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색 변환

Search Result 36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utomatic Color Transformation of Characters Between 2D Animation Scenes Using Neural Network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2D 애니메이션 장면 간의 캐릭터 자동 색 변환)

  • Jung, Hyun-Sun;Lee, Jae-Sik;Kim, Jae-Ho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1 no.9
    • /
    • pp.1286-1295
    • /
    • 2008
  • Colors of 2D animation characters are generally assigned by art directors' subjective color sense. Even same characters should be colo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mood of animation scenes. In this study, we introduce the model for automatic color transformation of characters by using neural network. It can not only create automatically colors of characters which are good matched with 2D animation scenes but also reproduce art directors' subjective color sense. Specifically, this neural network model is initially made to learn the patterns of color change between basic colors of characters and colors of characters in various scene. Then if you know basic colors of some characters, you can derive colors of characters under other light source environments using the learned neural network. Subjective ratings(which is adopted to verify the proposed model) by color experts on the automatically transformed colors showed that the colors created by the model tended to be evaluated natural.

  • PDF

스크린 컨텐츠 동영상 압축을 위한 적응적 색 공간 변환 기법

  • Gang, Je-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4.11a
    • /
    • pp.18-20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스크린 컨텐츠 동영상의 효율적인 압축을 위한 부호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부호화 기법은 RGB 색 요소 간의 신호의 통계적 중복성을 줄이기 위한 적응적 색 변환 기법에 기반한다. 기존의 색 변환 기법들은 스크린 컨텐츠 동영상이 포함하는 신호의 급격히 변화하는 ?계적 특성에 적용하기 어려운 반면 제안 방식에서는 부호화 블록의 시간적/공간적 주위 픽셀의 정보를 이용한 성분 분석을 통해 색 공간 변환 행렬식을 유도하여 부호화에 사용한다. 주위 픽셀 정보는 부호화 블록의 예측 방식에 따라 결정하며 움직임 벡터를 이용한 시간/변위 예측 부호 방식에서는 참조 블록의 정보를 이용하고 공간적 예측 방식에서는 블록의 인접 픽셀를 이용한다. 부호기 측에서는 비트율-왜곡 최적화를 통하여 예측 후 잔여신호의 부호화를 원래의 RGB 공간에서 수행할지 또는 색 변환한 공간에서 수행할지를 결정하고 관련 정보를 표시하여 블록 단위로 전송함으로써 부호화 효율을 증대한다. 실험에 의하면 제안 기법은 기존 압축 방식 대비 탁월한 부호화 성능을 제공함을 보인다.

  • PDF

OLED와 LED를 이용한 Hybrid 조명의 색변환

  • Gong, Hye-Jin;Kim, Yeong-Mo;Kim, Yeong-Man;Choe, Beom-Ho;Lee, J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8a
    • /
    • pp.293-294
    • /
    • 2012
  • 백색 OLED 조명 분야에서 색 변환은 큰 이슈가 되고 있다. 하지만 청색 유기물의 발광 특성이 좋지 못하여 아직까지 정착이 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발광 효율이 낮은 청색 OLED 대신 청색 LED와 황색 OLED를 사용하여 색 변환을 통한 백색 발광 panel을 제조하고 전기 및 광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먼저 OLED소자는 진공증착방법을 사용하여 ITO (150 nm)/KHI-001 (5 nm)/LG-101 (10 nm)/KHT-001 (25 nm)/ PGH-02 (25 nm): Ir (mpp) 3 (8%): PRD-003 (0.3%)/TMM-004 (10 nm)/LG-201 (20 nm): LiQ (50%)/Al (150 nm) 구조를 갖는 발광면적 $70{\times}70mm^2$의 황색 OLED panel을 제작하였다. CIE 1931색좌표는(0.49, 0.49)이고, 효율은 $41.61{\ell}m/W$이다. 그리고 LED는 청색 칩을 한 줄로 나열하여 LED bar를 만들었고 여기에 도광판, 리버스 프리즘시트, 확산시트 그리고 반사시트를 더하여 점광원을 면광원화 하였다. CIE 1931색좌표가 (0.15, 0.04)이며 효율은 $3.56{\ell}m/W$이다. 황색 OLED를 청색 LED 면광원 뒤에 붙여서 두 빛이 도광판 위쪽으로 나오게 하였다. 이렇게 hybrid된 빛은 인가 전류를 변화 시킴으로써 색온도 3,200 K의 warm white에서 7,800 K의 cool white까지 변환이 가능하였다. 그리고 순백의 hybrid 빛을 얻을 수 있었는데 이때의 색온도는 4200K이고 CIE 1931색좌표는(0.34, 0.33)이며 연색지수는 89였다.

