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물학적 영향

Search Result 1,72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Removal of Color and non-biodegradable organic matter from biologically treated effluent by coagulation. (응집에 의한 생물학적 처리수의 색도 및 난분해성 유기물 제거)

  • Seo, Tae-Gyeong;Park, Sang-Min;Park, No-Baek;Jeon, Ha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859-863
    • /
    • 2008
  • 축산폐수, 침출수 등의 고농도 폐수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할 경우 최종 방류수는 강한 색도를 띠며 고분자량의 유기물질을 다량 함유한다. 이는 생물학적으로 분해하기 어려운 유기성 복합체와 생화학적 반응에 의한 중간생성물로 색도를 띠는 천연유기물질(NOM)을 포함한다. 생물학적 처리수의 색도는 심미적인 불안감, 방류수역의 수질오염 및 공중보건상의 잠재적 위해성을 갖는다. 또한, 수자원 이용측면에서 정수처리공정에서의 약품투입량 증가와 특히, 소독부산물 생성이라는 잠재적 문제점이 뒤따른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생물학적 2차 처리수의 후속처리가 요구되며, 실제로 난분해성 유기물과 색도를 제거하기 위한 흡착, 막 분리, 고급산화(AOP) 및 화학적 응집 등의 물리-화학적 공정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왔다. 특히, 화학적 응집은 무기응집제 또는 고분자중합체(Polymer)를 이용하여 콜로이드성 입자와 색도를 띠는 난분해성 유기물을 전기적 불안정화를 유도함으로서 흡착 및 응집과정을 통해 제거하는 공정으로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되어왔다. 그러나 난분해성 유기물과 색도제거는 대상원수의 성상과 화학적 특성 등에 따라 각각의 제거효율과 최적 운전조건이 상이하게 나타난다. 화학적 응집공정은 비교적 높은 제거효율을 보이지만, 운전 및 유지관리의 기술적 어려움, 경제적 비효율성 등으로 인하여 적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생물학적 혐기-호기성 공정에서 방류되는 축산폐수의 2차 처리수를 대상으로 화학적 응집에 의한 색도 및 난분해성 유기물의 제거거동을 고찰하였다. 대상 처리수의 $TCOD_{Cr}$ 농도는 평균 410 mg/L인 반면, $BOD_5$는 7-15 mg/L 범위로 난분해성 유기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황산알루미늄(Aluminium sulfate; $Al_2(SO_4){\cdot}14H_2O$)과 염화철(ferric chloride)의 무기응집제를 이용하여 자 테스트(jar test)를 수행한 결과, 동일한 응집제 주입량에서 염화철의 유기물 제거 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황산알루미늄과 염화철의 경우 각각의 응집제 주입율 5.85mM에서 89%, 7.03mM에서 97.5%의 최대 유기물 제거효율을 보여주었으며, 이 때 최종 pH는 4.0-5.6 범위이었다. 한편, 대상 원수 내의 콜로이드성 입자 또는 용존성 유기물의 작용기(functional group)는 일반적으로 음으로 하전 되어 있어 응집에 의해 잘 제거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과량의 응집제를 주입하여 다가의 양이온성 금속염을 흡착시켜 전기적으로 중화시키고, 생성된 침전성 수화물 내에 포획 또는 여과시켜 제거하게 된다. 이 때, 금속염 수화종의 전하밀도가 응집효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다가의 양이온은 전기적 이중층(Double layer) 압축에 의한 불안정화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다. 또한, 2가 금속염은 색도유발물질과 흡착하여 humate 또는 fulvate 등의 착화합물(complex)을 형성시켜 응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물학적 2차 처리수의 화학적 응집처리에 있어서 알루미늄염 등의 다가이온 첨가가 응집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후속되는 플록형성 및 침전공정에 의한 제거효율을 비교, 평가함으로써 2차 처리수로부터 난분해성 유기물과 색도를 보다 효과적이고 경제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최적인자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PDF

