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물자원

Search Result 2,032,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환경칼럼 - 21세기 생물다양성 보전의 중심이 되겠습니다

  • Kim, Sang-Bae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s.411
    • /
    • pp.2-3
    • /
    • 2014
  • 국립생물자원관은 생물산업 육성을 위한 생물자원 활용 기반을 구축하였으며 생물자원 중요성에 대한 인식제고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또한 국가 생물자원 체계화, 멸종위기 야생생물 보호 등 한반도 자생 생물자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유전자원의 접근과 이익공유 체계를 구축하고 생물다양성 관련 국제논의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 PDF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Usefulness of Biological Resources (생물자원의 유용성 평가 기준 개발)

  • Lee, Hyun-Woo;Kim, Dong-Wook;Won, Hyo-Sig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12 no.4
    • /
    • pp.3-21
    • /
    • 2013
  •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usefulness of biological resourc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sers from various angles and after taking these factors into consideration, provide policy implication and scientific criteria for judging and choosing useful biological resources. Among biological resources defined in CBD, the subject of the research was confined to the biological resource as a unit which can be actually used in benefit sharing and trade. Also, among diverse values of biological resources, the usefulness was assessed focusing on the utility value and scarcity. Usefulness was rated on a scale of 1 to 5 (5 grades). The rating was adjusted for the biological resources that need to be managed as a part of the management policy. It is expected that the criteria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the following: (1) the procurement of biological resources in the need for primary protection and management (2) the utilization of secured biological resources by analyzing their utility value and using them in biological resources industry (3) securement of sovereignty over biological resources, such as prior access permit under the Nagoya protocol, through management and protection of biological resources in Korea.

  • PDF

생물자원보전 종합대책

  • Yu, Tae-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hy Conference
    • /
    • 2006.09a
    • /
    • pp.39-44
    • /
    • 2006
  • 국제적으로 생물다양성 협약('92. 6) 및 생물다양성 협약총회('02. 4)에서 생물자원의 국가소유 권리 인정 후 생물주권 확보를 위한 국가 간 경쟁이 날로 치열해 지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10만종으로 추정되는 국내 생물종(種) 중 약 3만여종만 기록되어 있으며, 한반도 고유종도 2,322종만 문헌으로 확인되는 등 조사연구가 미흡한 상황에 있다. 또한 확보된 생물자원도 관리가 매우 미흡한 상태에 있다. 따라서 국가 생물자원 주권 확보 및 체계적인 생물자원 보전 관리를 위해 국가차원의 생물자원보전 종합대책을 수립하였다. 환경부는 동 종합대책을 통해 대한민국 영토에 분포 서식하고 있는 생물자원 정밀 탐색 조사를 통해 모든 생물의 표본을 수집 연구하여 자생생물의 총체를 확인하며, 자생생물의 분류분포생태 정보를 종합 정리한 한반도 생물지를 발간할 예정이다. 자생생물의 DB 구축 등 과학적인 생물자원 관리체계를 확립하고, 생물자원의 국외반출 관리를 강화할 예정이며, 생물분류 전문인력 육성, 권역별 생물자원과 설립, 생물자원 보전 연구시설 지원 등 생물자원 관리 인프라 구축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최근 급증하는 야생동물 질병(SARS, 조류독감 등)에 대한 조사 연구를 실시하며, 야생동물 구조 치료센터를 시 도별로 설립할 예정이며, 외래종의 관리를 더욱 강화하고, 멸종위기종의 보호복원을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동 종합대책은 생물자원 조사발굴 분야의 11개 과제, 생물자원보전 관리체계 확립 분야의 11개 과제, 생물자원보전 추진체계 구축 분야의 6개 과제 등 총 3개 분야 28개 세부추진과제로 구성되어 있다. 동 대책은 2013년까지 국비 2,960억원, 지방비 1,800억원 등 총 4,760억을 투자할 계획이다. 곳도 많아 온난화조건에서도 지역별 정밀기후 추정과 이에 근거한 최적품종의 선택, 이앙기 및 수확기 등 생육기간의 조절이 온난화 대응기술로서 유효할 것으로 기대된다.결과를 분석한 데이터를 차기 메일 발송에 꾸준히 적용함으로써 성공적인 이메일 마케팅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여 수평적인 의견도출과 각자 역할의 확대 및 변화를 시도할 수 있는 제작흐름이 되도록 고안된 제작구조이다.성을 환기시켜 객관적이고 비판적인 의식을 환기시키는 브레히트의 '소격화'의 효과가 소비자의 관심을 환기시켜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려는 광고에 효율적으로 적용된 예 인 것이다. 재미, 기타 독특한 체험을 통해 소비자에게 유희라는 쾌락적 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고도로 통계적 유의차(p<0.001)가 있었다. 즐기는 음료로는 ${\ulcorner}$콜라${\lrcorner}$가 가장 많았으며(46.8%), 그 다음은 사이다, 주스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남 여 대학생간에는 유의성있는 차이는 없었다. 음식의 먹는 시기는 점심과 저녁사이의 ${\ulcorner}$간식${\lrcorner}$이 가장 많았으며(42.2%), 남 여 대학생간에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패스트푸드는 많은 사람들이 ${\ulcorner}$${\lrcorner}$이 좋기 때문에 이용하며(62.8%), 남 여 대학생간에는 통계적 유의성(p<0.05)이 인정되었다. 5. ${\ulcorner}$입맛의 서구화(36.4%)와 외식을 선호(29.1%)${\lrcorner}$ 하기 때문에 패스트푸드를 이용하게 된 것으로 응답 하였으며, 남 여 대학생간에

