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산네트워크

Search Result 892,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Determinants of Inventor Productivity: An Empirical Result from Panel Regressions Using Network Characteristics (발명자 생산성 결정요인: 네트워크 특성을 이용한 패널회귀분석결과)

  • Choo, Kineung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5 no.3
    • /
    • pp.83-113
    • /
    • 2017
  • This paper constructs panel data of inventors listed on patents applied for the KIPO during 1991-2005 and analyzes the effects of network characteristics on inventor productivit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ⅰ) Strong ties within a network have positive effects on inventor productivity. ⅱ) An inventor with high centrality shows high producitivity. ⅲ) Technological diversity of a network enhances inventor productivity. ⅳ) An inventor belonging to a network of good quality shows higher productivity. ⅴ) Network size is positively related with inventor producitvity. ⅵ) A lone inventor shows the highest productivity among types of inventors, and a co-inventor with the experience of standalone invention is more productive compared to an inventor with only the experience of co-invention. ⅶ) The productivity effects of network variables differ across regions. ⅷ) Differences among regions do not decrease though geographical boundaries become less important.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Agglomeration Areas of Advanced Producer Services in Seoul : Advertising-related Industry (서울시 고차생산자서비스업 집적지의 입지적 특성 : 광고관련산업)

  • 김대영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5
    • /
    • pp.731-744
    • /
    • 2000
  • 이 논문은 서울시 광고관련산업의 집적지 형성과정과 생산네트워크의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고차생산자서비스로서 광고관련산업의 서비스생산과정에서 관련업체와 생산네트워크가 중요한 기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쇄광고관련업체와 방송광고관련업체의 집적지가 각각 도심의 충무로와 영동의 신사동지역에 형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집적지의 형성은 광고관련산업의 전반적인 유연적 전문화 과정과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관련 전문기능의 집적은 계속 강화되리라 예상된다. 광고회사는 주로 기획과 전략을 담당하고, 실제적인 제작 업무는 전무제작사들이 담당하는 공간적 분업과 생산의 네트워크화를 통해 광고하는 서비스가 생산되고 있었다. 그리고 각 집적지의 이득을 광고회사가 공간적 거리에 상관없이 충분히 활용하고 있었다. 결국 서울이라는 전체 공간이 함께 협력함으로써 서비스가 생산이 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는 각 집적지내에서 관련 기능들이 서로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네트워크의 이득을 활용하고 있으며, 또한 집적지 외부에 있는 기능이 공간적으로는 떨어져 있으나 다시 각 집적자와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집적이득을 충분히 이용하는 국지적 집적효과가 아닌 지역적 집적효과를 활용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 PDF

A study on logistic network using production cost (생산원가를 이용한 물류 네트워크 구성에 관한 연구)

  • 변태상;한주윤;정봉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399-402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물류 네트워크의 구성을 원가 관점으로 최적화하는 것이다. 원가 관점에서 최적 물류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서 제시한 모델링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있다. 먼저 각 공장의 생산 제품별 데이터를 기본으로 생산원가를 산출하고 흑은 가상(생산이 가능하지만 현재 생산하지 않은) 제품에 대해 생산원가를 추정한다. 둘째, 전 단계에서 산출한 생산원가 및 지역창고의 제품별 재고비, 거리에 따른 수송비용 등과 같은 물류 관련 비용 등을 이용하여 효과적인 수배송 양과 주어진 환경 하에서의 최적 네트워크 경로에 대한 모델링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원가비용을 고려하여 생산단계에서 생산량을 구하고, 생산단계에서 구해진 생산량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단계에서 최적의 경로를 결정하는 모델링을 제안하였다

  • PDF

Tracing the Evolution of the Global Production Network Discourse: An Alternative to the Firm- and Industry-Centered Governance Analysis (글로벌 생산네트워크 담론의 진화: 기업 및 산업 중심 거버넌스 분석을 넘어서)

