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물위협

Search Result 14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환경칼럼 - 인간과 생물의 아름다운 공존을 위하여

  • Kim, Sang-Hun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s.412
    • /
    • pp.2-4
    • /
    • 2014
  • 인간의 생물 서식지 파괴, 환경오염, 외래종 도입 등은 지구 곳곳에서 생물종의 멸종을 야기하며 생물다양성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면 생태계 자체의 파괴는 물론이고, 궁극적으로 인간의 생존 기반을 위협하게 된다. 국제사회는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지속 가능한 이용을 위해 올 9월 대한민국에 모인다.

  • PDF

기간채소의 국제경쟁력 제고방안

  • 서효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2.11a
    • /
    • pp.3-21
    • /
    • 2002
  • 우리나라의 채소산업은 최근에 들어 심각한 위기를 겪고 있다. 국내적으로는 농업인구의 감소와 노령화로 인하여 각종 채소의 생산비는 급속히 상승하고 있으며 힘들고 정밀한 농작업을 하기 어려워짐에 따라 생산되는 채소류의 품질 관리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반면, 국제적으로는 중국이 WTO에 가입하여 우리나라의 채소산업 생산기반을 크게 위협하고 있다. (중략)

  • PDF

Analysis of Carbon Dioxide Exchange and Toxic Gas Behavior in the Urban-Type Plant Factory System (도시형 식물공장 시스템의 탄산가스 변화 및 유해가스 거동분석)

  • 박종석;손정익;박한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8.10a
    • /
    • pp.69-72
    • /
    • 1998
  • 도시환경은 다양한 형태로 발생되는 공해로 인해 악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은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며, 도시뿐 아니라 주변지역으로의 환경파괴를 가속시키고 있다. 도시 내에서 발생하는 탄산가스, 폐열 등의 인간에게 유해한 물질을 농업으로 전환시켜 농업생산에 이용하는 것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도시내의 잉여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식물을 생산하고 식물재배공간으로부터 나오는 신선한 공기를 인간이 이용하는 도시형 식물공장의 개념은 환경과 생산의 두 가지 측면을 가지고 있다. (중략)

  • PDF

Prediction of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Urban-type Plant Factory System (도시형 식물공장에서의 탄산가스 농도 예측)

  • 손정익;박종석;박한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8.10a
    • /
    • pp.66-68
    • /
    • 1998
  • 도시환경은 가양한 형태로 발생되는 공해로 인하여 악화되고 있다. 각종 유해가스는 대기오염을 통해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으며, 도시 폐기물은 도시 및 주변지역으로의 환경파괴를 가속시키고 있다. 도시 내에서 방출되는 각종 에너지원을 식물공장을 통한 적정 작물생산에 적용시킬 수 있다면, 도시와 상호 보완적인 역할이 가능한 환경 보존형 도시농업이 가능하다. (중략)

  • PDF

Characteristics of Biological Agent and relavent case study (생물무기 특성과 사례연구)

  • Park, Minwoo;Kim, Hwami;Choi, Yeonhwa;Kim, Jusim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3 no.4
    • /
    • pp.442-454
    • /
    • 2017
  • Biological weapon is manipulated and produced from microorganisms such as bacteria, virus, rickettsia, fungi etc. It is classified as one of the Weapons of Mass Destruction (WMD) along with chemical weapon and radiological weapon. Biological weapon has a number of operational advantages over the other WMDs including ease of development and production, low cost and possibility of covert dissemination.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history of biological weapon's development and the existing biological threats. Then, we predict the social impact of biological attack based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biological agent and infection mechanisms. By analyzing the recognition, dispersion pattern of agents, characteristics of the diseases in the biological weapon related historical events such as Sverdlovsk anthrax accident, 2001 anthrax attack, we found out some of the facts that biological attack would not likely to be recognized rapidly, produce large number of the exposed, increase number of paients who suffed from severe respiratory illness. It would lead the public health and medical service providers to be struggled with hugh burden. Base on the facts that we found from this case study, we suggested the main capabilities of public health required to respond to bioterrorism event efficiently. Syndromic surveillance and other reporting system need to be operated effeciently so that any suspicious event should be detected promptly. the pathogen which suspected to be used should be identified through laboratory diagnostic system. It is critical for the public health agency to define potentially exposed population under close cooperation with law enforcement agencies. Lastly, massive prophylaxis should be provided rapidly to the people at need by operating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effeciently. If those capacities of public health are consistantly fortified we would be able to deal with threat of bioterrorism successfully.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and Evaluation of the Population Sustainability, Factors Related to Vulnerability for a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층층둥굴레(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의 분포특성과 개체군의 위협요인 및 지속가능성 평가)

