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물계면활성제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27초

계면활성제 처리 농도가 무가온 플라스틱온실의 방적성, 환경 및 상추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rfactant Concentrations on Anti-waterdrop, Environment and Lettuce(Lactuca sativa L.) Growth in Polyethylene Film Greenhouse)

  • 전희;이혜은;염성현;김학주;이시영;남윤일;김경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95-199
    • /
    • 2003
  • 계면활성제(SF316+FB0800)가 처리된 폴리에틸렌 필름 시설에서 직경 9cm 원안의 필름 표면에 부착된 수적량은 무처리구에서 1.21 mL, 1% 처리구에서 0.15mL, 2% 처리구에서 0.07 mL가 측정되었다. 그러나 육안으로는 1%와 2% 처리구 사이에 차이를 관찰하기가 어려웠다. 수적량은 하루 중 오전 10시에 가장 많았고, 기온의 상승된 오후 2시에 적었다. 무처리구에 비하여 계면활성제 1%와 2% 처리구 사이에 차이를 관찰하기가 어려웠다. 수적량은 하루 중 오전 10시에 가장 많았고, 기온이 상승된 오후 2시에 적었다. 무처리구에 비하여 계면활성제 1%와 2% 처리구에서 투광율은 각각 9.3%, 12.9% 높았다. 기온과 습도는 계면활성제가 처리된 비닐하우스와 머처리 비닐하우스 사이에 뚜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오전의 기온은 계면활성제 처리 비닐하우스에서 1~2$^{\circ}C$ 정도 높았으며, 지온의 경우는 계면활성제 처리시설에서 3~4$^{\circ}C$ 정도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겨울철 상추의 생육은 계면활성제가 처리된 필름으로 피복된 비닐하우스에서 빨랐다. 그러나 계면활성제농도 1%와 2% 처리구 사이에는 뚜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In-Situ Flushing기법이 Endosulfan으로 오염된 토양의 생물학적 처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Situ flushing on the Bioremediation of Soil Contaminated with Endosulfan)

  • 전민하;최상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6권2호
    • /
    • pp.39-47
    • /
    • 2001
  • 회분식 세척실험에서 적용된 혼합계면활성제 중 $POE_5$ + $POE_14$, SDS+$POE_5$가 endosulfan의 탈착에 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성실험 결과 SDS+POE$_{5}$는 미생물의 활성을 다소 저해시키는 경향이 있어 $POE_5$ + $POE_14$ (1:1) 1%를 세척제로 선정하였다. In-Situ flushing 실험에서는 세척용액의 주입 flux가 1.5L/min/m$^2$일 때 67%의 제거효율을 얻을 수 있었으며, 보조용매로서 메탄올과 에탄올을 첨가한 경우에는 각각 75%와 81%의 제거효율을 보였다. In-situ flushing기법의 적용에 따른 농도 저감이 생물학적 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초기 농도 13mg/kg dry soil과 3mg/kg dry soil인 토양을 생물학적으로 처리한 결과 제거 효율은 각각 86% 및 81%였으며, 2가지 토양 모두 24시간 이후에는 미생물에 의한 작용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토양상에서 용액상으로의 물질전이 속도가 율속 단계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토양에 잔류하는 계면활성제가 생물학적 분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 잔류하는 계면활성제에 의해 물질전이 속도가 향상되어 생분해가 지속적으로 일어났으며 초기 농도 3mg/kg dry soil인 경우 120시간이 경과한 후 89%의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계면활성제와 보조용매가 동시에 잔류하는 경우에는 계면활성제에 대한 순응기간이 보다 길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메탄올과 에탄올의 경우 각각 84% 및 83%의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 PDF

생물 계면활성제를 생산하는 Pseudomonas sp. Z1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Biosurfactant Producing Pseudomonas sp. Z1)

  • 장동호;고은정;박경량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34-140
    • /
    • 2011
  • 대전일원의 유류오염 지역의 토양으로부터 원유를 단일 탄소원으로 이용하는 총 145균주를 순수분리 하였고, 이중 생물 계면활성제 생성능이 가장 우수한 한 균주를 최종 선별하여 형태 및 생리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16S rRNA 염기서열을 분석을 통하여 동정한 결과 Pseudomonas sp.로 확인되어 Pseudomonas sp. Z1이라 명명하였다. 최종 선별된 Pseudomonas sp. Z1은 클로람페니콜과 암피실린 등의 항생제와 리튬, 망간, 바륨 등의 중금속에 대해 강한 내성을 갖고 있었고, 최적 온도와 pH는 각각 $30^{\circ}C$와 pH 6.0-7.0으로 확인되었다. Pseudomonas sp. Z1이 생성하는 생물 계면활성제는 배양 10시간 이후부터 배양액의 표면장력이 급격히 감소해, 배양 21시간 후에 최대 28 dyne/cm까지 감소되었고, 2% 이상의 NaCl을 첨가한 경우 배양액의 생물계면활성제의 활성이 감소하였다.

