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새궁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2초

볼락류 Sebastes crameri 아가미에서 검출된 단생흡충류인 Trochopus australis와 요각류인 Neobrachiella robusta의 분포도 (Distribution of Trochopus australis and Neobrachiella robusta in Gills of Darkblotched Rockfishes, Sebastes crameri)

  • Chun, Kae-Shik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77-79
    • /
    • 2003
  • 뉴포트 어시장에서 채집한 볼락류인 Sebastes crameri로부터 17개체의 아가미 기생물을 발견하였다. 그중 9개체는 단생흡충류인 Trochopus australis이고 나머지 8개체는 요각류인 Neobrachiella robusta였다. 이 기생물의 가장 많이 발견되는 부위는 볼락류의 제 2 아가미새궁과 배측 후부였다. 단생류인 T. australis는 주로 제 2 아가미 새궁에서 요각류인 N. robusta는 제 1 아가미새궁에서 발견되었으나 요각류는 제 4 아가미새궁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번 연구에서 기생물의 아가미 부착은 주로 제 1, 2 새궁의 배후측에, 그러나 제 3, 4 아가미새궁의 전복측과 중앙에는 적게 분포되어 있었다.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아가미의 미세구조

  • 김재원;김형수;김경선;이정식;진평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385-386
    • /
    • 2000
  • 어류의 아가미는 호흡, 삼투조절, 질소 노폐물의 배설과 산, 염기의 평형 조절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특히 아가미는 좌운 4쌍의 새궁으로 구성되며, 각각에서 여러 개의 새엽이 그리고 각각의 새엽으로부터 좌우로 새판이 돌출된 구조로 호흡상피의 표면이 확장된 구조적 특징을 갖는다. 이 호홉층판구조가 직접 그리고 계속해서 서식수의 흐름과 맞닿게 되므로 서식수의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어 빠른 세포의 재생율을 가진도고 알려져 있다.(중략)

  • PDF

농어(Lateolabrax japonicus) 아가미의 형태와 미세구조 (Morphology and Ultrastructure of Gill for Lateolabrax japonicus)

  • 강충배;김진구;김재원
    • Applied Microscopy
    • /
    • 제39권4호
    • /
    • pp.319-324
    • /
    • 2009
  • 농어 아가미는 새파, 새궁, 새엽 및 새판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위쪽 새파수는 7~10개이며, 아래쪽 새파수는 13~18개로 조사되었다. 농어 아가미의 주요부위인 새엽과 새판(이차새엽)을 광학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에서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농어 아가미는 새궁(gill arch) 외연의 앞 뒤 2열로 된 긴 점막성의 빗살과 같은 모양으로 줄지어 있는 많은 수의 새엽(gill filament)을 가지고 있으며, 각 새엽은 전후 두개의 새판(gill lamellae)이 근접하여 두 열로 배열되어 있었다. 농어의 새판은 pavement cell, 기둥세포(pillar cell), 혈구세포, 점액세포(mucose cell) 및 염류세포(chloride cell) 등으로 구분되었다. 새판의 표면은 단층으로 큰 핵을 가진 pavement 세포로 구성되며, 상피표면의 glycocalyx로 덮혀진 미세융기를 가진다. 그리고 새판은 기둥세포와 혈구세포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분포하고 있었다. 점액세포는 새판에 드문드문 나타났지만 새엽에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염류세포는 미토콘드리아와 tubular system이 잘 발달되어 있었다.

양식 조피볼락의 아기미에 기생하는 Microcotyle sebastis의 공간적 분포 (Spatial distribution of Microcotyle sebastis (Monogenea: Microcotyliidae) on Gills of the Cultured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김기홍;최은석;지보영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9-33
    • /
    • 1998
  • 양식 조피볼락에 기생하는 단생흡충류인 Microcotyle sebastis의 분포패턴을 아가미 새궁별, 새엽별(전방과 후방) 및 등면, 중앙면, 복면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M. sebastis는 제 2 및 제 3 새궁에 유의성 있는 선호도를 나타냈으며, 후방보다는 전방부의 새엽과 중앙 부위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부터 각 아가미 새엽으로 들어오는 물의 양과 아가미의 표면적이 M. sebastis의 분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또한 전방 중앙부에 집중적으로 기생하는 원인은 미소서식처의 범위를 좁힘으로써 개체간의 접촉을 증가시기고, 이를 통해 교미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제 4 새성 기형 1예 (A Case of Fourth Branchial Cleft Cyst)

  • 박일석;장재혁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3-56
    • /
    • 2005
  • The branchial anomaly is a lateral neck mass commonly seen by otolaryngologists. Depending on its anatomic location, branchial anomaly can be classified into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The fourth branchial cleft anomaly is very rare entity and until now, only 35cases have been reported worldwide. It may present as neck cyst, recurrent neck abscess, thyroiditis. Combined with barium swallow esophagogram and computed tomography scan can aid in diagnosis of this rare disease entity. Complete excision of the entire epithelial tract combined with ipsilateral thyroid lobectomy remains the mainstay of treatment. Authors experienced a case of lateral neck mass which was anatomically presumed to be the fourth branchial cleft cyst. We report this case with the related literature.

한국산 둥글넙치과 어류 1미기록종, Arnoglossus polyspilus (First Record of the Bothid Flounder Arnoglossus polyspilus (Bothidae, Pleuronectiformes) from Korea)

  • 김맹진;최찬문;송춘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32-135
    • /
    • 2010
  • 둥글넙치과에 속하는 Arnoglossus polyspilus 1개체(표준 체장 229.0 mm)가 제주도 주변 해역에서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본 종은 꼬리지느러미 상엽과 하엽에 두개의 작은 연조가 있으며, 등지느러미 앞부분의 연조는 약간 연장되었다. 위턱은 전체 길이의 좌측 눈 아래 1/3 앞까지 도달하고, 첫 번째 새궁의 상지에는 1개의 새파를 갖는다. 본 종의 신한국명을 "노랑반점가자미"라고 명명하였다.

