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물학적모니터링

Search Result 214,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Ecotoxicological Biomonitoring at Different Levels of Biological Organization and Its Application in Chironomus spp. (다단계 생체지표를 이용한 생태독성 모니터링과 Chironomus spp.에의 적용)

  • Choi Jinhee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v.20 no.1
    • /
    • pp.1-11
    • /
    • 2005
  • 환경오염의 조기 경보 시스템으로 생체지표를 이용한 생태독성 모니터링이 최근 널리 연구되고 있다. 환경내의 생물종에서 측정한 생체지표를 이용한 환경 모니터링은 생태계 수준의 영향에 대한 예측 정보를 제공해 줄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생체지표와 개체군 수준에서의 반응과의 인과관계가 밝혀져야 한다. 오염물질에 대한 생체의 반응은 분자, 세포, 생화학, 생리적, 개체, 개체군, 군집 수준에서 나타나게 되며, 이러한 각 단계별 반응은 반응 시간의 규모와 독성학적, 생태적 관련성에 따라 구분 지어 볼 수 있다. 각 개별 수준에서의 반응을 종합하면 오염물질에 노출된 생체의 전제적인 영향을 이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개체군에서 나타나는 영향에 대한 인과관계를 추론할 수 있다. 생체지표와 개체군 수준의 반응과의 인과관계 정립은 효율적인 환경오염 예방기능 수행에 필수적인 과정이며, 다단계 생체 지표는 각 단계별 반응의 인과관계를 밝히기 위해 가장 적절한 접근 방법이다. 수서 무척추 생물인 Chironomus의 유충은 이러한 다단계 바이오마커 연구에 매우 적절한 생물학적 모델이다. 이 논문의 첫 번째 부분은 생체지표를 이용한 환경 모니터링을, 두 번째 부분은 Chironomus의 유충에서 생체지표의 적용에 대해서 다룬다.

Flow Injection Analysis for On-line Monitoring of Trehalose in Fermentation Processes (발효공정에서 트레할로스의 온라인 모니터링을 위한 흐름주입분석)

  • Han, Kyung-Ah;Rhee, Jong-Il
    • KSBB Journal
    • /
    • v.22 no.2
    • /
    • pp.84-90
    • /
    • 2007
  • Trehalose is non-reducing disaccharide which is found in bacteria, fungi, plants and insects. Trehalose has been determined by several analysis methods. To monitor the concentrations of trehalose in a process, enzymatic methods have more advantage over others, e.g. more specific. In this work, trehalase was immobilized on VA-epoxy polymer and applied to FIA systems. The behaviours of these FIA systems were characterized and used to monitor the trehalose concentrations. Use of optical detection technique was chosen for trehalose-FIA system. On-line monitoring data and off-line data were measured by HPLC.

Modeling the soil moisture of street trees using RZWQM (RZWQM을 활용한 가로수 토양수분 모델링)

  • Jeong, Kieun;Hong, Eunmi;Yang, Jae E;Kim, Hyuck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89-489
    • /
    • 2022
  • 도시의 가로수들이 열악한 부지 조건과 적절하지 않은 가로수 관리로 인해 죽는 현상이 몇몇 도시에서 발생하고 있다. 열악한 부지 조건과 적절하지 않은 가로수 관리에는 생물학적·기상학적으로 많은 요소들이 있고, 그 밖에 도시 설계로 인한 요인들로 다양하다. 그중 연구지역인 춘천시에서는 가로수가 죽는 원인 중 토양수분이 가장 큰 원인일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토양수분 분포의 시간적 공간적 특성들은 증발, 침투, 지하수 함량, 토양 침식, 식생 분포 등을 지배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토양수분 연구는 물순환과정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과정이다. 하지만 토양수분 분석은 중요성에 비해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특히 가로수 토양수분에 대해서는 연구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가로수 토양수분 모니터링을 실시하였고, 장기적인 가로수 관리를 위해 모델링을 하였다. 모델링 기초자료 확보를 위한 토양수분 모니터링은 춘천시의 가로수 중 세 군데를 선정해 각각 10, 20, 30 cm에 센서를 설치하였다. 이를 통해 약 1년간의 토양수분 함량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모니터링 지점의 토양을 샘플링 후 분석하여 물리, 화학, 생물성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모델링은 RZWQM(Root Zone Water Quality Model)을 이용하여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모델링 결과를 활용해 가로수 및 도시 표토 기능을 위협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 PDF

간헐식 폭기에의한 활성슬러지의 활성 모니터링

  • Park, Sun-Eung;Heo, Won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1.11a
    • /
    • pp.558-559
    • /
    • 2001
  • 생물학적 폐수처리 (biological treatment)의 슬러지의 활성도 측정을 위하여 슬러지의 대사 열을 측정하는 장치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슬러지의 활성을 측정하는 호흡계와 같이 간헐식으로 폭기와 침전을 반복하연서 슬러지의 대사열의 monitoring 을 통하여 슬러지의 활 성진단올 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