면 건강문제해결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의료사업의 접근에서 더나아가 문제발생의 근원이 되는 생활개선이라는 차원에서 포괄적 접근을 생각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선 정치, 경제, 사회전반에 걸친 깊이있는 이해과 주민의 생활환경에 직접 영향하는 교통수단, 통신망 mass media, 전력문제, 농업경영방법 및 조직적 사회활동 등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둘째로, 지역사회참여의 의의를 인정한다면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킬수 있고 의료집단과 각종 주민조직과 일반주민들 사이에서 협조적으로 일할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위한 교육적 준비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셋째로,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자조능력 강화를 하나의 목표로 삼는다면 치료자에서 교육자로, 지도자에서 촉진자로, 제공자에서 지원자료의 역할의 변화 내지 다양화를 요구하게 될 것이므로 그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넷째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건강관리사업을 지향하는 보건의료의 이념적 방향과 그에 상응하는 구체적 접근방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횡으로 연결되는 의사소통체계의 정립과 민활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구심체로서 역할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할 교육적 과제가 있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으로 전개될 건강관리사업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적 측면과 질병진료 및 회복과 재활에 이르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사업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종래 공공 의료부문과 사설의료기관 사이에 나누어져 있던 예방의학과 치료의학의 통합 뿐 아니라 정부주축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지역사회개발사업 및 농촌지도사업과 종교 및 각종 민간인 집단이 벌이고있는 사업들과의 전체적인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종래 간호교육이 강조하지 않던 진료의 의무와 대외적 조직활동에 대한 보완적인 교육조치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간호의 학문체계로서의 입장은 오랜 역사를 두고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으나 아직까지 뚜렷이 어떤 것이 간호 특유의 지식체계이며 건강문제에 관련하여 무엇이 간호특유의 결정영역이며 이 결정과 그 결과를 어떠한 방법으로 치료적 행위로 옮길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봅니다. 다만 근래에 제시된 여러 간호이론들 속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되어지고 있는 개념들로선 우선 간호학문을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인간의 전인적이고 전체적인 상황을 다루는 학제적 과학으로서보는 입장이 있고 따라서 생물신체적인 면 외에 정신심리적,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인간의 건강과 질병문제를 생각한다는 지향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읍니다. 간호교육은 간호계 내적인 학문적, 이론적 체계화의 요구에 못지않게 대민봉사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감당해야하는 중요과제를 안고있어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당면문제를 안고 있읍니다. 간효역할 확대, 보건진료원훈련 등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려는 조치가 되겠읍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간호계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들이 종래의 의사들의 외업무공급을 연장 확대하는 입장에 서서 간호의 특수전문직 명목을 흐리게 할수있는 위험을 감수할 것인지 아니면 가능한 대체방안을 갖고 간호전문직의 독자적인 진로를 개척하면서 다각적인 도전을 받아들일 준비를 갖추든지 그 방향을 뚜렷이 해야할 일이라 생각합니다. 저로서는 이미 잘 훈련된 간호원들과 조산원들의 교육적, 경험적 배경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최일선 건강관리요원으로 사회적 효능을 다 할수 있는 일차건강관리간호조직의 구현을 대체방안으로 제시하고 싶습니다. 간호원과 조산원들의 훈련된 역량과 건강관리체제의 구조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조화시킨다면 대부분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해결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물론 정책과 의료와 행정적지원이 활성화되어지는 환경속에서만 그 기대하는 결과가 확대되리라는 점 부언하는 바입니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점은 바로 오늘의 주제 ''교육의 동역자-선생과 학생''이라는 개념입니다. 특히 상회정의적 입장에서 보는 의료사업전개에 지역민 내지 의료소비자의 참여를 강조하는 현시점에 있어 교육자와 학생이 교육의 현장에서 서로 동역자로서 학습의 책임을 나누는 경험은 아주 시기적으로 적합하여 교육적으로 지대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수반되어져야 할 역할의 변화에 수용적인 자세를 갖고 적극 실제적용하려 노력하는 선생앞에서 자주적 결정을 행사해본 학생이야말로 건강관리대상자로 하여금 같은 결정권을 행사할수 있도록 촉구하여 주민의 자조적 역량을 기르고 의료사업의 민주화, 인간화를 이룩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 바입니다.

  • PDF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on the Knowledge Management Performance of the Company: Focused on Government Small and Medium Venture Business R&D Business (기술혁신역량이 기업의 지식경영성과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부 중소벤처기업 R&D사업을 중심으로)