  • Kim, Young-Chul;Chae, Hyun-Hee;Ahn, Won-Gyeong;Lee, Kyu-Song;Nam, Gi-Heum;Kwak, Myoung-Hai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3 no.3
    • /
    • pp.303-320
    • /
    • 2019
  • Plants interact with various biotic and abiotic environmental factors. It requires much information to understand the traits of a plant species. A shortage of information would restrict the assessment, especially in the evaluation of what kind of factors influence a plant species to face extinction.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is one of the northern plants of which Korea is the southern distribution edge.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had designated it to be the endangered species until December 2015. Although it is comparatively widespread, and a large population has recently been reported, it is assessed to be vulnerable due to the low population genetic diversity. This study evaluated the current distribution of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We investigated the vegetational environment, population structures, phenology, soil environment, and self-incompatibility based on the results. Lastly, we evaluated the current threats observed in the habitats. The habitats tended to be located in the areas where the masses at the edge of the stream accumulated except for those that were located on slopes of some mountainous areas. Most of them showed a stable population structure and had re-established or recruited seedlings.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had the difference in time when the shoots appeared above the ground depending on the depth of the rhizome located in the underground. In particular, the seedlings and juveniles had their rhizome located shallow in the soil. Visits by pollinator insects and success in pollination were crucial factors for bearing of fruits by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The threats observed in the habitat of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included the expansion of cultivated land, construction of new buildings, and construction of river banks and roads. Despite such observed risk factors, it is not likely that there would be rapid population reduction or extinction because of its widespread distribution with the total population of more than 2.7 million individuals and the new populations established by the re-colonization.

Republic of Korea's Position on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 Digital Sequence Information and post-2020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 - (생물다양성협약 대응 대한민국의 전략 - 디지털 염기서열 정보 및 2020년 이후 지구 생물다양성 보전 프레임워크 -)

  • Byoungyoon L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4-4
    • /
    • 2022
  • 앞으로 10년간 세계의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유엔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 총회가 2022년 12월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다. 전 세계 전문가와 정책입안자들이 여러 내용을 다루지만 그중에서도 염기서열 정보에 관한 내용을 집중적으로 소개한다. 우선 생물다양성협약에서의 이익공유에 관한 내용은 북아시아 원산인 콩을 현재 대량으로 재배하고 수확하고 있는 미국, 브라질 등의 사례를 선별하여 소개한다. 이어서 생물다양성협약 체결 전후의 생물자원에 대한 인식 변화로 인해 국제적으로 합의한 나고야 의정서의 주요 핵심 내용을 발표한다. 그러나, 최근의 합성생물학은 유전정보만을 가지고 설계자의 의도대로 실물 생물자원 없이 새로운 생물과 원하는 물질을 합성할 수 있기에 국제적으로 마찰이 발생하고 있다. 유전공학과 합성생물학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유전정보를 생물다양성협약에서는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익을 어떻게 공유하는지 알아본다. 생물자원 이용 국가들은 유전정보는 물리적인 실체가 없기에 이익공유대상이 아님을 주장하면서 유전정보는 원하는 누구에게나 이용되어야 한다고 보고 있다. 반면 생물자원 풍부국 입장은 생명과학기술 발전으로 인해 원산지 국가의 허가 없이 생물 유전정보를 활용하는 것은 생물 주권의 침해로 보고 있으며, 유전정보를 실물 생물자원과 동일하게 취급하여 나고야 의정서상의 이익공유를 요구하고 있다. 유전정보에 대한 대한민국의 공식적인 입장과 제 14차 협약 총회에서 합의한 결정문을 소개한다. 또한, 2019년 생물다양성과학기구(IPBES)에서 지구의 생물다양성과 생태계를 평가한 보고서에서 생물 멸종의 위협요인으로 제시된 토지이용 변화, 남획, 기후변화, 오염, 외래종에 대한 문제점을 기반으로 작성된 post-2020 생물다양성협약 10개년 실행 목표를 알아보고 2022년 12월 개최하는 제15차 당사국총회의 주요 의제에 대한 전망과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공동의 그러나 차별적인 책임(CBDR, Common But Differentiated Responsibility)'의 개념을 소개한다.