  • PDF

Performance Improvement and Implementation of Color-Temperature Conversion System using Compensated X-Chromaticity Coordinate (보정된 X-색도 좌표를 이용한 색온도 변환 시스템의 성능 개선 및 구현)

  • Byun Hyungsoo;Kang Bongsoon;Yang Hoongee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D
    • /
    • v.41 no.1
    • /
    • pp.61-70
    • /
    • 2004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color-temperature conversion system with compensated X-chromaticity coordinate. It uses a linear regression to improve the error of color-temperatue calculation in conventional systems. It also extend the color-temperature range from 1,667K to 25,000K to Provide a wider color-temperature range. We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by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with those of the Robertson's and the existing methods. The proposed method is experimetally verified by displaying the results on a TV system through the Xilinx FPGA XCV2000E-BG560.

Color Transformation of Images based on User Preference (사용자 취향을 반영한 영상의 색변환)

  • Woo, Hye-Yoon;Kang, Hang-Bong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6 no.12
    • /
    • pp.986-995
    • /
    • 2009
  • Color affects people in their various combinations of hue, saturation and value. On the other hand, people may feel different emotion from the same color. If we can introduce these characteristics of color and people's emotion about color to emotion-based digital technologies and their contents, we can effectively draw users' interest and immersion to the contents. In this paper, we will show how people feel about color and present a method of image coloring that reflects the user's preference. First, we define basic templates that reflect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r and emotion, and then perform an image coloring. To reflect user's preference, we compute weights for hue, saturation and value through the experiments on each subject's preference about hue, saturation and value. The image coloring for each subject's taste will be drawn by updating the weights of hue, saturation and value. Through the results of experiments and surveys, we found that people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transformation of the templates which reflected user's preference than the one that did not.

Color space's conversion for the color vision deficiency (적록 색각 이상자를 위한 색 공간 변환)

  • Kim, Yong-Geun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10 no.1
    • /
    • pp.1-8
    • /
    • 2005
  • Color vision of color vision deficiency is possible using Color space's conversion of color image. Color vision of the RG-Color vision deficiency is possible by the case to maximize the G channel(+100), the case to minimize the G channel(-100), the case to maximize the R channel(+100), the case to convert the R channel to the yellow(Y) channel that is the value of $(-)b^*$ coordinate in CIE $L^*a^*b^*$ color space, the case to separate with only the B channel and the G channel and to appear by the light and darkness difference again, and the case to receive the image only by the light and darkness after separation of saturation and conversion of RGB channel.

  • PDF

A Correction for 3D Stereoscopic Images using Color Temperature Conversion (색온도 변환을 이용한 3D 입체영상의 보정)

  • Kim, Jeong-Yeop;Kim, Sang-Hyun;So, Gil-J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664-667
    • /
    • 2010
  • 3D 입체영상의 후반작업에서 색보정은 전체의 화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과정이다. 기존의 색보정 방법들은 좌, 우영상 중에서 히스토그램을 바탕으로하여 어느 한쪽을 기준으로 일치성을 강화하는 처리를 한다. 히스토그램을 기반으로 색보정을 하는 경우, 충분한 색온도 변환이 이루어 지지 않는 단점이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히스토그램을 사용하지 않고 색온도 변환을 중심으로 색보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The Analysis of User Preference Tendency for Color Temperature Conversion of the Image (영상 색온도 변환에 대한 사용자 선호 경향 분석)

  • Joo, Yong-Soo;Kim, Sang-Kyun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15 no.2
    • /
    • pp.290-303
    • /
    • 2010
  • Recently, researches to improve a quality and a color of a display are being actively studied because of the prosperous growth of the flat panel displays such as LCD, PDP and OLED. Automatically adjusting color temperatures based on user preferences is the one of the researches to provide the optimum display color. In this paper, along with defining the problems of prior methods, the user preferences against the priori defined ranges proposed by the MPEG-7 color temperature descriptor are inspected. Based on the analysis of user preferences, an optimal color temperature conversion curve is proposed. As a result of an analysis by ANOVA, tendencies of the user preferences against each range are proven to be similar to the prior research results. The repetition of the color temperature conversion against an image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색변환층으로 작동하는 $CaAl_{12}O_{19}:Mn^{4+}$ 형광체층을 이용한 백색 유기 발광 소자의 색변환 메카니즘

