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색온도

Search Result 1,004,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Development and performance measurement of LED lighting system for elevator based on color temperature control (색온도 제어 가능한 승강기용 LED 조명제품 개발 및 성능측정)

  • Kim, Gi-Hoon;Cheon, Woo-Young;Kim, Jin-Hong;Song, Sang-B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7.11a
    • /
    • pp.65-70
    • /
    • 2007
  • 고연색성의 실시간으로 색온도 제어 가능한 승강기용 조명 제품 개발을 위하여 4계절 별 일 중 주광의 색온도 변화를 계산하였다. 4계절 별 일 중의 색온도 변화는 대한민국 서울의 위치를 기준으로 태양광 직사조도, 청공광조도 등을 계산하고 지면조도와 색온도의 관계로부터 춘분, 하지, 추분, 동지의 일 중 색온도 변화를 계산하였다. 이 값들을 색온도 제어회로의 Microprocessor에 이식함으로 4계절 별로 실시간으로 색온도가 변화하는 승강기용 조명기구를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 시제품의 전기적, 광학적 성능 측정 결과 각각의 개발 목표 항목을 만족시켰다.

  • PDF

A study on arithmetic composition of stand light where color temperature is different. (색온도가 다른 스탠드라이트의 산술적 합성에 관한 연구)

  • Seo, Dong-Soo;Han, Jun-Mo;Choi, Kyoung Jae;Hwang, Jungho;Park, Sung-Ju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34-135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백색 LED 광원의 색이라도 색온도에 따라 심리적 안전감과 명시성이 달라진다. 따라서 색온도를 조정할 수 있는 스탠드라이트 광원을 만들면 장시간 사물과 책을 볼 시 눈의 인지능력 향상과 눈의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3가지 색온도 백색 3000K 대역, 5000K 대역, 6600K 대역의 LED 광원을 이용하여 산술적 합성의 의하여 4000K 대역, 6000K 대역 등 다양하게 색온도를 구현하여 실제적으로 조명을 조사하여 인지능력과 눈의 피로가 감소 시킬 수 있는 색온도를 갖는 스탠드라이트 광원을 찾는데 목적을 둔다. 또한 4000K인 경우 3000K와 5000K LED 출력을 1:1 비율로 조사하면 4000K의 색온도가 나올 것으로 이론상 가능하고 2:1 비율로 조사하면 3500K의 색온도가 나올 것으로 예상되며 총 9가지의 산술적 조명을 구현한다. 스탠드라이트 광원을 자주 사용하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습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9가지 백색 LED 색온도 광원 중 1개를 선택하여 가장 적합한 조명의 수요도 조사를 하고 본 연구의 색온도 산술적 합성 연구의 실험을 통하여 색온도가 조절 가능한 스탠드 라이트를 상용화 하는데 논문의 목적을 둔다.

  • PDF

Performance Improvement and Implementation of Color-Temperature Conversion System using Compensated X-Chromaticity Coordinate (보정된 X-색도 좌표를 이용한 색온도 변환 시스템의 성능 개선 및 구현)

  • Byun Hyungsoo;Kang Bongsoon;Yang Hoongee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D
    • /
    • v.41 no.1
    • /
    • pp.61-70
    • /
    • 2004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color-temperature conversion system with compensated X-chromaticity coordinate. It uses a linear regression to improve the error of color-temperatue calculation in conventional systems. It also extend the color-temperature range from 1,667K to 25,000K to Provide a wider color-temperature range. We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by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with those of the Robertson's and the existing methods. The proposed method is experimetally verified by displaying the results on a TV system through the Xilinx FPGA XCV2000E-BG560.

Image Sensor Module for Detecting Spatial Color Temperature in Indoor Environment (실내 환경의 공간 색온도 검출을 위한 이미지센서 모듈)

  • Moon, Seong-Jae;Kim, Young-Woo;Lim, Yeong-Seo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6 no.1
    • /
    • pp.191-196
    • /
    • 2021
  •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an image sensor module possible of detecting color temperature in an indoor environment. The color temperature information in the video information acquired by the image sensor was matched with a color difference illuminometer to produce an LUT. An algorithm was developed so that color temperatur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ceived RGB values can be automatically calculated.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color temperature with an image sensor indoors, an accurate result of less than 5.91% was obtained compared to the reference value. It was confirmed that the uniformity of 23.5% or more was excellent compared to the color temperature measurement result using a color sensor.