  • PDF

Development of Problem-based learning module for Bioterrorism (생물테러재난안전교육을 위한 문제중심학습개발)

  • Kim, Jee-Hee;Moon, Tae-Young;Park, Jeong-Hy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774-777
    • /
    • 2009
  • 2001년 9 11 테러 이후 미국에서 탄저균을 이용한 생물테러가 발생한 이래 미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는 생물무기 및 생물테러에 대한 대응방안들이 준비되고 있다. 따라서 이런 대응방안과 더불어 생물무기를 쓰는 테러리스트의 행동과 위협에 대비를 할 필요가 있다. 생물테러 전염병은 치명률이 높고, 인간 상호간에 전염이 용이하며 치료하기가 어려우므로, 인명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보건의료기관 등에서 근무하는 보건의료인이 생물테러로 의심되는 병원체 및 전염병을 조기에 인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보건분야 전문가들은 환자나 일반 대중, 그리고 다른 보건전문가들에게 생물무기와 생물테러에 의해 퍼질 가능성이 있는 질병들에 대해 신중하게 대응할 수 있는 방법들을 교육해야 한다. 질병이 발생했을 때 보건전문가들은 조사에 착수할 역학자들과 협조를 해야 하고, 임상 또는 연구소에 일하는 보건전문가들은 생물무기로 사용될 수 있는 병원체나 생물무기를 생산하는데 사용되는 시설에 접근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도울 수 있다. 2005년 질병관리본부 생물테러대응팀에서는 의료인, 다중시설이용 근무자, 보건요원을 대상으로 생물테러 인식도를 조사한 바 있다. 조사결과, 의료인에 대한 생물테러 교육 및 교육훈련의 필요성에 대해 94.2%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이런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국내에서도 생물테러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미국, 영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생물테러 관련 교육에 대한 관련 자료와 사례를 문헌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에 맞는 생물테러 교육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 문제중심학습모듈을 개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Analysis of Discharge Variation considering Water Balance Method in Mountain Wetland (물수지 방법을 고려한 산지습지 유량변동 분석)

  • Oh, Seung Hyun;Kim, Jung Wook;Kim, Jae Geun;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74-174
    • /
    • 2017
  • 습지는 생산성이 높은 생태계이며 범람원, 수문저장, 오염원의 분해 및 침전의 기능과 동시에 동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인간의 복지에 매우 유용한 자연공간이다. 습지의 생태적, 수문학적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습지 내 유량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습지를 유지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유량 변동을 분석하여 유량 변동에 따른 습지 관리를 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산지습지는 주변과 고립되어 있어 외부의 위협에 민감하고, 특이하며 다양한 생물상이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어 생태학적 가치가 매우 크다. 특히 양산지역 산지에는 고산습지가 많아 멸종위기종, 천연기념물, 희귀동물이 살고 있는 청정지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야생생물이 분포하는 보전가치가 높은 산지습지인 경남 양산 장군습지를 대상으로 습지 내 유량 변동에 따른 습지 유지관리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습지유역으로 유입되는 물의 양과 유출되는 물의 양의 차이를 분석하는 물수지 방법을 적용하여 습지 내의 유량 변동을 분석하였다.

  • PDF

Management System of Invasive Alien Species Threating Biodiversity in Korea and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국내 생물다양성 위협 외래생물의 관리제도 및 개선방향)

  • Kim, Dong Eo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7 no.1
    • /
    • pp.33-55
    • /
    • 2018
  • It has been noted that the main cause of biodiversity loss is influx of alien species. Specifically, habitats destruction, economic loss, and human injury are increasing due to invasive alien species. There were 2,167 alien species in Korea. 21 alien species of extraterrestrials including Lycorma delicatula, Solenopsis invicta, Myocastor coypus, and Spartina alterniflora at high risk through ecological risk assessment, are designated as invasive alien species. Alert species, which may have negative impact on ecosystems when they are introduced into the country, are assigned to 127 species through the ecosystem risk evaluation. To list such alien species to prevent invasion of alien species in advance, and to minimize damage caused by imported alien species, a national level management system called the Conservation and Use of Biological deversity Act was established, but there is a lack of a systematic management system in accordance with degree of risk. There is also a risk assessment chart should be developed thatreflects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each taxon and evaluation criteria in predicting the ris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