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색개선

Search Result 714,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Color reproduction using color appearance model in LCD projection systems (표색계를 이용한 액정 프로젝션 시스템의 색재현)

  • 김지홍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9 no.6
    • /
    • pp.373-379
    • /
    • 1998
  • A new method is proposed for the design of the dichroic mirrors in 3-LCD projection systems for color separation/composition. Rather than simply basing the color performance cirterion on luminance or chromatic saturation only, the optimum design parameters can be found by maximizing the volume of the perceived color gamut in RLAB color space and related color appearance model and used the linearly approximated spectrum of dichroic mirrors for simplicity and vector space description. By this method, we found optimal half-power wavelengths in dichroic mirrors which maximized our performance criterion.

  • PDF

Text Detection and Binarization using Color Variance and an Improved K-means Color Clustering in Camera-captured Images (카메라 획득 영상에서의 색 분산 및 개선된 K-means 색 병합을 이용한 텍스트 영역 추출 및 이진화)

  • Song Young-Ja;Choi Yeong-Woo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3B no.3 s.106
    • /
    • pp.205-214
    • /
    • 2006
  • Texts in images have significant and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scenes, and if we can automatically detect and recognize those texts in real-time, it can be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text detection method that can find texts from the various camera-captured images and propose a text segmentation method from the detected text regions. The detection method proposes color variance as a detection feature in RGB color space, and the segmentation method suggests an improved K-means color clustering in RGB color space. We have tested the proposed methods using various kinds of document style and natural scene images captured by digital cameras and mobile-phone camera, and we also tested the method with a portion of ICDAR[1] contest images.

White Balance preserving natural color enhancement and evaluation algorithm using chromatic adaptation transforms (색 순응 변환을 이용하여 화이트 밸런스를 보존하는 컬러 개선과 평가 방법)

  • Lee, Sangmin;Choe, Yo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3.06a
    • /
    • pp.16-19
    • /
    • 2013
  • 화이트 밸런스를 유지해야 하는 이유는 입력 이미지의 컬러 밸런스와 동질의 화질 유지를 위하거나, 혹은 이미지를 개선할 때 화질 균일 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기존 컬러 개선 방식들은 화이트 밸런스 보존에 관계없이 컬러 개선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컬러 개선 전과 후의 화이트 밸런스가 다르게 나타난다. 이 논문에서는 색 순응 변환을 이용하여 화이트 밸런스를 보존하면서 자연스러운 컬러 이미지 개선 및 컬러 측정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그 결과는 제안된 알고리즘은 Color Naturalness Index 와 Color Colorful Index 라고 풀리는 객관적 방법뿐만 아니라 주관적인 방법 에서도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알고리즘의 복잡도는 낮으므로 현실 어플리케이션에서도 유용하게 이용될 것이다.

  • PDF

Improvement of Luminous Environment by Changing Light Source in Urban Street (도시가로의 광원교체에 의한 조명환경의 개선에 관한 연구)

  • Kim, Hyun-Jeong;Yu, In-Hye;Kim, Jeong-Ta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5.05a
    • /
    • pp.24-29
    • /
    • 2005
  • 본 연구는 최근 서울시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도시 가로조명의 광원교체에 따른 조명환경 개선효과를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이미 기존의 나트륨램프를 고효율 메탈할라이드 램프로 교체한 서울시 종로구의 창경궁길로 선정하였다. 평가방법은 조사대상을 중심으로 야간의 교체 전, 후의 조명현황조사 및 물리량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개선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광원을 교체한 후 수평면 조도는 약 1.4배, 스칼라 조도는 약 1.3배 증가하였으며, 공간의 평균 휘도값은 $0.06cd/m^2$ 증가하였다. 색온도는 2,399[K]에서 3,632[K]로 증가하여 공간의 느낌이 따뜻한 느낌에서 차가운 느낌으로 변화되었는데, 이는 기존의 평온한 이미지에서 부드러운 이미지로 변화 된 것으로 분석된다. 색도는 주황색에 가까운 노란색에서 엷은 노란색을 띠는 백색으로 변화되었으며, 이는 램프의 연색성에 의하여 사물의 식별성에 대한 가시도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에너지 절감형 친환경 메탈할라이드 램프의 교체에 의하여 앞으로 연간 에너지 절감효과도 클 것으로 기대된다.

