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새만금

Search Result 608,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Study on establishment of a governance for agricultural NPS pollution management (농업비점오염 관리를 위한 참여단위 거버넌스 구축 연구)

  • Jang, Jeong Ryeol;Um, Han Yong;Park, Hyeong Min;Jo, Young J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9-29
    • /
    • 2016
  • 새만금호의 목표수질 달성과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해서는 비점오염 관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새만금호 상류 유역은 농경지 비율이 38%로서 높아 농업활동에서 유래하는 농업 비점오염원의 효과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농업비점오염 저감기술의 개발하는 물리적 기술적 접근만이 아니라 농업인과 지역주민의 참여와 함께 행정적인 지원을 포함하는 사회 경제 문화적 접근을 포함하는 통합적인 접근 즉, 거버넌스가 요구된다. 이러한 거버넌스를 새만금유역의 농업비점 관리에 적용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새만금유역 농업비점오염관리 거버넌스구축 사업모델 개발"에 대한 연구를 2015년부터 2016년까지 2년간 추진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농업비점오염 관리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과 운영에 필요한 요소들을 도출하고 각각의 요소별 추진 프로세스를 개발하고 최종적으로 이를 상호 연계하여 운영하는 기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농업비점오염관리 거버넌스 구축의 접근 방향으로는 신규구축형과 기존정책사업연계형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된다. 거버넌스 시스템은 참여단위와 행정단위, 그리고 이것을 연계 지원하는 '중간지원조직'의 다층적 거버넌스 구조로 제안하였다. 참여단위 거버넌스는 공동체단위와 개별 농가단위의 참여 프로그램으로 설계하였다. 특히, 참여단위 거버넌스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커뮤니티비즈니스 육성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1차년도(2015년)에는 신규구축형을 중심으로 진행을 위하여 전라북도 부안군 백산면 용계리를 연구대상 지구로 선정하였다. 참여단위 거버넌스 구축을 위하여 연구대상 지구에서 우리 마을과 물 이야기, 우리마을회의 등 통하여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의 역사와 문화 등 잠재자원을 발굴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침체된 마을 공동체를 마을길을 연결하여 다시 활성화 하고, 물이 흐르는 마을도랑으로 가꾸고, 단절된 이웃간 마음을 연결하기 위한 "마을길-물길-마음길 연결" 커뮤니티 비즈니스 프로젝터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거버넌스구축 프로그램의 정보의 공유와 확산을 위하여 커뮤니티 비즈니스 안내판을 설치하고, 마을소식지(청파)를 제작배부하고 거버넌스구축 과정을 담은 마을영상다큐 제작을 진행하였다. 2차년도에는 커뮤니티 비즈니스 심화과정을 운영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농촌지역의 비점오염관리를 위한 거버넌스구축 등 정책 및 제도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ssessment and Enhancement of Ecosystem Services of Saemangeum Area (새만금 지역의 생태계서비스 평가와 증진 방안)

  • Seung-Joon Lee;Ji-Won Choi;Choong-Hyeon, Oh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6 no.6
    • /
    • pp.684-692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ecosystem services provided for Saemangeum agricultural and life sites and surrounding areas and establish measures to enhance them. The ecosystem services in the Saemangeum region were found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its land use type. Before reclamation, the quality of ecosystem service in the Saemangeum region was high in all aspects: supply, control, culture, and support service functions. After the reclamation, however, the quality of supply, regulating, and support services declin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quality of regulating and support services provided by semi-natural habitats such as rice paddy and reservoirs to improve the ecosystem service of the Saemangeum agricultural and life site. The suggested service improvement includes transforming natural ecosystems, such as forests and rural areas, and vast agricultural land into rural tourism and ecotourism and strengthening cultural service functions centered on education and research related to agriculture.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utilize large agricultural land and agricultural infrastructure to promote agricultural production and rural tourism and government support for areas where the aging population is a problem.

Water Quality Simulations After Completion of Saemangeum Reservoir Construction (새만금호 완공에 따른 수질변화 모의)

  • Suh, Seung Won;Lee, Hwa You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8 no.1B
    • /
    • pp.79-93
    • /
    • 2008
  • Water quality simulations on the Saemangeum inner reservoir have been carried out using EFDC model to understand water quality variations caused by abrupt physical changes due to closing of tidal barrier. According to hydrodynamic simulation, model reproduces not only outer regional dynamics but also inner superelevation very well.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of water quality models accomplished using observed data taken before closing. Also sensitivity tests regarding riverine discharges and tidal flats were done. Due to enlarging of always wet zone caused by super elevation on inner tidal flats, predicted DO decreases at that region as a result of SOD. Moreover shrink of mixing zone after closing of dike causes deteriorating of water quality showing DO as 2 mg/L during summer at Mangyeong and Dongjin estuaries, however it does not spread to middle part of the reservoir. Vertical stratification occurs after closing and shows vertical differences in DO concentration at least 6 mg/L to 7 mg/L in summer season. Most part of the reservoir is getting stratified and it leads to an oxigen deficit zone near bottom.