  • Lee, Jae-Youl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51 no.5
    • /
    • pp.667-690
    • /
    • 2016
  • This paper reviews the evolution process of global production network(GPN) discourse, from its origin to the recent theorization, namely GPN 2.0. In so doing, the discursive formation of global production networks is introduced in comparison with a competing discourse global commodity/value chains,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conceptual and analytical lacunae in the latter. This article also outlines how the global production network perspective has become a useful discursive and practical tool that allows the examination of the nexus of global economy, transnational corporations, and regional development. Subsequently, a theoretical dearth in the approach is discussed in reference to key critiques, and in this context Yeung and Coe's recent theorization GPN 2.0, which is centered on casual mechanisms and network configurations is reviewed.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theory adequately addresses the problem of casuality lacking in its precedented conceptual framework, and that it helps exploring the formation and evolution processes of varied production networks(including intrafirm coordination, interfirm control, strategic partnership, and extrafirm bargaining) in connection with competitive dynamics and risky environments. As a result of the theorization, the difference between GPN and the chain approaches has become more apparent, and the idea of extrafirm bargaining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the differentiation. Extrafirm bargaining is seen to be a comprehensive networking form inclusive of such GPN 1.0 analytical concepts as value, embeddeness, and power, and research attentive to, and engaging with, the extrafirm networks is expected to help transcending the chain governance approaches' analytical excess of interfirm linkages and industry-centeredness.

  • PDF

Spatial Features of Production Networks on Korean Shipbuilding: The Case of Samsung Heavy Industry in Koje, Korea (조선산업 생산네트워크의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를 사례로)

  • 우연섭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6 no.1
    • /
    • pp.99-117
    • /
    • 2003
  • Major pro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Korean Shipbuilding's production network and cooperation between related firms and to understand their spatial features. The Geographical study about networks has focused on automobiles, electronics or communications industries. That's because those industries have distinctive spatial features thanks to the full growth of subcontract structures. The labor-centered, capital-centered shipbuilding industry, differently from other manufacturing industries, has production networks where outside trades are common. Today internet based communication is being reinforced and the flexibility of purchase circumstances is being positively proceeded. The central axes of the production network of Sumsung shipbuilding are internationally Europe and Asian area, nationally Busan and Gyeongnam province and Seoul Metropolitan areas, locally inside subcontracting firms. And In order to construct mutual trust with cooperation firms, Sumsung shipbuilding is trying to reinforce two-way cooperation relation through 'SungJoHoi' organized with outside subcontracting firms and 'inside cooperation firms conference'. In conclusion, Sumsung shipbuilding is trying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shipbuilding industry, spatially by setting up the network through globalization-localization and functionally by constructing the partnership production network for mutual communication.

  • PDF

The Uneven Regional Developments of Global Production Networks in the ICT Parts and Components Industry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의 지역별 불균형 발전: ICT 부품·소재 산업을 중심으로)

  • Lee, Soh Eun;Kim, Jung-Ho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18 no.3
    • /
    • pp.205-229
    • /
    • 2014
  • Global production networks (GPNs) emerged as multinational companies strategically relocated different stages of their value chain over many regions. Since GPNs require moving materials, parts, components and finished products across national borders multiple times, as well as coordinating it efficiently, they are intensified further within an integrated region. Within the region, developed countries which enjoy a comparative advantage in higher value-added tasks specialize in the production of ICT parts and components and exhibit high export RCA indices while developing countries show high import RCA indices. But, as developing countries upgrade technological capabilities and achieve industrial upgrading through participation in GPNs, their level of sophistication improves. East Asian countries have participated in GPNs to a greater degree when compared to countries in other regions because of a variety of factors. They have benefited much as shown by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level of ICT sophistication and export shares, which in turn led to uneven regional developments of GPNs in the ICT parts and components industry.

Efficient Product Management System on a Heterogeneously Distributed Environment (이질 분산 환경에서의 효율적인 생산 업무 전산화)

  • 오동익;공용해;김기용;김영준;윤창현;김지혜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1.11a
    • /
    • pp.211-214
    • /
    • 2001
  • 지역적으로 분산된 생산 시설을 가지는 업체의 전산화는 업무 프로그램의 개발뿐만 아니라 업체의 분산된 환경에 적합한 정보 공유 네트워크 인프라의 구축 또한 요구된다. 본 연구는 주 생산지는 정보 처리량이 많고 지역적으로 멀리 위치한 생산지들은 정보 유통량이 다소 적은 특수한 분산 환경에 적합하고, 유연하게 확장 가능한 경제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이러한 이질적으로 분산된 환경의 네트워킹은 서버를 근간으로 하는 근거리 네트워크, 인터넷을 통한 서버 접속 네트워크, 전화 모뎀을 통한 서버 접속 네트워크 둥을 포함한다. 업체에 특수한 이질적 분산 환경을 효과적으로 연결하는 이러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분산 재고 관리 전산화 시스템을 개발하여 업체의 생산 관리 효율의 향상을 기대한다.