코코넛 오일로부터 유래된 당계 비이온 계면활성제 합성 및 계면 특성 연구 (Synthesis of Saccharide Nonionic Biosurfactants from Coconut Oil and Characterization of Their Interfacial Properties)

  • 조선희;이예진;박기호;임종주
    • 공업화학
    • /
    • 제30권4호
    • /
    • pp.435-44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코코넛 오일을 원료로 사용하여 2종의 비이온 당계 생체계면활성제 GP-6 및 GP-7을 합성하였으며, FT-IR, $^1H-NMR$$^{13}C-NMR$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구조를 규명하였다. 합성한 계면활성제에 대하여 임계 마이셀 농도, 정적 및 동적 표면장력, 계면장력, 유화 작용, 습윤성 및 거품 안정성 등과 같은 계면 물성을 측정한 결과, GP-6 및 GP-7 모두 우수한 계면 특성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Terg-o-tometer를 사용하여 평가한 세척력 측정 결과에 의하면 GP-6 및 GP-7 모두 세제 제품에서 사용되는 기존 계면활성제들과 비교하여 양호한 세척력을 나타내었다. 생분해성, 급성 경구 독성, 급성 피부 자극 및 급성 안자극 검사 결과, GP-6 및 GP-7 모두 저 독성, 저자극성 및 우수한 환경친화성을 가지고 있어서 세제 제품에 적용 가능함을 나타냈으며, 특히 GP-6가 GP-7보다 계면활성이 우수하고 저자극성이고 쉽게 생분해 될 수 있기 때문에 세제 제조에 더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생물 계면활성제를 생산하는 Pseudomonas sp. G314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Biosurfactant Producing Pseudomonas sp. G314)

  • 심소희;박경량
    • 미생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86-293
    • /
    • 2006
  • 대전일원의 유류오염 지역의 토양으로부터 원유를 단일 탄소원으로 이용하는 총 322균주를 순수분리 하였고, 이중 생물 계면활성제(biosurfactant) 생성능이 가장 우수한 한 균주를 최종 선별하여 형태 및 생리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16S rRNA 염기서열을 분석을 통하여 동정한 결과 Pseudomonas sp.로 확인되어 Pseudomonas sp. G314라 명명하였다. 최종 선별된 Pseudomonas sp. G314는 암피실린, 클로람페니콜, 스펙티노마이신, 스트렙토마이신 등의 항생제와 Li, Cr, Mn 등의 중금속에 대해 강한 내성을 갖고 있었고, 최적 온도와 pH는 각각 $30^{\circ}C$와 pH 7.0으로 확인되었다. Pseudomonas sp. G314가 생성하는 생물 계면활성제의 초기 표면장력은 72 dyne/cm이었으나, 배양 7시간 후 부터는 표면장력이 최대 25 dyne/cm까지 감소되었다. Pseudomonas sp. G3l4가 생산하는 생물 계면활성제를 회수하고 농축하기 위해, 산 침전 후에 유기용매로 배양액을 추출하고 이를 감압농축하여 얻은 시료를 crude biosurfactant로 사용하여 CMC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간을 측정한 결과 20 mg/L로 확인되었다.

Rhodotorula glutinis K-501에 의해 생산된 세포외지질의 생체계면활성제로서 물리화학적 특성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Extracellular Lipid Produced by Rhodotorula glutinis K-501 as a Biosurfactant)

  • 박평규;채희정;김의용
    • KSBB Journal
    • /
    • 제13권1호
    • /
    • pp.65-70
    • /
    • 1998
  • 지질 생산 효모인 Rhodotorula glutinis K -501이 생산하는 세포외지질(extracellular lipid)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조사하여 생체 계면활성제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분석실험 결과 생산된 세포외지질은 당지질계 물질임을 알 수 있었다. 세포외지질의 임계미셀농도와 표면장력은 각각 89mg/L와 31dyne/cm로서 계면활성제로서 매우 우수한 표면활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넓은 범위의 pH에서 표면장력의 값은 일정하였다. 상용 계면활성제인 Tween 80과 Triton X-100에 비하여 세포외지질은 각각2-3배 높은 유화도와 1.3배 높은 분산력을 가지고 있었다.

  • PDF

계면 활성제 생산 미생물

  • 김상종
    • 미생물과산업
    • /
    • 제14권3호
    • /
    • pp.37-40
    • /
    • 1988
  • 미생물에 의해서 생성되는 계면 활성제는 매우 다양하며, 그 특성은 사용되는 기질과 배양조건 등에 따라 다르게 된다. 일반적으로 소수성 부분은 대부분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탄화수소 사슬이지만, 친수성 부분은 alcohol, ester등을 비롯하여 인산 또는 황산기와 같이 이온 그룹으로 구성되는 등 다양하다. 대부분의 biosurfactant는 생분해가 가능하며 독성이 없다. 따라서 오염문제를 야기하지 않으며 생물체에 적용가능한 장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미생물을 이용한 biosurfactant의 개발및 응용가능성은 매우 높다고 볼 수 있다.

  • PDF

3가 크롬 흡착 증진용 과불소 알킬유도체 제조 및 적용공정 개발 (Development of Perfluoroalkyl Derivative for $Cr^{3+}$ Adsorbent Promotion Process)

  • 신종섭;금창헌;윤종국;박일규
    • 청정기술
    • /
    • 제14권3호
    • /
    • pp.193-203
    • /
    • 2008
  • 피혁 제조 공정에서 계면활성제는 세정목적, 분산성 그리고 고착성 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피혁 공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계면활성제는 친수성기가 다량 포함되어 있어 향후 피혁 시장에서 요구될 것으로 기대되는 내오염성, 내수성, 내구성 통의 고기능성 특성을 재현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탄화수소 계열의 계면활성제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탄소-불소의 강한 결합에너지로 인한 표면장력 감소, 분산력 증대, 세정효과, 크롬 흡착력 증대 등의 특성을 나타내는 불소계 계면활성제를 제조하였다. 불소계 계면활성제의 사용으로 피혁 제조 공정의 분산성 증대, 침투력 상승 및 결합력을 향상시켜 크롬 흡착률 증가, 탄닝 폐수 배액의 크롬 함량 감소,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 화학적 산소 요구량의 함량 감소 및 물리적 특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