Evaluation of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emangeum Lake Using Statistical Analysis (통계분석을 이용한 새만금호의 수질특성 평가)

  • Jong Gu Ki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9 no.4
    • /
    • pp.297-306
    • /
    • 2023
  • Saemangeum Lake is the largest artificial lake in Korea. The continuous deterioration of lake water quality necessitates the introduction of novel water quality management strategi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patiotemporal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emangeum Lake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Water Quality Measurement Network and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In the water quality parameters of Saemangeum Lake, water temperature and total phosphorous content were correlated, and salt, total nitrogen content, pH, and chemical oxygen demand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Other parameters showed a low correlation. The spatial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Saemangeum Lake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its four zones. The mid-to-downstream section of the river affected by freshwater inflow showed a high nutrient salt concentration, and the deep-water section of the drainage gate and the lake affected by seawater showed a high salt concentration. Two types of water qualities were observed in the intermediate water area where river water and outer sea water were mixed: waters with relatively low salt and high chemical oxygen demand, and waters with relatively low salt and high pH concentration. In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by time, the water quality was divided into four groups based on the observation month. Group I occurred during May and June in late spring and early summer, Group II was in early spring (March-April) and late autumn (November-December), Group III was in winter (January-February), and Group IV was in summer (July-October) during high temperatures. The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emangeum Lake were found to be affected by the inflow of the upper Mangyeong and Dongjin rivers, and the seawater through the Garuk and Shinshi gates installed in the Saemangeum Embankment. In order to achieve the target water quality of Saemangeum Lak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water quality management measures for Saemangeum Lake along with pollution source management measures in the upper basin.

Feasibility Study of Wind Turbine Test Site around Saemangeum Region by using Meteorological Observation Data (기상 관측자료를 이용한 새만금 일대의 실증단지 적합성 분석)

  • Jang, Jea-Kyung;Lee, Kyo-Yeol;Ryu, Ki-Wah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181.1-181.1
    • /
    • 2010
  • 풍력터빈에서 전력생산량은 속도의 세제곱에 따라 바람의 속도에 크게 영향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새만금 인근 해안의 2005부터 2007년까지의 AWS(지역별 관측자료)와 해양에서 떨어진 새만금 서해의 2000년부터 2009년까지 QuikSCAT위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속도에 따른 확률 밀도 분포를 획득하였다. 측정된 관측 데이터는 80m 높이에서의 보정 자료를 근거로 하였으며, IEC 61400-12와 13을 근거로 실증단지 적합성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 PDF

Macrobenthic Community Changes in the Saemangeum Subtidal Area (새만금 방조제 외해역의 저서생물 군집 변화)

  • Jung, Ji-Yeon;Kwon, Hyo-Keun;Jang, Jeong-Ryeol;Choi, Kang-Won
    • KCID journal
    • /
    • v.17 no.2
    • /
    • pp.42-48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ing of benthic macrobenthos community in Saemangeum subtidal area. The distribution of macrobenthic community is important to assume the benthic environment in study area. Macrobenthic community was investigated three times in 2007 (March, June and September) in the Saemangeum subtidal area. The mean density of macrobenthos was $345{\sim}838ind./m^2$ and the most dominant taxa was benthic polychaete. Opportunistic species such as E.cordatum, T.fragilis, H.filiformis, and Tharyx sp. were shown high appearance rate in study area. The dominance of these opportunistic species suggest that the benthic environment of study area was unstable due to environmental disturbance. But, there are only few point that these species were recorded high densities, and also equilibrium species was dominant, too. It means disturbance and un stability of benthic environment in Seamangeum was not serious yet. so the dynamics and trends of these opportunistic species should be concerned.