한국산 가자미목 어류 2 미기록종 (First Record of Two Sinistral Flounders (Pleuronectiformes) from Korea)

  • 이충렬;이철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65-370
    • /
    • 2007
  • 최근 우리나라의 남해 연안에서 출현하고 있는 가자미목 어류 2종을 조사한 결과 지금까지 국내에서 서식이 보고되지 않은 붕넙치과의 Psettina tosana와 넙치과의 Pseudorhombus oculocirris로 동정되었다. P. tosana는 형태적으로 P. gigantea와 P. iijimae와 비슷하나 P. tosana는 가슴지느러미 연조가 9~10이고, 측선린수가 적으며, snout 주변이 검지않아 P. gigantea와 다르고, 새궁의 상지에 새파가 없고, 하악의 치열이 1열인 점이 P. iijimae와는 구별되었다. 한편 P. oculocirris는 P. pentophthalmus에 비하여 측선비늘 수가 많고, 유안측의 전비공만 tubular 타입에 flap이 존재하고, 등지느러미 앞쪽의 유리된 연조가 약간 납작하고, 길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돌돔 (Oplegnathus fasciatus) 아가미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the Gill of the Parrot fish, Oplegnathus fasciatus)

  • 김재원;백근욱
    • Applied Microscopy
    • /
    • 제34권2호
    • /
    • pp.139-143
    • /
    • 2004
  • 돌돔 아가미의 미세구조를 광학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아가미는 새궁 앞, 뒤 2열로 된 빗모양의 많은수의 새엽과 그리고 각 새엽은 전후 두 개의 새판(gill lamellae)이 근접하여 2열로 배열되어 있다. 상피세포층은 단층으로 큰 핵을 가진 편평상피로 구성되고 표면에는 미세융기가 잘 발달되어 있다. 새판의 기둥 구조는 세로 방향의 미세소관들과 측면 membrane interdigitation을 가지며, 염세포는 수많은 미토콘드리아와 tubular system이 잘 발달되어 있다. 미성숙된 점액세포는 조면세포체와 골지체가 잘 발달되었으며 일부 발달된 점액 과립을 가지고 있다. 성숙한 점액세포는 AB-PAS에 푸른 색을 띄었으며 구형이고 다양한 전자밀도를 가진 거의 같은 크기의 점액과립을 가지고 있다.

묵납자루, Acheilognathus signifer의 소화기관과 먹이생물 (Digestive Apparatus and Food of the Korean Bitterling, Acheilognathus signifer (Cyprinidae))

  • 백현민;송호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7-63
    • /
    • 2005
  • 묵납자루에서 첫 번째 새궁 (gill arch)의 새파 수는 17-21개 (평균 19개) 정도로 적은 편이었으며, 새파의 길이는 280~430 (평균 $360{\pm}35)mm$이었다. 새파 간의 간격은 130~210 (평균 $160{\pm}15)mm$이었다. 인두치의 저작면은 안쪽이 파여 있는 형태로 제1치는 저작면의 발달이 매우 미약하나 제2, 3, 4, 5치의 저작면은 발달되어 있었다. 인두치와 새파는 생활사의 초기에 완전히 형성되었다. 소화관의 길이는 체장의 $3.63{\pm}0.12$배로 매우 길었으며, 식도에서 연결되어 항문쪽으로 길게 배열되다가 한번 접히고 시계방향으로 5회 정도 감긴 후 항문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묵납자루는 주로 식물성플랑크톤의 일종인 부착조류를 주로 섭식하였으며 그 중 규조류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그 이외에 원생동물, 깔따구 유충, 식물의 씨앗, 육상곤충 등도 소화관 내용물에서 관찰되어 초식성이 강한 잡식성으로 볼 수 있었다.

소아의 제 2 새궁 기형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Second Branchial Cleft Anomalies in Children)

  • 이준우;김수홍;김현영;박귀원;정성은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7권2호
    • /
    • pp.162-169
    • /
    • 2011
  • Branchial cleft anomalies are the second most common head and neck congenital lesions seen in children. Amongst the branchial cleft malformations, second cleft lesions account for 95 % of the branchial anomalies. This article analyzes all the cases of second branchial cleft anomalies operated o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September 1995 to February 2011. We analyzed sex, age, symptom and sign, accompanied anomaly, diagnosis, treatment, pathologic report and outcome via retrospective review of medical records. In this series, we had 61 patients (27 female and 34 male). The mean age at the time of operation was 38 months. 31 lesions were on the right, 20 were on the left and 10 were bilateral. The most frequent chief complaints at presentation were non-tender mass and cervical opening without any discharge. According to anatomic type, 29 patients had branchial cleft sinuses, 14 had cysts, 14 had fistulas and 4 had skin tags. Complete excision was attempted if possible and antibiotics challenged when infection was suspected. Complete excision was achieved in 96.7 % of cases. Incision and drainage was done in 2 cases due to severe inflammation, and both recurre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cluded wound infection in 2 cases. Microscopic examonation revealed squamous epithelium in 90.2 % and squamous metaplasia in one case in the branchial cleft cyst wall. In summary, second branchial anomaly is found more frequently on right side of neck. Fistulas are diagnosed earlier than cystic forms. Most cases could be diagnosed by physical examination. The definitive treatment is complete excision and sufficient antibiotics coverage for cases with inflammation. After drainage of infected lesions, follow up excision after 1 year might be beneficial for preventing recurre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