  • Seol, Dong-Cheol;Park, Cheol-Woo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5 no.4
    • /
    • pp.193-216
    • /
    • 2020
  • Due to the recent mid- to long-term slump and falling growth rates in the global economy, interest in organizational structures that create new products or services as a new alternative to survive and develop in an opaque environment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and enhance organizational sustainability through changes in production methods and business innovation is increasing day by day. In this atmosphere, we agree that the growth of small and medium-sized venture companie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national economy, and various efforts are being made to enhance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of the members so that these small and medium-sized venture companies can enhance and sustain their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lso to investigate how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of small and medium-sized venture companies correlate with the performance of knowledge management and to analyze the role of network capabilities to organize the strategic activities of enterprise to obtain the resources and organizational capabilities to be used for value creation from external networks. In other words,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impac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of small and medium venture companies on knowledge management performance by using network capabilities as parameters. Therefore,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verify the hypothesis that innovation capabilities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knowledge management performance by using network capabilities of small and medium venture companies. Economic activities based on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should respond quickly to new changes in an environment where uncertainty has increased, and lead to macro-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as well as overcoming long-term economic downturns so that they can become the nation's new growth engine as well as sustainable growth and survival of the organization. In addi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etting the most important knowledge management performance within the organization as a dependent variable. As a result, R&D and learning capabilities among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have no impact on financial performance. In contrast, it was shown that corporate innovation activities have a positive impact on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The fact that non-financial factors such as quality and productivity improvement are identified in the management of small and medium-sized venture companies utilizing their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is contrary to a number of studies by those corporate innovation activities affect financial performance during prior research. The reason for this result is that research companies have been out of start-up companies for more than seven years, but sales are less than 10 billion won, and unlike start-up companies, R&D and learning capabilities have more positive effects on intangible non-financial performance than financial performance. Corporate innovation activities have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 impact on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while R&D and learning capabilities have a positive (+) impact on financial performance by parameters of network capability. Corporate innovation activities have been shown to have no impact on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and R&D and learning capabilities have no impact on non-financial performance. It could be seen that the parameter effects of network competency are limited to when R&D and learning competencies are derived from quantitative financial performance. It could be seen that the parameter effects of network competency are limited to when R&D and learning competencies are derived from quantitative financial performanc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biodiversity and measures for them (생물다양성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과 그 대책)

  • An, Ji Hong;Lim, Chi Hong;Jung, Song Hie;Kim, A Reum;Lee, Chang Seok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8 no.4
    • /
    • pp.474-480
    • /
    • 2016
  • In this study, formation background of biodiversity and its changes in the process of geologic history, and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biodiversity and human were discussed and the alternatives to reduce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were suggested. Biodiversity is 'the variety of life' and refers collectively to variation at all levels of biological organization. That is, biodiversity encompasses the genes, species and ecosystems and their interactions. It provides the basis for ecosystems and the services on which all people fundamentally depend. Nevertheless, today, biodiversity is increasingly threatened, usually as the result of human activity. Diverse organisms on earth, which are estimated as 10 to 30 million species, are the result of adaptation and evolution to various environments through long history of four billion years since the birth of life. Countlessly many organisms composing biodiversity have specific characteristics, respectively and are interrelated with each other through diverse relationship. Environment of the earth, on which we live, has also created for long years through extensive relationship and interaction of those organisms. We mankind also live through interrelationship with the other organisms as an organism. The man cannot lives without the other organisms around him. Even though so, human beings accelerate mean extinction rate about 1,000 times compared with that of the past for recent several years. We have to conserve biodiversity for plentiful life of our future generation and are responsible for sustainable use of biodiversity. Korea has achieved faster economic growth than any other countries in the world. On the other hand, Korea had hold originally rich biodiversity as it is not only a peninsula country stretched lengthily from north to south but also three sides are surrounded by sea. But they disappeared increasingly in the process of fast economic growth. Korean people have created specific Korean culture by coexistence with nature through a long histo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But in recent years,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nature became far in the processes of introduction of western culture and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specific natural feature born from harmonious combination between nature and culture disappears more and more. Population of Korea is expected to be reduced as contrasted with world population growing continuously. At this time, we need to restore biodiversity damaged in the processes of rapid population growth and economic development in concert with recovery of natural ecosystem due to population decrease. There were grand extinction events of five times since the birth of life on the earth. Modern extinction is very rapid and human activity is major causal factor. In these respects, it is distinguished from the past one. Climate change is real. Biodiversity is very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If organisms did not find a survival method such as 'adaptation through evolution', 'movement to the other place where they can exist', and so on in the changed environment, they would extinct. In this respect, if climate change is continued, biodiversity should be damaged greatly. Furthermore, climate change would also influence on human life and socio-economic environment through change of biodiversity. Therefore, we need to grasp the effects that climate change influences on biodiversity more actively and further to prepare the alternatives to reduce the damage. Change of phenology, change of distribution range including vegetation shift, disharmony of interaction among organisms, reduction of reproduction and growth rates due to odd food chain, degradation of coral reef, and so on are emerged as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biodiversity. Expansion of infectious disease, reduction of food production, change of cultivation range of crops, change of fishing ground and time, and so on appear as the effects on human. To solve climate change problem, first of all, we need to mitigate climate change by reducing discharge of warming gases. But even though we now stop discharge of warming gases, climate change is expected to be continued for the time being. In this respect, preparing adaptive strategy of climate change can be more realistic. Continuous monitoring to observe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biodiversity and establishment of monitoring system have to be preceded over all others. Insurance of diverse ecological spaces where biodiversity can establish, assisted migration, and establishment of horizontal network from south to north and vertical one from lowland to upland ecological networks could be recommended as the alternatives to aid adaptation of biodiversity to the changing clim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