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리적 상태

Search Result 749,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Physiological Changes of Aging (노년기의 생리적 특성)

  • 이윤환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 /
    • v.4 no.2
    • /
    • pp.254-259
    • /
    • 1999
  • 노화는 모든 사람에게 공통적으로 일어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그러나 이에 따른 신체적인 변화는 각 개인에 따라, 그리고 한 개인 안에서조차 각종 장기별로 다양한 속도로 진행된다. 노년기의 생리적인 변화는 예비용량(reserve capacity)의 저하에 따라 외부의 스트레스에 대처하여 항상성을 유지하는 능력이 감소되어 나타나게 된다. 안정적 상태에서 기능수준에는 큰 변화가 없으나 활동상태의 기능 수준은 연령증가에 따라 상당히 저하되는 것을 보여준다. 노년기의 생리적 변화에 따라 직병에 대한 감수성은 증가하나 대다수의 만성퇴행성질환은 특정 병리현상에 의해 발생하며 노화가 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하지는 않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PDF

The Effects of Guided Imagery Activities Using Music on Mood States,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Psychiatric Inpatients (음악을 사용한 지시적 심상이 입원 정신질환자의 기분상태 및 생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 Cho, Hyun-joo;Moon, Ji-young
    • 재활복지
    • /
    • v.20 no.1
    • /
    • pp.113-130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guided imagery activities using music on both mood states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psychiatric inpatients.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sisted of 27 psychiatric patients participating in the guided imagery activities using music for 11 minutes. Also, the control group was formed with 27 psychiatric patients with non-musical intervention. Mood states, blood pressure, pulse and skin temperature were checked before and after session. We could see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 of five areas-tension, depression, anger, vigor, fatigue-showed most differences in score. Also, the score of skin temperature of both experimental group and between two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oo.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these results were showing that guided imagery activities using music w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method for altering mood state of psychiatric patients. Besides, it seemed to have physiological impact to make patients relax tension backed up by change of skin temperature.

Development of Psychophysiological Indices for Discrete Emotions (정서의 심리적.생리적 측정 및 지표개발: 기본정서 구분 모델)

  • 이경화;이임갑;손진훈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 no.2
    • /
    • pp.43-52
    • /
    • 1999
  • 정서는 생리적 반응을 수반하는 주관적인 경험이다. 뇌파와 자율신경계 반응의 차이에 의한 기본정서 구분 연구는 보고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1) 여섯 기본정서를 뚜렷하게 유발하는 정서자극을 선정하고, 이를 사용하여 2) 기본정서를 구분할 수 있는 심리생리적 복합 지표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국제정서사진체계에서 여섯 기본정서 (행복, 슬픔, 분노, 혐오, 공포, 놀람) 각각을 신뢰롭게 유발하는 여섯 쌍의 슬라이드를 선택하였다. 슬라이드 제시에 의하여 유발되는 뇌파, 심전도, 호흡, 피부전기반응을 기록하여 분석/비교하였다.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뇌파의 상태적 출현량, 심박률, 호흡률, 피부전도반응은 안정상태와 정서상태간의 비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뇌파분석결과에서는 theta (F4, 01), slow alpha (F3, F4), fast alpha (O2), fast beta (F4, O2)파의 상대적 출현량 변화값이 일부 정서들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자율신경계 분석결과에서는 심박률, 호흡률, 피부전도반응이 일부 정서들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들 결과를 토대로 기본정서를 특정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심리생리적 복합 지표 모델을 구성하였다. 네 기본정서 (공포, 혐오, 슬픔, 분노)는 뇌파와 자율신경계 반응패턴에 의한 구분이 가능하였으나, 행복과 놀람은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심리생리지표에 의한 최종 구분이 불가능하였다. 여섯 기본정서를 모두 구분할 수 있는 적절한 지표를 찾아내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PDF

The Effect of an Exercise Program on the Physical, Physiological and Emotional Status of the Aged (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신체적, 생리적, 정서적 상태에 미치는 영향)

  • Mun, Young-Hee
    • Research i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ursing
    • /
    • v.17 no.4
    • /
    • pp.451-460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exercise program on the physical, physiological, and emotional status of the aged. Method: This research adopt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46 elders aged over 60 who were selected from those registered at three local health centers in G City, and 27 of them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19 to the control group.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exercise program, and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physical status, physiological status, and emotional status. The exercise program was Performed for 60 minutes per time, 3 times a week and for 6 weeks.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to November, 2005. Resul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right lower extremity strength (F=46.119, p=.000), left lower extremity strength (F=53.265, p=.000) and waist flexibility (t=3.183, p=.003) as physical status, and in depression (t=-3.703, p=.001), perceived health status (t=4.821, p=.000), and self efficacy (t=3.866, p=.000) as emotional status.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ercise program was effective in promoting the physical status, physiological status, and emotional status of the aged.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apply the program as a nursing intervention in clinical practice and education in communities.