  • PDF

Base plane adaptive filtering for inter plane prediction in RGB video coding (RGB 비디오 압축 부호화의 효율 개선을 위한 적응적 기저 색평면 필터링 기법)

  • Choi, Jang-Won;Jeong, Jin-Woo;Kim, Yang-Soo;Choe, Yo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0.07a
    • /
    • pp.294-296
    • /
    • 2010
  • 일반적으로, RGB 영상의 높은 주파수 영역은 잡음으로 인해 색평면 간 서로 낮은 상관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고주파수 성분은 색평면 간 예측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RGB 비디오 코딩에서 색평면 간 예측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기저 색평면을 적응적으로 필터링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색평면 간 상관도에 따라 적응적으로 기저 색평면을 필터링함으로써 색평면 간 예측 성능을 높일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을 통해 우리는 H.264/AVC High 4:4:4 Intra Profile에 비해 평균 14.71%의 비트율 감소와 0.93dB의 PSNR 향상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Performance Improvement and Implementation of Color-Temperature Conversion System using Compensated X-Chromaticity Coordinate (보정된 X-색도 좌표를 이용한 색온도 변환 시스템의 성능 개선 및 구현)

  • Byun Hyungsoo;Kang Bongsoon;Yang Hoongee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D
    • /
    • v.41 no.1
    • /
    • pp.61-70
    • /
    • 2004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color-temperature conversion system with compensated X-chromaticity coordinate. It uses a linear regression to improve the error of color-temperatue calculation in conventional systems. It also extend the color-temperature range from 1,667K to 25,000K to Provide a wider color-temperature range. We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by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with those of the Robertson's and the existing methods. The proposed method is experimetally verified by displaying the results on a TV system through the Xilinx FPGA XCV2000E-BG560.

형광 발광층과 인광 발광층으로 구성된 하이브리드 발광층을 가진 청색 유기발광소자의 색 순도와 색안정성 증진

  • Bang, Hyeon-Seong;Chu, Dong-Cheol;Kim, Tae-Hwan;Seo, Ji-Hyeon;Kim, Yeong-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272-273
    • /
    • 2011
  • 유기발광소자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자로서 빠른 응답 속도, 높은 색 재현성 및 매우 얇은 두께로 제작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자로서 많은 응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청색 유기발광소자는 적색 및 녹색의 유기발광소자의 발광 효율 특성보다 상대적으로 효율이 떨어지고, 색 순도가 낮으며 수명이 짧은 단점을 가지고 있어 소자 특성을 개선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청색 유기발광소자의 색 순도와 색 안정성 증진을 위하여 발광층을 2개의 층으로 나누어 15 nm 두께의 4,4'-Bis(2,2-diphenyl-ethen-1-yl)diphenyl (DPVBi) 형광 청색 호스트 물질에 4,4 '-Bis[4-(diphenylamino)stylyl]biphenyl (BDAVBi) 형광 청색 게스트 물질을 첨가하여 제 1 형광 발광층을 형성하고 15 nm 두께의 4,4'-Bis(carbazol-9-yl)biphenyl (CBP) 인광 호스트 물질에 bis(3,5-difluoro-2-(2-pyridyl)phenyl-(2-carboxypyridyl)iridium III (FIrpic) 인광 게스트 물질을 첨가한 제 2 인광 발광층으로 구성된 30 nm 두께의 하이브리드 발광층을 사용하여 청색 유기 발광소자를 제작하고 전기적 특성과 광학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하이브리드 발광층을 사용하여 제작된 유기발광소자는 20 mA/cm2의 전류 밀도에서 6.2 cd/A의 발광 효율을 나타내었고, 최대 밝기는 약 16,200 cd/m2로 측정 되었다. 하이브리드 발광층을 사용한 청색 유기발광소자는 전류의 흐름이 단일 발광층 유기발광소자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전류 흐름을 가지며 발광층 내부에 더 많은 정공과 전자를 포획하여 엑시톤 형성 확률이 증가하여 발광효율과 밝기가 향상되었다. 하이브리드 발광층을 적용한 유기발광소자는 469 nm파장에서 형광 발광층의 주 전계발광 피크가 나타났고 그와 함께 인광 발광층의 부 전계발광 피크가 491 nm의 파장에서 관측되었다. 또한 전계발광 스펙트럼의 반치폭이 10 nm 감소하여 청색의 색 순도 증가에도 기여하였다. 하이브리드 발광층을 가진 청색 유기발광소자의 색 좌표는 전압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값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형광과 인광 발광층으로 구성된 하이브리드 발광층 유기발광소자가 전기적으로 안정성을 가지며 발광 특성을 개선하고 안정적인 청색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로 사용 가능함을 나타내고 있다.