  • PDF

A study of sedimentation processes in seamangum coastal area (새만금지구의 퇴적과정에 관한 연구)

  • 신문섭;유철웅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6.05a
    • /
    • pp.689-694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sedimentation patterns variation in Seamangum coastal sea region. Water circulations are calculated diagnostically from the observed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data and wind data and tidal residual current. There dimensional movements of injected particles due to currents, tubulence and sinking velocity are tracked by the Euler-lagrange method. Calculated sedimentation patters of riverine material are highly similat to the observed ones.

  • PDF

Total Maximum Daily Loads Management System for Saemangeum Watershed Using GIS (GIS를 이용한 새만금 유역 오염총량 관리시스템)

  • Cho, Young-Kyoung;Kim, Hak-Kwan;Park, Seu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993-99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 유역을 대상으로 오염물질 배출상황을 보다 세부적인 수계의 분포에 따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오염총량 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은 (1) GIS 기반의 배출부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며, 배출부하량 및 세부적인 수계별 분포를 확인할 수 있는 검색 모듈과 (2) 자정계수와 유달거리로 구성된 유달함수를 통하여 유달부하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모듈, 그리고 (3) 저류형, 침투형, 식생형, 장치/하수처리형 등의 비점오염 저감시설을 유역 말단에 설치하였을 경우, 소유역 및 새만금 유역전체를 대상으로 부하량 저감효과 및 삭감률이 계산 가능한 모듈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사용자도 결과의 판독이 가능하며, 대상유역의 부하량 분석 및 저감시설에 따른 부하량 예측을 통하여 수질정책 수립에 매우 유용한 도구로 사용되도록 하였다. 차후의 연구에서는 본 시스템과 수문/수질모델링시스템을 연계하여 종합적인 수질정보 및 수질관리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의 지원이 가능하도록 할 예정이다.

  • PDF

갯벌의 중요성과 보전방안

  • Jang,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Conference
    • /
    • 1999.10a
    • /
    • pp.27-37
    • /
    • 1999
  • 국토의 3%를 차지하면서 우리들의 삶 속에 함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갯벌은 오랫동안 우리의 관심밖에서 매립, 간척으로 파괴되거나 각종 오염물의 유입으로 훼손되어 왔다. 갯벌은 그동안 조개류나 양식등을 통한 수산물을 획득하는 것 이외에는 질퍽한 뻘이 가득한 땅, 쓸모없는 땅으로 인식되어 왔다. 주로 서남해안에 위치해 있는 갯벌은 간척의 대상으로서 주목을 받아왔고 계화지구, 영산강 지구, 남양만 지구, 아산만 지구, 천수만 AB지구, 영종도 신공항 지구, 시화지구, 새만금 지구 등 강하구를 비롯한 주요한 갯벌의 대부분이 간척되었거나 간척중이다. 갯벌에 대한 중요성과 그 가치에 대한 인식은 최근 몇 년 사이에 급속히 확산되고 있으며 지난해 12월 29일 통과된 습지보전법에 의하여 정부는 갯벌에 대한 관리방안 마련과 조사활동 계획등을 수립하고 있다. a99년 이번 5월 10i¡18일에 있었던 제7차 람사협약당사국총회가 진행되는 동안 우리 나라의 갯벌은 국제적 관심사로 부각되기도 하였다. 그동안 우리 나라의 갯벌이 어떻게 인식되어 왔고 이용하였으며, 특히 농지와 산업용지 확보라는 측면에서 추진되었던 간척사업의 문제점 등을 새만금 종합개발 사업을 중심으로 하여 살펴보기로 하고, 먼저, 갯벌에 관한 일반적인 내용과 우리 나라 갯벌을 이해한 후 새만금종합개발사업에 논하도록 한다.

  • PDF

Implement of Geosensor Stream Data Management System based on Smart City in Saemangum (새만금 Smart City 기반 Geosensor 스트림 데이터 관리 시스템 구현)

  • Mun, Young-Chae;Baek, Jeong-Ho;Gang, Pung-Seong;Lee, Hong-R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1399-1401
    • /
    • 2010
  • 본 연구는 새만금과 새만금 주변에서 Geosensor 스트림 데이터 측정을 위해 대기관련 센서들로 3개의 클러스터를 구성하고, 수질관련 센서들로 하나의 클러스터를 구성하여 Geosensor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각 클러스터로부터 5분 단위로 수집된 센서 스트림 데이터를 시스템에 전송하고, 시스템에서는 수신된 스트림 데이터를 분석 및 처리하여 DB에 저장한다. 본 연구에서는 Geosensor 데이터 가공 처리 및 저장, Geosensor 관리, 상황정보 관리, Geosensor 스트림 데이터와 GIS 연동 기능을 포함한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