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물 생산량

Search Result 472,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Effect of Heat Collection Ventilation Fan in Pleurotus ostreatus Cultivation (열회수 환풍기를 이용한 느타리버섯 재배효과)

  • 윤순근;김영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0.10b
    • /
    • pp.109-112
    • /
    • 2000
  • 느타리버섯은 맛, 향기 및 영양가가 일반 채소류나 일부 버섯류에 비하여 높고, 고혈압, 당뇨병에도 효과가 있으며, 특히 항암효과 등의 약리활성이 있어서 오래 전부터 한국과 일본에서 부식으로 이용되었다. 느타리버섯의 국내 재배면적 및 생산량은 1988년 832,346평에 29,386톤에서 1997년 에는 2,100,890 평에 83,606톤으로 증가되었다. 그러나 생산량의 증가추세에 부합하는 재배기술의 축적, 적정 재배환경 관리의 모델화가 미흡하기 때문에 그 생산량은 국민적인 소비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중략)

  • PDF

개조개, Saxidomus purpuratus의 자원생태학적 특성치

  • 김영혜;류동기;장대수;김종빈;김성태;김영승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363-365
    • /
    • 2003
  • 개조개(Saxidomu purpuratus)는 우리나라 전 연안에 분포하고 있으며, 연평균 생산량은 약 약 7,300들 정도가 어획되어지며, 경남 남해안 생산량이 전국 생산량의 약 73%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본 종은 2001년부터 TAC 실시 대상 어종으로 선정되어 자원이 관리되어지는 실정에 있다. 따라서 개조개 자원을 보다 더 합리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이 자원에 대한 자원생물학적 특성치인 자연사망계수, 어획사망계수, 생잔율, 어획개시연령 정확한 정보가 있어야만 효율적이고 종합적인 관리 발안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중략)

  • PDF

Growth and Production of Macrobenthic Fauna on a Macrotidal Flat, Inchon, Korea -II. Production of the Razor Clam, Solen (Solen) strictus (Bivalvia, Solenidae) from Chokchon Tidal Flat- (인천연안 간석지산 주요 저서생물의 성장과 생물생산 -II. 척전지역 간석지에 서식하는 맛조개, Solen (Solen) strictus의 생물생산-)

  • HONG Jae-Sang;PARK Heung-Sik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27 no.5
    • /
    • pp.560-571
    • /
    • 1994
  • A single station representative of the razor clam, Solen (Solen) strictus, on a macrotidal flat, Inchon, Korea was sampled at bimonthly intervals between May 1989 and July 1990 by using a can corer. Estimates of growth rate and annual production of this razor clam have been made using the techniques of cohort growth analysis. Growth rate and production were highest during the first year after spawning and recruitment. The annual production was $2.83g\;DWt/m^2/yr$, mean annual biomass $256.3\;g/w^20$, and a turnover time of 5.00 yea, giving an annual turnover rate (P/B) of $0.20\;yr^{-1}$. The total annual production in wet weight ($33.22g\;WWt/m^2/yr$) appeared to consist of water in live flesh($72.6\%$) and shell($18.9\%$), whereas the dry weight of the soft parts was $8.52\%$, the ash-free dry weight $5.4\%$, and the ash content $3.1\%$ of the total wet weight.

  • PDF

Dark fermentation for hydrogen production with a new bacterium Enterobacter asburiae SNU-1 (새로운 Enterobacter asburiae SNU-1의 혐기발효에 의한 생물학적 수소생산)

  • 신종환;김미선;심상준;박태현
    • 한국전기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7a
    • /
    • pp.177-186
    • /
    • 2005
  • 미래의 친환경 에너지인 수소에너지 생산을 위해서 생물학적인 수소생산방법에 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생물학적인 수소생산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중 유기물을 혐기발효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혐기성 미생물인 Enterobacter asburiae SNU-1이 쓰레기 매립지 토양에서 분리되어 수소생산 조건의 최적화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에 이용된 미생물의 경우는 기존에 연구 된 적이 없는 새로운 종으로써 다른 미생물과는 다른 특징을 나타내며 수소생산 능력도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미생물을 이용한 수소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pH, initial glucose concentration 등이 있으며 각각의 조건에서 수소생산량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strain SNU-1의 최적 pH는 7이었으며 최적 initial glucose concentration은 25 g/1이다 이와 같은 최적 조건에서 strain SNU-1은 6.87 mmol/l/hr의 productivity를 나타내었다. 또한 다른 미생물과 달리 미생물이 더 이상 자라지 않는 정지기에서 더 많은 수소생산량을 나타내는 특이한 거동을 보이는 것이 관찰되었다.

  • PDF

Study on the Biogas Production from Livestock Manure (축산폐기물의 바이오가스화에 의한 에너지 이용 가능성 검토)

  • Lee, Joon-Pyo;Park, Soon-Chul;Lee, Jin-Su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575-578
    • /
    • 2007
  • 축산폐기물중 바이오가스 생산량이 많을 것으로 여겨지는 돈분(슬러리 돈사의 경우 분과 뇨)과 우분을 대상으로 BMP 방법에 의하여 바이오가스 생산량을 알아보았다. 실험결과 메탄가스 생산량은 슬러리식 돈사 돈분뇨가 가장 많은 330-402ml/gVS, 다음으로 재래식 돈사 돈분이 316-349ml/gVS, 그리고 스크래퍼식 돈사 돈분은 244-281ml/gVS를 보여 에너지 이용측면에서 볼 때 슬러리식 돈사 돈분뇨를 우선적으로 바이오가스화하여 이용하는 방안을 고려해야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우분의 경우 137ml/gVS로 매우 적은 메탄가스 생산량을 보임으로써, 바이오가스화보다는 톼비화와 같은 다른 처리방법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Biomass and Net Primary Production of Betula platyphylla and Juglans mandshurica Plantations in Chungju Area (충주지역(忠州地域)의 자작나무와 가래나무 조림지(造林地)의 물질생산(物質生産)에 관(關)한 연구(硏究))

  • Park, Gwan-Soo;Song, Ho-Kyung;Kwon, Ki-W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89 no.2
    • /
    • pp.249-255
    • /
    • 2000
  •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estimate aboveground biomass and net primary production in a 22-year-old Betula platyphylla and 24-year-old juglans mandshurica plantations. Nine sample trees were cut in each plantation. Estimations for aboveground biomass and net primary production were made by the equation model $Wt=aD^b$ where Wt is ovendry weight in kg and D is DBH in cm. Total aboveground biomass was 79.33t/ha in Betula platyphylla plantation and 67.47t/ha in Juglans mandshurica plantation. The proportion of each tree component to total aboveground biomass was high in order of bolewood, branches, bolebark, and leaves in the two plantations. Aboveground total net primary production was estimated at 9,92t/ha in Betula platyphylla plantation and 11.79t/ha in Juglans mandshurica plantation. There was greater net primary production in Juglans mandshurica plantation than in Betula platyphylla plantation because of greater bolewood, bolebark, current twig, and branch net primary productions in Juglans mandshurica plantation than in Betula platyphylla plant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