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물자극제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32초

수엽(樹葉) 정유함량에 미치는 생물.화학적 (Induction Effect of Biotic and Chemical Elicitors Treatment for the Increase of Essential Oil Content from Trees)

  • 강하영;최인규;이성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8-12
    • /
    • 2002
  • 수목에 스트레스를 가하여 정유를 증수할 목적으로 화학적 스트레스 자극제 5종과 생물적 스트레스 자극제 4종을 선발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우선 정상적인 수목의 정유함량은 편백 2% 전후, 화백 1.6%, 소나무 0.4%, 잣나무 0.7%였으며, 상기 수종들은 모두 7월에 최대의 정유함량을 기록하였다. 또한 9종의 스트레스 자극제 처리 6개월 후 잎의 정유함량을 측정한 결과, 스트레스 자극제 처리에 의해 대체로 정류함량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자극제의 종류에 따라 변화가 없거나 또는 감소하는 경우도 있었다. 정유 증수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수종별 최적 스트레스 자극제로 소나무는 치마버섯(SCC), 잣나무는 과산화수소수, 편백은 치마버섯(SCC), 화백은 ${\beta}-pyridone$이 선발되었으며, 특히 과산화수소와 ${\beta}-pyridone$은 공시한 4수종에 광범위하게 효과를 나타내는 스트레스 자극제였다. 그러나 뽕나무버섯(ARM)과 소나무잔나비버섯(FOP)의 잣나무 처리군 및 치마버섯(SCC)의 화백 처리군에서는 오히려 정유함량을 감소시켰다.

가임신 흰쥐 자궁조직의 착상부위분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tiation of the Implantation Sites in the Pseudopregnant Rat Uterus)

  • 김성례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479-490
    • /
    • 1991
  • 포유류 배아의 착상기전을 규명할 목적의 일환으로 자궁내막조직의 탈락막 형성과 분화에 미치는 난소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영향과 인위적 자극등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가임신을 유도시킨 흰쥐와 정상임신군의 자궁내막조직을 착상부위와 비 착상부위로 분리하여 자궁내막조직의 분화에 지표가 되는 Alkaline phosphatase(ALPase)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가임신군에서 인위적 자극(trauma)을 가한 자궁이 자극을 받지않은(control) 자궁에 비해 Progesterone(P)만을, 또는 progesterone과 estradiol(E + P)을 동시 처리받은 실험군에서 ALPase 활성이 유의한 차이(p<0.01)로 높게 나타났다. 정상임신군에서는 착상시기인 임신 제6일군의 착상부위에서 I처리군과 P처리군의 ALPase활성이 비착상 부위에 비해 유의한 차이(P < 0.05)로 크게 나타나며, 특히 임신 제6일군에서는 착상, 비착상 부위의 P처리군의 활성이 Intact군보다 유의하게(P<0.05) 높아졌다. 정상임신 제 9일 Intact군의 ALPase활성은 임신 제3일, 6일의 Intact 군의 활성에 비하여 착상(3, 6일 :P<0.01), 비 착상부위 (3일 :P<0.05, 6일 :P<0.02)에서 다같이 유의한 차이로 높아졌다. 본 연구결과에서 배아가 분화, 발생해 감에따라 자궁내막조직 분화도 활발해지고, 착상부위 분화는 착상시기부터 현저해지며, 특히 P호르몬의 영향이 크다는 것과 배아 아닌 인위적 자극으로도 탈락막 형성 유도가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BE(2)-M17 및 BE(2)-C 신경모세포종에서 Corticotropin-Releasing Factor에 대한 신호전달자극들의 효과 (Effects of Various Stimuli on Corticotropin-Releasing Factor in the Human Neuroblastoma Clones)

  • 한진희;;이성필
    • 생물정신의학
    • /
    • 제2권2호
    • /
    • pp.252-256
    • /
    • 1995
  • Corticotropin-releasing factor(CRF)를 분비하는 배양세포주는 CRF의 세포내 조절을 연구하는데 있어 훌륭한 체계가 된다. BE(2)-M17 및 BE(2)-C 세포주는 CRF를 생산하고 분비하며 forskolin 처치에 반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이들 세포주에 phorbol 에스테르, 즉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TPA) 0.8, 4, 10, 20 nM, 및 nitric oxide(NO)의 신호전달 경로의 자극제(1-${\mu}M$ nitroprusside)와 차단제($1{\mu}M$ nitroprusside+$300{\mu}M$ $N^G$-methyl-D-arginine), 그리고 interleukin-$1{\alpha}$ (IL $1{\alpha}$ ; 4, 20, 100, 500 pM)를 처치하여 CRF를 의미있게 증가시켰으나 세포외 분비는 C 세포에서만 변화되었다. NOS계의 자극제와 차단제는 C 세포의 forskolin 효과를 의미있게 변화시켰다. IL$1{\alpha}$는 두 세포주에 대한 영향이 없었다. 상기 제제들에 대한 이들 세포의 반응이 중추신경계 CRF 신경들과 관련하여 논의되었다.