The Formation and Its Factors of Inter-firm Networks : Focus on Computer Industry in Korea (기업간 네트워크의 형성현황과 요인 -한국 컴퓨터산업을 중심으로-)

  • 김선배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3 no.2
    • /
    • pp.309-324
    • /
    • 1998
  • 본 연구는 급속한 기술변화와 경쟁심화에 의해 생산체계의 분화가 촉진되고 있는 컴퓨터산업을 사례로 기업간 네트워크의 형성실상과 요인을 분석하였다. 네트워크는 거래원리와 기업간 관계의 측면에서 정의되었으며 하청과 협력네트워크로 구분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에 의하면, 하청네트워크는 약 75%, 협력네트워크는 약 85%의 기업이 참여하고 있어 어떤 형태로든 상당수의 기업이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협력네트워크는 물론 하청네트워크도 거래기업간 보완성과 전문성에 의해 지속적인 거래관계로 형성되고 있다. 이것은 기업간 네트워크가 다층화된 생산체계에서 외부기업의 자원을 이용하여 경쟁력을 강화하는 기업전략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업간 네트워크는 세계화-지방화 시대의 경제공간구조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

  • PDF

A Hint of Crisis Resilience of Industrial Agglomeration: The Production Network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Dongdaemun Fashion Industry (산업집적지의 위기와 회복 가능성: 동대문 패션산업 생산네트워크와 공간적 특성)

  • Chung, SunWha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3 no.1
    • /
    • pp.18-34
    • /
    • 2020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Dongdaemun fashion industry once thrived in Seoul, now in a rapid decline. For this purpose, three research themes are put forward. That is, to fix the boundary of Dongdaemun fashion industry,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its value chain, production network and industrial agglomeration, and to search for the cause of its decline and to suggest political solutions against it. The following 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ly, Dongdaemun fashion industry has spreaded out over the last six decades and now its boundary can be marked within a radius of 10 kilometers of Dongdaemun Market in northeastern Seoul. Secondly, Dongdaemun fashion industry has a buyer-driven chain and star production network, and therefore can be assumed that it is spatially segmented industrial agglomeration. Lastly, its rapid decline is directly from the shrink of market demand on Dondaemun fashion, and inherently in the topological structure of its star production network. Thus the feasible political solutions can be found in that direction. Consequently, these results have academic implications for clearing up some previous studies' misunderstandings and getting over one of the long-criticized research biases that pervades in industrial agglomeration theory, primarily focusing on the successful regions.

Productivity Measurement in Network Industry: An application to international gas industry (네트워크 특성을 고려한 생산성 분석방법론 : 천연가스산업 국제비교 응용을 중심으로)

  • O, Gyeong-Jun;Lee, Jeong-Dong;Kim, Tae-Yu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9 no.1
    • /
    • pp.93-125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특성을 반영하여 생산성을 분할함에 있어 1인당 소비량 효과, 소비자 밀도 효과, 시스템 규모 효과 등을 추가적인 원인요소로 고려하는 네트워크 산업 생산성 분석 방법론을 제시하고, 이 방법론을 천연가스산업에 적용하여, 한국, 미국, 캐나다, 프랑스, 이태리, 일본의 가스산업 생산성에 대한 국제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미국과 캐나다의 경우, 생산성 증대(productivity growth)의 가장 주요한 요소가 1인당 소비량 증대 효과로 나타났으며, 일본과 프랑스의 경우 기술진보, 그리고 이태리의 경우 주로 소비자 밀도변화를 통해 생산성 증가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의 경우에는 시스템 확장과 1인당 소비량 증가가 생산성을 증가시킨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산성 수준 격차의 국제비교 결과, 한국의 생산성 수준은 일본을 제외하고 가장 낮은 수준에 있으며, 이러한 생산성 격차 (productivity difference) 의 주원인은 1인당 소비량 차이에서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생산성 증대를 위해서는 1인당 소비량 증진을 위한 산업 정책의 추진이 가장 긴요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