  • PDF

Iron and calcium status of women during lactation period by feeding form (수유기여성의 수유형태에 따른 철분과 칼슘영양상태)

  • 윤진숙;장희경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3.05a
    • /
    • pp.118-118
    • /
    • 2003
  • 수유기 여성은 임신과 출산이라는 신체적 생리적 변화과정을 겪은 대표적인 영양취약집단으로서, 수유기 여성의 영양상태는 본인의 건강회복뿐만 아니라 영유아의 영양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중요한 시기이다. 수유기 여성들에게 부족 되기 쉬운 철분과 칼슘영양상태를 수유형태별로 비교해 봄으로써 수유기여성의 영양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수유기여성 84명(모유영양군27명, 인공영양군 47명, 혼합영양군 10명), 비수유기여성 20명, 총 104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환경 및 특성, 식이조사, 체지방 측정, 혈액분석, 골밀도 측정을 실시하였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Analysis of Autonomous Nerve System Response for the Computational Task (연산 작업에 대한 자율 신경계의 반응에 대한 연구)

  • Ha, Eun-Ho;Park, Gwang-Hoon;Kim, Dong-Youn;Rim, Young-Hoon;Ko, Han-Woo;Kim, Dong-Su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3 no.1
    • /
    • pp.63-71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20대의 건강한 남자대학생 45명을 대상으로 작업조건(안정상태, 연산작업상태, 휴식상태, 반복연산작업상태, 연산작업후 아정상태)과 연산레벨(연산작업의 난이도)에 따른 생리신호의 측정을 위한 실험 프로토콜을 제안하고 측정된 생리신호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연산작업에 대하여 측정된 파라메터에 대하여 1) 정규분포화를 위한 파라메터의 변환 2) 파라메터간의 산관관계의 조사 3) 연산작업에 대한 파라메터의 표준화 4) 작업조건과 연산레벨에 대한 파라메터의 차이에 대한 유의성검정을 하여 연산스트레스를 평가할 수 있는 파라메터를 추출하였다. 연산작업시의 파라메터는 안정산태의 파라메터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어 연구에 사용된 연산작업이 생리신호의 변화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밝혀졌고 연산작업후의 휴식상태에서 측정된 대부분의 파라메터의 갓이 연산작업전의 안정상태의 파라메터의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어서 본 연구에 사용된 연산작업은 단기적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동일한 연산레벨에 대한 연산작업을 반복하더라도 파라메터의 값은 처음으로 연산작업을 할 때의 파라메터의 값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연산레벨에 따라서는 Heart Rate, HRV의 LF/HF, HRV의 MF/(LF+HF), Return Map의 분산, 코끝의 Mean Temperature, GSR-Mean과 호흡수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이들 파라메터를 사용하면 연산스트레스의 강도를 지수화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하우스 인접퇴비는 생리장해 원인

  • 정희돈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7 no.6
    • /
    • pp.62-72
    • /
    • 1986
  • 작물을 시설내에서 재배한다는 것은 재배환경을 외부와 인위적으로 차단한 상태에서 집약관리를 하는 것으로 뜻하지 않은 생리장해가 발생하기 쉽다. 일반적으로 생리장해의 발현증상은 자칫하면 병$\cdot$해충의 증상으로 오인하여 경제적 손실을 입기 쉬운데 겨울철 시설원예에서 발생하기 쉬운 생리장해의 원인과 대책에 대하여 알아본다.