The effect of sewage sludge compost amended soils on the growth of Orchardgrass seedlings (하수오니 첨가토양이 Orchardgrass 유식물체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 Lee, Ju Sam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2 no.2
    • /
    • pp.77-88
    • /
    • 1994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wage sludge compost amended soils on the growth and accumulation patterns of heavy metals in plant parts of Orchardgrass seedlings, changes in physical properties and chemical composition, and heavy metal residue in soils. Mixture ratios of sewage sludge compost and soil(loam) were 100:0, 80:20, 60:40, 40:60, 20:80 and 0:100(control), respectively.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physical properties and chemical compostion of soils were improved by increase in mixture ratios of sewage sludge compost. 2. The biological yield of Orchardgrass seedlings was increased with mixture ratios of sewage sludge compost. 3. The dry weight of shoot(SH) was increased with both of yield components(NT and WT) and biological yield of Orchardgrass seedlings. 4. The total nitrogen concentrations(TN) of plants was increased with quadratically up to the biological yield of 100% mixture ratio of sewage sludge compost. 5. Lead(Pb) concentration of soil in over the 60% mixture ratios of sewage sludge compost were in excess of limiting level(50ppm) of organic fertilizers.

  • PDF

Diagnosis of Sapkyo Stream Watershed Using the Approach of Integrative Star-Plot Area (생태평가모형(Integrative Star-Plot Area)을 이용한 삽교천 수계 진단)

  • Kim, Ja-Hyun;Yeom, Dong-Hyuk;An, Kwang-Guk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3 no.3
    • /
    • pp.356-368
    • /
    • 2010
  • In this study, we applied approach of integrative star-plot area (SPA), chemical water quality and habitat conditions (QHEI) to diagnoze ecological conditions at the eight sampling sites of Sapkyo Stream. These outcomes were compared with biological health based on the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using fish assemblage. And then, we evaluated the integrative ecological health condition using the star-plot method. This approach based on the sum of all the star-plot areas over these water and habitat characteristics. It was developed to reflect an integrative assessment of the ecological health in the stream. The biological health, based on the model values of IBI indicating "fair-poor" condition according to the criteria. Physical habitat health, based on the QHEI, averaged 123 indicating a "good-fair" condition. Also, chemical health, based on simply BOD values indicating "poor grade"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MEK). The SPA indicating that 50% of the all was impaired condition and the most sampling sites were downstream sites influenced by the point and non-point sources. Overall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ecological health impact was a combined effect of eutrophication and habitat degradations in the stream. The approach of SPA can be used as a tool to evaluate the integrative health of stream environment and to identify possible causes of observed effects.

이론적 Biodegradability를 토대로 한 토양 내 PAH의 Bioavailability 예측 방안

  • 류혜림;남경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9a
    • /
    • pp.266-268
    • /
    • 2004
  • 대부분의 유기물은 토양의 특성에 따라 그 흡착 및 탈착 양상이 다르며 이는 오염물질의 토양에서의 지속성 및 이동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유기오염물인 PAH(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에 대하여 흡착 및 탈착과 오염물질의 미생물 분해 등을 통한 제거 기작과의 연관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PAH의 이론적인 미생물분해반응식은 열역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반쪽반응방법을 사용하여 예측할 수 있다. 오염물과 토양의 특성에 따른 흡착 및 탈착 양상을 파악하고, 앞에서 구한 미생물 분해반응식을 이용하여 이론적 분해량을 예측하면 오염물의 생물학적 이용성과 노출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토양의 여러 특성을 분석한 후, PAH의 미생물 분해량 및 분해율을 측정하고자 한다. 실험을 통하여 실제 토양에서 측정된 PAH 분해량과 위의 이론적 분해량 예측 결과 사이의 관계를 토양의 특성을 이용하여 설명할 수 있으며 나아가 오염물질의 생물학적이용성에 관하여 개략적으로 일반화된 예측 모형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토양과 유기오염물질, 미생물간의 상호 작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보다 실질적인 유기오염물의 생물학적 이용성을 예측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Correlation betwee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biological half-life of triazole fungicides in perilla leaf (들깻잎에서 Triazole계 살균제의 생물학적 반감기와 물리화학적 특성과의 상관관계)

  • Lee, Sang-Hyeob;Kwak, Se-Yeon;Hwang, Jeong-In;Kim, Hyo-Jung;Kim, Tae-Hwa;Kim, Jang-Eok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62 no.4
    • /
    • pp.407-415
    • /
    • 2019
  • The biological half-life of pesticides applied on crops is the key indicator for ensuring the safety of agricultural products. The biological half-life is affected by the several factors like growing conditions of the crop, climate, application method,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esticides. In this study, the biological half-life was calculated and the degradation rates of six triazole fungicides sprayed on perilla leaves were evaluated. Moreover, the statistical analysis confirm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biological half-life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ix triazole pesticides. The recoveries of the six pesticides were between 84.8-104.9%, which satisfied the residual pesticide analysis criteria. The biological half-life of six pesticides sprayed on perilla leaves, calculated using the first-order kinetics model, ranged between 6.4-15.1 days. When the biological half-life a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correlated using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Ka and Log P, the biological half-life was found to be affected by PC1.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biological half-life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pKa), calculated by Spearman rank-order correlation, was R2 = -0.928 (p <0.01). Biological half-life has been shown to correlate with pKa. In conclusion, it can be used as a database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biological half-life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will contribute to ensure safe supply of agricultural products.

