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황적 요인

Search Result 2,502,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The Effect of Situational Perceptions and Anger on a Consumer's Communication Activeness (웹사이트에서 상황적 지각과 감정의 역할이 소비자의 적극적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미치는 영향)

  • Cho, Seung-Ho;Cho, Sang-Ho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9
    • /
    • pp.111-122
    • /
    • 2012
  • In this study, we consider the integration of cognitive components and emotion to account for communication behaviors and activism on a consumer advocacy website. The challenge of integrating situational theory and anger activism model was empirically explored utilizing an online survey with the members of the virtual community, which was designed to raise issues and to protest against the product defects of a product. Our findings indicated that along with the cognitive perception in the situational theory, anger as a negative emotion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strongly associated with communication behaviors and activism on the organization. More interestingly, the model that integrates anger with cognitive components significantly improves its explanatory power compared with one including only cognitive components as explanatory variables.

정보 윤리 의사결정에 관한 실증적 연구 -S/W 불법복제를 중심으로

  • 김광용;정수용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1999.12a
    • /
    • pp.663-673
    • /
    • 1999
  • 본 연구는 정보윤리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로 소프트웨어 불법복제의 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인터넷 서베이를 통해 자료를 입수하였고, 분석한 결과 인터넷을 통한 불법복제물의 유통이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나이가 많고, 고학력일수록 불법복제의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와는 다른 결과를 보여 주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불법복제에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실시한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의 결과, 요인은 태도, 사회적 규범, 행동의 용이성, 상황적 변수로 나타났으며, 회귀분석결과 불법복제 의도에 태도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선정되었으며, 상황적 요인이 유의적인 결과를 보였다.

  • PDF

Socioeconomic Conditions and Divorce Rate in Korea: An Analysis of Time-series Data, 1970-2002 (사회경제 상황이 이혼율 변화에 미치는 영향: 시계열 자료의 분석, 1970-2002)

  • Cheong Keywon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7 no.1
    • /
    • pp.57-80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1970년부터 2002년까지의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사회경제상황이 이혼율 증가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였다. Land and Felson(1976)의 거시 동태 사회지표 모형을 바탕으로 경제상황과 남녀 성비, 그리고 이혼 관련법의 개정 등을 분석모형에 포함시켰다. 경제상황에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 실업률 그리고 1인당 국내총생산으로 측정된 소득수준을 포함시켰다. 분석의 결과는 실업률과 소득수준이 이혼율의 증가 추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1인당 국내총생산의 수준이 높을수록 이혼율도 증가하는 분석의 결과는 경제적 호황기에는 이혼율이 증가하고 경제적 쇠퇴기에는 이혼율이 감소한다는 선행연구의 주장을 실증적으로 뒷받침해주고 있다. 그러나 실업률이 증가할수록 이혼율도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는데 이는 혼인의 결정 요인과 관련한 남성 중심의 가설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경제상황을 구성하는 하위요인(소득수준과 실업률)이 이혼율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의 기제가 다름을 보여주고 있다. 사회경제상황 자체보다는 경제상황의 변화가 이혼율의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의 모형에 변화율을 변수로 포함시킬 경우에는 1977년의 가족법 개정만이 이혼율의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에서 이혼율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거시적 요인을 통제하지 못하고 있는데, 이는 이 연구의 내적 타당도를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이혼율은 경제적 상황보다는 오히려 문화적 또는 사회적 요인에 의해서 결정될 수도 있기 때문에 이혼율을 결정짓는 경제적, 문화적, 그리고 사회적 요인들을 모두 포함하는 분석 모형의 개발과 실증 자료를 이용한 검증은 향후의 연구 과제로 남는다.