  • PDF

전기자극에 의한 알콜 산화효소의 활성도와 안정도연구 (Activity and Stability of Alcohol Oxidase from Hansenula sp. by Electrostimulation)

  • 이강민;김경숙;박충웅
    • 대한화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71-176
    • /
    • 2004
  • 전기자극에서 알콜 산화효소의 활성도와 안정도를 연구하였다. 알콜 산화효소의 활성도와 안정도는 전기출력전압, 자극시간, 자극기간, 자극간격에 따라 달라진다. 전기자극에 의하여 비활성화 효소 활성도는 당, 중합체, 히드로젤과 같은 안정화 첨가제에 의하여 회복되었다. 이 효소에 전기자극을 40 V, 10분 주었을 때 완충용액에서는 활성도가 전혀 없었지만 10% 트레할로스 용액에서는 52%의 활성도를 유지하였다. 전기자극하에서 효소를 안정화시킬 수 있음은 효소를 생물공학과 의료공학에 널리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치료저항성 뚜렛장애를 가진 소아청소년에서 저빈도 반복적 경두개자기자극술의 효과 : 오픈 라벨 연구 (The Effect of Low-Frequency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on Treatment-Resistant Tourette's Syndrome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 An Open-Label Study)

  • 이영지;채진혁;서완석
    • 생물치료정신의학
    • /
    • 제24권3호
    • /
    • pp.239-246
    • /
    • 2018
  • 목 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료저항성 뚜렛장애를 가진 소아 청소년들에 대해서 보조운동영역을 표적으로 한 저빈도 반복적 경두개자기자극술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방 법 : 이 연구는 미국정신의학회 진단기준 및 통계편람, 제 4판을 기준으로 뚜렛장애로 진단받은 10명의 소아 청소년(평균연령 $12.56{\pm}1.04$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참가자들은 1년 이상 지속적으로 충분한 용량의 약물치료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한국판 예일 틱 증상 평가척도(YGTSS) 20점 이상, 임상인상척도(CGI-TS) 4점 이상을 받았다. 참가자들은 보조운동영역을 표적으로 1 Hz 반복적 경두개자기자극 치료를 매일 20분간 받았으며, 총 20회 치료를 받았다. YGTSS, CGI-TS 및 이상반응 체크리스트는 연구 시작 전과 연구 시작 후 4, 8, 12주에 시행되었다. 결 과 : 틱 증상은 연구 12주차까지 호전된 상태로 지속되었으며, YGTSS와 CGI-TS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특히 음성 틱 점수의 감소가 운동 틱 점수의 변화보다 전체 YGTSS 점수의 감소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체 10명의 참가자 중 9명이 심각한 부작용 없이 연구를 끝까지 완료하였다. 결 론 : 본 연구는 보조운동영역을 표적으로 한 저빈도 반복적 경두개자기자극술이 치료 저항성 뚜렛장애를 가진 소아 청소년들에게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도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반복적 경두개자기자극술의 치료효과를 확정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잘 통제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Basil 양액재배시 양액내 Se첨가가 저장수명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enium on Basil (Ocimum basilicum) Shelf Life and Internal Quality During Storage)

  • 박권우;김민순;강호민;이문정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9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논문발표요지
    • /
    • pp.100-103
    • /
    • 1999
  • 열대 인도 지방이 원산지인 바실(Ociumu builicum L.)은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작물로 전세계적으로 재배, 이용되고 있다 향을 함유한 잎은 생체 또는 건물로 과자나 음료 등에 향을 가미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통적으로 바실은 구풍제, 자극제, 진정제의 특성으로 민간요법에 이용되었다. 바실의 정유는 식품산업과 화장품에 이용되며 항균 효과도 지닌다. (중략)

  • PDF

작업환경을 위한 TVL의 근거 - pentachloronitrobenzene(1)