Biotreatment Technologies for Air Pollution Control (생물학적 처리기술을 이용한 대기오염 제어)

  • Won, Yang-Soo
    • Clean Technology
    • /
    • v.13 no.1 s.36
    • /
    • pp.1-15
    • /
    • 2007
  • Biological treatment is a relatively recent air pollution control technology in which off-gases containing biodegradable odors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are vented through microbes. It is a promising alternative to conventional air pollution control methods. Bioreactors for air pollution control have found most of their success in the treatment of dilute and high flow waste air streams containing VOCs and odor compounds. They offer several advantages over traditional technologies such as incineration or adsorption. These include lower treatment costs, absence of formation of secondary pollutants, no spent chemicals, low energy demand and low temperature treatment. The three most widely used technologies are described, namely biofiltration, biotrickling filtration, bioscrubbing. The most widely used bioreactor for air pollution control is biofilter, but it has several limitations. In the past years major progress has been accomplished in the development of vapor phase bioreaction systems, for solving problems of biofilter. Biotrickling filters are more complex than biofilters, but are usually more effective, especially for the treatment of compounds which are difficult to degrade or compounds that generate acidic by-products. This, paper reviews fundamental and theoretical/practical aspect of air pollution control in biofilter, biotrickling filter and bioscrubber, focusing more extensively on biotrickling filtration. Special emphasis is given to the operating parameter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performance for air pollution control, and cost estimation in biotreatment technologies.

  • PDF

작업환경을 위한 TVL의 근거 - pentachloronitrobenzene(1)

  • Kim, Chi-Nyeon
    • 월간산업보건
    • /
    • s.258
    • /
    • pp.11-14
    • /
    • 2009
  • 살균제인 pentachloronitrobenzene(PCNB)의 직업적 노출을 위한 TLV-TWA를 0.5 mg/$m^3$으로 권고하였다. 이 수준은 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수준이다 피부자극과 피부 흡수에 관한 것은 증명되지 않았다. PCNB에 대한 발암가능성을 흰쥐와 생쥐를 대상으로 생물학적 검정을 한 결과, 생쥐에서 양성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생물학적 검정에 사용한 PCNB가 공업용이었고 불순물로 포함된 hexachlorobenzene에 의해 암이 유발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FCNB 물질은 발암성 유발 인자(A4;Not Classifiable as a Human Carcinogen)로 권고하였다. PCNB의 Skin, SEN notation, TLV-STEL에 관한 정보는 충분한 데이터가 확보되지 않아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

  • PDF

토양 중 디젤 성분의 생분해에 있어서 mass-transfer 영향

  • 조한나;염익태;박주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9a
    • /
    • pp.203-206
    • /
    • 2002
  • 토양 오염의 주된 원인인 디젤은 휘발성과 용해도가 낮아 생물학적 처리법이 많이 이용된다. 생물학적 처리에서 Bioavailability 는 생분해의 속도에 영향을 미치며 유효성평가에 있어 중요하다. 디젤로 오염된 토양의 생분해 특성 및 Bioavailability를 평가하기 위하여 생분해 실험과 mass transfer 실험을 수행하였다. 생분해 속도와 mass transfer 속도의 비교를 통해 생분해 초기에는 mass transfer에 의해 그 속도가 부분적으로 제한을 받으나, 일정시간 후에는 mass transfer 속도에 의해 생분해 속도가 결정되어짐을 알 수 있었다. Multi -component 인 디젤 성분에서의 mass transfer 의 영향을 알기 위해 각 성분별에 따라 조사한 결과, linear H.C 성분과 고 휘발성 성분은 생분해 속도가 초기에는 mass transfer 에 의해 부분적으로 제한되고 후에 mass transfer 에 의해 결정되어지나, tracked H.C 성분과 저휘발성 성분은 전체적으로 mass transfer 에 의해 생분해 속도가 제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