  • PDF

Physical Geographical Background of Geotourism Resources in Gumho River Basin (금호분지 내 지리관광자원의 자연지리학적 배경)

  • Son, Myoung-W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2 no.2
    • /
    • pp.202-214
    • /
    • 2006
  • In this paper Gumho drainage basin is divided into six geomorphic units (Bohyeon, Palgong, Biseul mountainous areas and Yeongcheon, Gyeongsan, Daegu basin), and physical geographical background and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geotourism resources in each geomorphic unit are examined. Most(32 sites, 78%) of geotourism resources in Gumho basin reflect geomorphological environment, rest(7 sites, 17%) of them reflect geological environment. There are three geomorphological resources in Bohyeon mountainous areas, eight geomorphological resources in Palgong mountainous areas, and five geomorphological resources and one cultural resource in Biseul mountainous areas. There are two geomorphological resources, one geological resource, one biological resource, and two cultural resources in Yeongcheon basin. Among them one biological resource and and one cultural resource reflect local geomorphological environment. In Gyeongsan basin are there one geomorphological resource, three geological resources, and one biological resource, but one biological resource reflects local geomorphological environment. There are eight geomorphological resources, two geological resources, and three biological resources in Daegu basin. But two biological resources among them reflect local geomorphological environment.

  • PDF

환경칼럼 - 담수생물자원은 미래의 국가자산이다

  • An, Yeong-Hui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s.419
    • /
    • pp.2-4
    • /
    • 2015
  • 육상생물자원이 연구 및 활용의 대상이었다면 가까운 장래에는 잠재적 개발가치가 큰 담수생물자원에 관심이 모아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수중생태계에 존재하는 수많은 담수생물이야말로 우리의 귀중한 자산이며 미래 번영의 필수 요소가 될 것이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담수생물자원을 연구하는 기관이며 앞으로 생물자원 연구의 선두에 서게 될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에 모든 분들의 격려와 뜨거운 성원을 부탁하는 바이다.

  • PDF

Type Specimens of Vascular Plants in the Herbarium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KB) of South Korea (국립생물자원관 관속식물 기준표본 소장현황)

  • Jang, Hyun-Do;Park, Jeong-Mi;Hyun, Chang-Woo;Lee, Byoung-Yoon;Ku, Youn-Bong;Noh, Tae-Kwo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31-31
    • /
    • 2019
  • 국립생물자원관 표본관(KB)에 소장된 관속식물 33종(94점)의 기준표본 정보에 대한 자료를 정리하고, 타 기관 또는 대학에서 국립생물자원관으로 기증된 기준표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정기준표본(holotype) 15점, 동기준표본(isotype) 57점, 종기준표본(paratype) 22점이 국립생물자원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서울대학교(SNU), 아주대학교(AJOU), 전북대학교(JNU), 충북대학교(CBU), 한국식물연구원(KPRI), 한림대학교(HHU)의 일부 기준표본이 국립생물자원관으로 새로이 이전되었다. 소장된 기준표본의 종조성은 양치식물 7분류군, 쌍자엽식물 22분류군, 단자엽식물 4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대표적인 속으로는 제주고사리삼속(한반도 고유속), 현호색속(7분류군)과 물부추속(4분류군) 등이 있다. 소장된 기준표본의 대표적인 명명자로는 김영동 교수, 박종욱 교수, 선병윤 교수, 오병운 교수, 최홍근 교수, 현진오 박사 등이 확인되었다. 국가별로는 28분류군이 한반도산이며, 미얀마와 캄보디아가 각각 2분류군, 라오스산이 1분류군으로 조사되었고, 이중 27분류군이 한반도 고유종으로 평가되었다.