  • PDF

Implementation of Bursting Ballon Game using Android for Children's Color Study (유아의 색 학습을 위한 안드로이드용 풍선 터뜨리기 게임 구현)

  • Ahn, Byeong-Ik;Lee, Jae-Hoon;Kim, Soo-Kyun;Ho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04a
    • /
    • pp.267-268
    • /
    • 2015
  •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접하게 되는 모든 것이 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색상은 인간의 건강과 정신적 측면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어린 시절부터 색상 학습을 통해 색 자극을 지속적으로 주게 되면, 정서적인 안정감뿐만 아니라 감성 발달까지 유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기반의 유아의 색 학습을 위한 안드로이드용 풍선 터뜨리기 게임을 구현하였다. 로그인 시스템을 적용하여 사용자 개개인의 학습 결과를 제공하고, 통합적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사용자의 랭킹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직관적인 조작이 가능하도록 UI를 적용하여 유아에게도 쉽게 색상 공부를 하도록 하였다. 추후 다양한 색들을 추가하여 다른 색도 학습할 수 있도록 개선하고, 개수와 속도조절을 통한 난이도 조절기능이 추가된다면 유아의 색의 학습뿐만 아니라 두뇌발달에도 도움이 되고 나아가서 손가락 재활이나 치매예방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Effects of Fining Treatments on Color and Clearness of Apple Wine (청징방법에 따른 사과와인의 색과 투명도에 미치는 영향)

  • Bang, Byung-Ho;Jeong, Eun-Ja;Kang, Hyeran;Rhee, Moon-Soo;Yi, Dong-Heui;Paik, Jean Ky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6 no.3
    • /
    • pp.368-373
    • /
    • 2017
  • Comparative fining trials were conducted in a laboratory to study the effects of fining treatments including polyvinylpolypyrrolidone (PVPP) and bentonite on the color and clearness of apple wine. The wines were subjected to three different fining treatments: PVPP, PVPP+bentonite (applied at the same time), and PVPP+bentonite (24 h later). Based on the results, all treatments induced noticeable decreases in wine color (APHA value) and turbidity. The treatment including PVPP and bentonite at the same time provided the best results in relation to wine color and clearness. PVPP was the most effective in the reduction of phenolic compounds, which means it helped wine obtain a paler color. Organic acids and aromatic profile were not altered by the fining treatments.

Chromaticity Improvement of PEG Waste from Wire Sawing of Silicon Ingot (실리콘 잉곳 절삭시 발생하는 폐 PEG 색도 개선에 관한 연구)

  • Cho, Yun-Kyeong;Jung, Kyeong-Youl;Sim, Min-Seok;Lee, Gi-Ho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50 no.2
    • /
    • pp.310-316
    • /
    • 2012
  • The chromaticity of polyethylene glycol (PEG) generated from the recyling of a silicone slurry waste was improved by using activated carbon powder and a carbon filter. The color change of the PEG waste was investigated by changing the amount of adsorbent, adsorption time and temperature. The surface area of activated carb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improving the color of the PEG waste. According to the results for the APHA color variation of the PEG waste changing the amount of the carbon adsorbent, the optimal usage to achieve the low APHA value was 100~150 mg-C/g-PEG. From the investigatnion on the effect of the adsorption temperature range from $25^{\circ}C$ to $100^{\circ}C$, it was found that the optimal temperatures were $40{\sim}50^{\circ}C$ in terms of achieving the lowest APHA value. The variation of the APHA color was investigated by changing the operation condition of the activated carbon filters. The use of ACF was a good way to enhance the chromaticity of the PEG waste. As a result, the APHA value of the PEG waste (APHA=53 at the initial waste) was reduced to be 10 through the ACF purification.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used carbon adsorbent can be recovered by the washing with purified w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