  • Jeong, Hwan-Seok;An, Seong-Dae;Chu, Dong-Cheol;Kim, Tae-Hwan;Gwon, Mye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2a
    • /
    • pp.422-422
    • /
    • 2010
  • 유기 발광 소자는 전색 디스플레이, 액정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유닛 및 조명으로의 사용가능성 때문에 많은 관심을 받아 왔고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디스플레이 뿐 아니라 조명 시장에서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유기 발광 소자의 효율은 무기 발광 소자의 효율보다 낮고 제작하는 데 고비용을 요하기 때문에 조명시장으로의 원활한 진입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적이다. 발광층에 삼원색을 혼합하여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제작하는 방법은 그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공정 단가가 크게 상승할 우려가 있고 발광 물질의 수명을 동시에 고려해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색 유기 발광 소자를 제작하고 색변환층으로 적색 형광체를 사용하면 그 단순한 구조에 기인한 간단한 공정으로 인해 가격과 소자성능의 안정성을 가지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색변환층의 두께를 통해 유기 발광 소자의 발광 스펙트럼을 아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높은 연색지수를 갖는 백색 발광 유기 소자의 제작이 가능하여 조명으로의 적용 가능성이 아주 크다. 이를 바탕으로 높은 휘도를 갖는 청색 유기 발광 소자의 유리 기판 반대편에 적색 형광체층을 두께별로 도포하여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제작하였다. 색변환층으로 사용될 적색 형광체는 $CaAl_{12}O_{19}:Mn^{4+}$ 화합물로써 졸-겔 방법을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제작한 $CaAl_{12}O_{19}:Mn^{4+}$ 화합물에 대한 X 선 회절 패턴은 형성된 형광체의 구조임을 알 수 있었다. 각기 다른 형광체의 도포 조건에 따른 구조적 성질과 색변환 효율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주사전자 현미경 측정으로 확인하였다. 제작된 적색 형광체와 청색 유기 발광 소자는 광루미네센스 스펙트럼과 전계 발광루미네센스 스펙트럼 결과를 사용하여 발광 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 PDF

무기물 색변환층을 사용한 무기물/유기물 유기발광소자의 발광 메커니즘

  • Jeong, Hwan-Seok;Kim, Seok-Hyeon;Chu, Dong-Cheol;Kim, Tae-Hwan;Gwon, Mye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8a
    • /
    • pp.122-122
    • /
    • 2010
  • 백색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하기 위한 여러 가지 유기물층을 사용할 때 제작공정이 어려워지고 유기발광소자의 발광 효율이 저하되고 색안정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Zn2SiO4:Mn 무기물 형광체를 사용한 유무기 혼성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하고 발광 메카니즘을 조사하였다. 색변환층으로 사용되는 Zn2SiO4:Mn 형광체는 졸겔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하고 비이클용액 및 열처리 공정을 사용하여 유리기판 위에 도포하였다. 형성된 Zn2SiO4:Mn 형광체 층에 대하여 X선 회절측정한 결과는 형광체내의 Zn 이온이 도핑된 Mn 이온에 대체되었음을 보여준다. 제작된 진청색 OLED의 전계발광 스펙트럼은 461 nm 에서 peak 을 나타내고 Zn2SiO4:Mn 무기물 형광체는 470 nm에서 여기 되어 Mn 이온의 4T1-6A1 전이에 의하여 527 nm에서 발광을 한다. Zn2SiO4:Mn 무기물 형광체를 사용한 유기발광소자의 전계발광스펙트럼에서 나타나는 527nm peak 은 Zn2SiO4:Mn 무기물의 색변환에 의해 나타난 결과로서 제작된 유기발광소자에서 발광된 빛을 청색에서 녹색으로 변환한 결과이다. Zn2SiO4:Mn 무기물 색변환층을 사용하여 제작된 무기물/유기물 유기발광소자의 발광 메카니즘은 전계발광스펙트럼 및 광루미네센스 스펙트럼 결과를 기초로 설명하였다. 이 결과는 녹색 무기물 형광체를 진청색 유기발광소자와 결합하여 제작된 유기발광소자의 발광색을 조절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