CMS for Display Equipment

  • Gang, Yeon-Jeong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21 no.4
    • /
    • pp.60-71
    • /
    • 2016
  • 동일한 Display 장치를 인간의 눈으로 봤을 때와 카메라로 봤을 때 표현되는 Color는 너무나 다르다. 인간에게는 광원(光源)의 종류에 따른 색 분광에너지가 달라도, 그 차이를 적게 하는 색순응(Chromatic Adaptation)이라는 능력이 있는데 이것은 카메라에게는 없는 능력이기 때문이다. Display 장치에 어떤 영상신호를 띄우고 카메라로 Display 장치를 촬상했을 때 원본 영상과 카메라로 비춰진 영상의 Color와 계조를 일치시키기 위해서는 Display 장치와 카메라의 색온도를 맞추어야 하는데, 카메라와 Display 간(間) 색온도 차이가 발생한다면 Display 장치의 영상은 의도하지 않은 색으로 표현되어진다. 카메라 색온도는 사용되어지는 조명에 맞추어 조정되며, Display 장치의 색온도를 여기에 일치시키는 방법을 통칭 'CMS(Color Management System) for Display Equipment'라 하고 그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The Analysis of User Preference Tendency for Color Temperature Conversion of the Image (영상 색온도 변환에 대한 사용자 선호 경향 분석)

  • Joo, Yong-Soo;Kim, Sang-Kyun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15 no.2
    • /
    • pp.290-303
    • /
    • 2010
  • Recently, researches to improve a quality and a color of a display are being actively studied because of the prosperous growth of the flat panel displays such as LCD, PDP and OLED. Automatically adjusting color temperatures based on user preferences is the one of the researches to provide the optimum display color. In this paper, along with defining the problems of prior methods, the user preferences against the priori defined ranges proposed by the MPEG-7 color temperature descriptor are inspected. Based on the analysis of user preferences, an optimal color temperature conversion curve is proposed. As a result of an analysis by ANOVA, tendencies of the user preferences against each range are proven to be similar to the prior research results. The repetition of the color temperature conversion against an image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aylight color temperature to match 60W LED lighting system development for the interior general Lighting (주광의 색온도와 일치하는 실내 전반 조명용 60W LED 조명제품 개발)

  • Kim, Jin-Hong;Lim, Su-Keun;Park, Joung-Wook;Kim, Gi-Hoon;Song, Sang-B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0a
    • /
    • pp.197-200
    • /
    • 2009
  • 주광의 색온도와 일치하는 실내 전반 조명용 60W급 LED 조명제품 개발하기 위하여 실내 주광에 적합한 LED를 선정하고, 색온도, 광색제어를 위한 구동회로 및 제어회로를 설계 제작 하였다. 그리고 1W급 Cool White, Warm White Package LED 총 168 EA를 적용하여 주광의 색온도와 일치하는 실내전반 조명용 LED 조명 System 을 개발하였다. 주광의 색온도와 일치하는 실내 전반용 LED 조명제품은 60W급 LED SMPS 구동회로 및 광색/색온도 제어회로 설계, 면발광을 위한 방열 설계 및 기구 구조 설계를 통하여 개발되었으며, 직접 시제품을 제작하고 그 성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회로 효율은 85% 이상, 색온도는 $3,000{\sim}7,000K$에서 실시간으로 제어 가능 하고, 원하는 색온도을 구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발산각 또한 최대 광도의 1/2 기준으로 $100^{\circ}$ 이상을 만족시켰다.

  • PDF

Reference White Estimation and Color Temperature Decision Using Reference White Region Extraction (기준 백색 영역 추출을 이용한 기준 백색 추정 및 색온도 결정)

  • 도현철;진성일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05c
    • /
    • pp.295-298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한 장의 칼라 영상을 형성시키는 광원의 색온도를 추정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주어진 한 장의 칼라 영상으로부터 광원의 색도 좌표를 계산하는데 필요한 R,G,B 값이 특정한 칼라에 편향되지 않는 기준 백색 영역을 추출한다. 추출된 기준 백색 영역 내에서 계산된 (x,y) 색도 좌표로부터 등 색온도선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주어진 칼라 영상을 형성시키는 광원의 색온도를 추정한다. 캐나다 Simon Fraser 대학에서 제공되는 205장의 영상을 이용하여 제안된 방법과 기존 방법들을 비교 실험한 결과로부터 제안된 방법으로 추정한 색온도가 상대적으로 작은 오차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 PDF

Evaluation of Fatigue with Color Temperature (II) (조명의 색온도에 따른 작업자의 피로도 평가 (II))

  • 양희경;고한우;김묘향;임석기;윤용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251-254
    • /
    • 2001
  • 조명 색온도에 따른 작업자의 피로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세 종류의 조명 색온도 (2700K, 4000K, 6500K)를 실험변수로 하여 오류수정작업이 수행되었다. 작업수행 중 피로도와 집중도에 관한 주관평가를 실시한 결과, 시각 및 정신피로가 가장 적고 집중도가 높은 2700 K에서 작업수행도가 가장 좋았다. 6500 K에서는 정신피로를 가장 많이 느끼고 집중도가 제일 낮았으며, 4000 K에서 시각 및 정신피로를 가장 많이 느끼며 작업수행도는 가장 낮았다.

  • PDF

A Method of Color Temperature Conversion by User Customization (사용자 맞춤형 색온도 변환 방법)

  • Joo, Yong-Soo;Kim, Sang-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2.11a
    • /
    • pp.132-135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영상 색온도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 경향에 따라 가변적으로 색온도를 변환하기 위한 기존의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선호 경향을 최대한 반영할 수 있는 사용자 맞춤형 목표 색온도 결정 방법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