  • PDF

Contracture Strategy for Network of Biological Resources Information of based GRM (GRM기반의 생물자원정보 네트워크 구축 방안)

  • 이계준;양진호;박형선;안부영;윤희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c
    • /
    • pp.148-150
    • /
    • 2002
  • 21세기는 생물자원을 이용한 산업이 많은 분야의 발전을 이끌어 나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현재 많은 분야에서 생물자원의 보전과 활용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것은 생물자원부국이 앞으로의 선진 국가를 의미하는 것으로 자원이 부족한 국내 실정으로는 더욱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이를 해결해야만 하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 생물분야의 연구는 타 분야와는 다르게 지금까지 외면되어 왔기 때문에 정보화에 대한 마인드가 부족하여 대부분의 정보가 디지털화되어 운용되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운용되어지는 정보는 서로 표준화되지 못해서 정보의 재사용이나 공동활용이 부족한 실정이다. 정보로서의 가치를 가지기 위해서는 표준화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로의 가공을 거쳐 Real-Time 접근이 가능해야만 한다. 본 논문에서는 생물자원이 가지고 있는 정보의 운용을 효율적으로 구축하기 위하여 국내 생물자원 네트워크 구성, 생물자원정보 통합 방법, 표준화를 위한 DTD작성과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컴포넌트를 이용한 입력시스템 구축, 미디에이터 기법을 이용한 분산통합, GRM(Global Road Map) 작성을 통한 효율적인 정보의 접근이 가능한 시스템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 PDF

An Introduction of Management and Policy of Biological Resources (생물자원의 관리와 정책)

  • Cho, Soon-Ro;Seol, Sung-Soo;Park, Jung-Min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1 no.2
    • /
    • pp.219-240
    • /
    • 2008
  • This paper aims to suggest a policy for biological resource based o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n biological resources. Biological resources are different from traditionally recognized viable organisms (Biodiversity) in ecosystems. Biological resources are culturable and replicable resources of living organisms such as tissues, cells and genes. Moreover, biological resources include human-derived biological materials. Biological resources is not simply a matter of science and technology. Biological resources should be dealt with as national resources. There are many international issues regarding biological resources, such a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PRs), safety on handling and distribution, material transfer agreements (MTAs) for mutual benefits and biological standards. Ethical debates are also being raised because biological resources are related with human-derived biological materials. Every nation has tendency to adopt its government policies to strengthen its sovereignty on biological resources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addition, international linkages are essential for providing enhanced worldwide accessibility to biological resources. Japan has shown several international initiatives in the field of biological resources. Korea has just begun to design appropriate policies for the use and R&D of biological resources.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the following needs: 1) policy at the national level beyond the interests of researchers, 2) inter-ministerial coordination across government ministries, 3) expansion of scope and size of each BRC (Biological Resource Centers), and 4) building networks and systems such as national information center, representative centers by field, and each BRC.

  • PDF

제주 특산 향토자원을 이용한 산업화 현황

  • Park, Su-Yeo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1.10a
    • /
    • pp.9-9
    • /
    • 2011
  • 제주지역은 8,000여종의 생물종다양성 자원을 가진 생물유전자원의 보고로 알려져 있으며, 종다양성자원을 활용한 산업개발 잠재력이 크다고 평가 받고 있다. 특히 아열대 생물자원에 대한 산업개발 가치는 매우 높다 할 수 있다. 현재, 제주지역 생물산업 분야 연구인력은 430여명, 연간 학 석 박사 졸업생은 600여 명으로 전문인력 배출면에서 양적으로는 풍부한 상황이며, 도내 생물산업 관련 연구기관은 45개로 양적으로는 적은 편이 아니나 질적인 측면에서는 기술혁신역량이 다소 부족 형편이다. 도내 생물산업체는 250여 개로 대부분 저부가가치 농수산물 단순가공 및 식품가공업이나, 최근에 향장품산업체를 포함하는 중견기업이 유치되고 있다. 특히, 지방산업기술 혁신을 통한 지역 산업간 기술 격차를 완화하여 광역경제권 실현을 앞당기고 지역 균형발전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한 사업으로 제주의 다양한 생물자원을 활용한 건강 뷰티 생물산업을 지역 특화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산업화 소재를 발굴하고 기술개발을 전담하는 연구기관이 절실하게 필요함에 따라 국가균형발전 및 지역산업기술 고도화를 위한 지식경제부의 지자체연구소육성사업계획으로 제주생물종다양성연구소가 설립되었으며, 본 연구소에서는 생물자원 정보 구축, 보존 관리 체계 확립으로 생물주권을 확보하고 1, 3차산업 중심의 산업구조를 개선 및 기업 유치 보육을 통한 건강 뷰티 생물산업 육성을 목표로 고용창출 및 균형발전에 이바지 하고 있다. 현재, 제주생물종다양성연구소는 (재)제주테크노파크 부설연구소로 통합 운영 중에 있으며, 제주 향토생물자원 산업화 거점 연구기관으로서 제주자생식물 및 잉여 농수산물을 활용한 기능성 제품 개발 지원, 향토생물자원 발굴 및 고부가가치 산업 소재화 기술개발을 통해 향토산업 육성 등 지역 경제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소에서 수행 중인 제주 특산 향토자원을 이용한 산업화 현황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