  • 김치년
    • 월간산업보건
    • /
    • 통권258호
    • /
    • pp.11-14
    • /
    • 2009
  • 살균제인 pentachloronitrobenzene(PCNB)의 직업적 노출을 위한 TLV-TWA를 0.5 mg/$m^3$으로 권고하였다. 이 수준은 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수준이다 피부자극과 피부 흡수에 관한 것은 증명되지 않았다. PCNB에 대한 발암가능성을 흰쥐와 생쥐를 대상으로 생물학적 검정을 한 결과, 생쥐에서 양성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생물학적 검정에 사용한 PCNB가 공업용이었고 불순물로 포함된 hexachlorobenzene에 의해 암이 유발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FCNB 물질은 발암성 유발 인자(A4;Not Classifiable as a Human Carcinogen)로 권고하였다. PCNB의 Skin, SEN notation, TLV-STEL에 관한 정보는 충분한 데이터가 확보되지 않아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

  • PDF

전기자극 하에서 알콜 산화효소의 안정화연구; 당, 히드로젤, 계면활성제 효과 (Stabilization of Alcohol Oxidase under Electrostimulation; Sugars, Hydrogels and Surfactants Effect)

  • 김범수;이강민;;김경숙
    • KSBB Journal
    • /
    • 제21권6호
    • /
    • pp.456-460
    • /
    • 2006
  • 효소는 환경과 조건에 따라 상이한 활성도를 나타내며, 전기 자극에 의하여 비활성화된 알콜 산화효소는 당, 계면활성제, 히드로젤 들에 의하여 안정화되었다. 이들 효소는 trehalose, TritonX-100, Brij에서 보다 안정하였으며, 이들 효소의 안정도는 Hansenula sp., P. pastoris, C. boidinii에서 분리된 효소가 순서적으로 보다 안정하였다. 전기자극하에서 효소의 안정화에 대한 이 연구는 생물공학, 단백질공학, 의료공학 분야에 널리 이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화장품용 천연계면활성제의 제조 및 이용 최신기술 (Manufacturing and Application of Natural Surfactants for Cosmetics)

  • 김형원
    • 접착 및 계면
    • /
    • 제14권4호
    • /
    • pp.197-211
    • /
    • 2013
  • 계면활성제는 상간의 경계면 활성화를 통한 표면장력의 강하능력을 가져 모든 세제(detergents)와 화장품(cosmetics)에 사용되는 필수 주원료이다. 합성세제란 석유화학계의 EO (ethylene oxide), LAB (linear alkylbenzene) 등의 합성계면활성제로 제조한 제품으로 이는 난분해성으로 지구환경, 특히 하천과 강물오염의 주범으로 생태계파괴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는 또한 분자가 작아 침투력이 강해 피부를 자극하여 아토피피부염을 유발하고 모세관을 통해 기관으로 들어가면 암을 유발할 수도 있다. 최근 합성계면활성제를 대체할 수 있는 양친매성의 생분해성 친환경 및 무자극의 다기능성물질로서 천연 계면활성제 또는 생합성의 생물 계면활성제(biosurfactants)의 개발에 국제적인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코코넛 오일로부터 유래된 당계 비이온 계면활성제 합성 및 계면 특성 연구 (Synthesis of Saccharide Nonionic Biosurfactants from Coconut Oil and Characterization of Their Interfacial Properties)

  • 조선희;이예진;박기호;임종주
    • 공업화학
    • /
    • 제30권4호
    • /
    • pp.435-44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코코넛 오일을 원료로 사용하여 2종의 비이온 당계 생체계면활성제 GP-6 및 GP-7을 합성하였으며, FT-IR, $^1H-NMR$$^{13}C-NMR$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구조를 규명하였다. 합성한 계면활성제에 대하여 임계 마이셀 농도, 정적 및 동적 표면장력, 계면장력, 유화 작용, 습윤성 및 거품 안정성 등과 같은 계면 물성을 측정한 결과, GP-6 및 GP-7 모두 우수한 계면 특성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Terg-o-tometer를 사용하여 평가한 세척력 측정 결과에 의하면 GP-6 및 GP-7 모두 세제 제품에서 사용되는 기존 계면활성제들과 비교하여 양호한 세척력을 나타내었다. 생분해성, 급성 경구 독성, 급성 피부 자극 및 급성 안자극 검사 결과, GP-6 및 GP-7 모두 저 독성, 저자극성 및 우수한 환경친화성을 가지고 있어서 세제 제품에 적용 가능함을 나타냈으며, 특히 GP-6가 GP-7보다 계면활성이 우수하고 저자극성이고 쉽게 생분해 될 수 있기 때문에 세제 제조에 더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