  • PDF

신경의 전기적 모델화

  • 박상희;이명호
    • 전기의세계
    • /
    • v.24 no.5
    • /
    • pp.6-15
    • /
    • 1975
  • 본 고찰은 신경의 생리적 현상을 기능적 측면에서 아나로그 모델로 시뮬레이션 시켜가는 데 있어 모델화의 역사적 발달과정과 기존모델의 특성을 간략하게 요약하고 이들을 비교 검토한 것으로 초기의 모델화에 대한 철학적인 개념으로부터 TR, IC등의 전자부품을 사용한 최근의 모델에 이르기까지 많은 기존모델을 다루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역사적 발달과정에도 잘 나타난 것처럼 전기, 화학, 역학, 수학등 여러분야의 전문적 지식의 교환없이는 모델화의 정확성, 분석상의 신뢰도, 결과에 대한 보편성이 결여되기 쉽다. 2. 특히 생리적 특성 및 수학적인 면밀한 고찰과 분석이 요구되고 있다. 이는 모델의 특성 결과에 대한 디지탈 전자계산기를 이용한 통계적 처리와 시뮬레이션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임상에의 이용 가능성을 높여나가기 위해서이다. 3. 신경 전체에 대한 모델화에 앞서 신경의 구조별 모델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는 신경의 구조중 수상돌기 및 soma에서의 synaptic inputs에 대한 위치변화에 따른 synaptic potential의 분포상태가 신경의 특성을 규명하는데 매우 유익하다는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4. 신경에서의 synaptic potential의 분포상태는 종전에는 temporal distribution 개념이 지배적이었으나 최근에 와서는 spatial distribution 개념이 우세하게 되었다.

  • PDF

Measurement Method for Changing State Which is Generated from the Course of Continuous Muscle Contraction (지속적인 근 수축과정에서 발생하는 상태변화 계측방법)

  • Cheon, Woo-Young;Park, Hyung-Jun;Yoon, Yang-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9.11c
    • /
    • pp.567-569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골격근의 지속적인 수의 수축시에 발생하는 근육의 수축상태변화를 규명하기 위하여 심리 변화와 생리변화를 계측하여 이들의 해석방법을 제안하였다. 지금까지는 근육의 수축상태를 근전도의 변화로부터 정상상태와 피곤상태로 구분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안한 심리적 변화를 기초로한 생리 신호 해석 방법에서는 근육수축 상태가 정상상태, 피곤상태, 아픈상태의 3단계 변화를 한다는 사실을 얻었다.

  • PDF

Human Sensibility and Emotion in Sensibility Ergonomics (감성과 감정의 이해를 통한 감성의 체계적 측정 평가)

  • 이구형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 no.1
    • /
    • pp.113-122
    • /
    • 1998
  • 인간의 감성은 감정과는 구분되는 심리적 현상으로, 감정이 강도가 높으며 생리적, 신체적 반응을 동반하는데 비하여, 감성은 강도가 낮으며 겉으로 나타나는 생리적 변화가 없다. 감정은 외부의 감각자극에 대하여 두뇌에서 단계적인 정보처리의 결과로 나타나지만 감성은 반사적이고 직관적으로 발생된다. 감정은 하나의 대상에 대하여 여러사람이 유사한 반응을 보이는 공통성과 객관성을 갖지만, 감성은 동일한 대상에 대해서도 개인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며 시간과 환경에 따하서도 변화한다. 감정은 일반성, 객관성, 반복성과 같은 학문적 연구대상으로서의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으나, 감성은 그 특성이 학문이나 연구의 대상이 되기 위한 조건들을 충족시키지 못하며, 따라서 연구대상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감성이 감정에 비하여 가장 두드러지는 점은 감정의 종류가 외부자극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어지는 반면 감성의 발생은 개인의 재부상태, 즉 생활경험에 의한 기억에 의존한다는 점이다. 감성의 개인성, 변화성, 불확실성, 애매모호성등을 설명할 수 있기 위해서는 기존의 학문이 갖는 폐쇄성에서 벗어나 보다 많은 변수를 체계적이고 다각적으로 고려하는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학문과 연구대상에 대한 조건의 확대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개인의 감성은 해당 시점에서 개인이 갖고 있는 심리상태와 함깨 연령, 성별, 교육정도, 건강상태와 같은 개인요소뿐만 아니라 개인의 의식과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과 사회특성, 나아가 전통과 관습, 종교, 환경등와 같은 문화적 특성에 의해서도 변화된다. 그리고 이들 요소들을 개인이 처한 상황에 따라 영향의 정도가 다양하게 변화한다. 많은 요인들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화되는 감성은 감성의 영향을 받는 생활환경과 결합되고, 생활경험을 중심으로 한 기억은 두뇌의 Limbic system은 자율신경계를 조절하는 hypothalamus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따라서 감성의 측정평가를 위해서는 생활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 요인들의 파악과 함께 자율신경계의 반응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