A Study on Clothing Consumption Value: A Qualitative Approach (의복 소비가치에 대한 질적 연구)

  • Kim, Sun-hee;Lim, Sook-J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5 no.9
    • /
    • pp.1621-1632
    • /
    • 2001
  • 본 연구는 소비자의 실제적인 의복 소비 행동을 설명할수 있는 가치 개념을 제시하기 위하여 의복 소비가치의 구체적 유형을 밝히고, 적합하고 신뢰성 있는 의복 소비가치 척도를 구성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heth(1991)의 소비 가치 이론과 의류학 및 소비자 행동분야의 다양한 이론을 토대로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통하여 소비가치에 대한 탐색적 접근을 시도한 결과를 논의하였다. 의복의 구매와 착용의 선택상황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가치는 Sheth(1991)의 5가지 소비가치 유형인 기능적 가치, 사회적 가치, 감정적 가치, 진귀적 가치, 상황적 가치 및 의복제품의 특성에 따른 자기표현적 가치로 분류되었다. 기능적 가치는 물리적 속성, 물리적 기능, 도구적 성과와 관련되었으며, 사회적 가치는 사회계층, 준거집단, 인구통계 적 특성 집단, 문화-민족적 집단과의 관련성 에 대 한 가치로 구성되었다. 감정적 가치는 긍정적, 부정적 감정 및 심미성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진취적 가치는 다양성추구행동 요인 및 유행성의. 새로움 추구 요인과 관련되었다 또한 상황적 가치는 의복착용상황, 구매상황, 커뮤니케이션 상황으로 구성되었으며, 자기표현적 가치는 성격, 이미지 표현, 개성추구, 유행추구 등의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소비가치에 대한 양적 연구를 실시한다면, 보다 객관적인 구조를 파악하고 신뢰성 있는 측정 문항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Cross-cultural differences in Korean and American children′s behavior attributions (한국 아동과 미국 아동의 행동귀인에서의 문화차 연구)

  • Young-Joo Song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42 no.1
    • /
    • pp.115-132
    • /
    • 2004
  • 본 연구는 아동의 일상 심리학이 그들의 문화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발달적 보편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선 한국 아동과 미국 아동의 타인 행동에 대한 설명을 비교하였다. 또한 서로 다른 문화를 반영할 수 있는 분석 틀을 고안하여. 이러한 서로 다른 분석 틀에 따라 두 나라 아동의 행동설명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식 범주인 '내적-외적' 법주와 한국식 범주인 '개인-관계-상황' 범주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두 나라의 아동은 타인의 행동설명에서 차이를 보여주었다. 미국 아동은 한국 아동에 비해 심리 '내적' 요인과 '개인적' 요인을 더 많이 사용하였으며. 한국 아동은 타인의 '상황적' 조건을 더 많이 고려하여 행동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두 문화권의 아동은 행동설명 과제에서 모두 '내적' 요인과 '개인적' 요인을 다른 요인보다 더 많이 선호하였으며. 오직 '상황적' 요인의 고려에서만 발달적 차이를 나타내는 공통점을 보여주었다.

점포내 밀집도 수준과 지각된 혼잡성이 쇼핑시간에 미치는 영향

  • 서성무;정석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DIstribution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1a
    • /
    • pp.229-246
    • /
    • 1999
  • 구매환경이 포함하고 있는 상황적 요인은 소비자들의 의사결정 과정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간 이루어진 연구들은 의사결정이 발생되는 특정 시점이나 장소를 고려하지 못한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이러한 상황적 요인은 소비자의 구매행위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다. Belk(1975)는 상황적 영향력(situational influence)이란 현재의 행위에 명백하고 구체적인 효과를 미치는 특정 시점(time) 및 장소(place)와 관계되는 요인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중략)

  • PDF

The Effects of Trust and Perceived Risk in Internet Shopping Malls on Attitude and Purchase Intension (인터넷 쇼핑몰에서 신뢰와 지각된 위험이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Jang, Myeo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2005.05a
    • /
    • pp.19-34
    • /
    • 2005
  • 본 연구는 불확실하고 덜 검증된 인터넷 쇼핑몰 환경에서 거래당사자간의 심장역할을 하는 신뢰의 선행요인을 확인하고, 신뢰와 지각된 위험, 태도, 구매의도간의 관계를 실증분석 하였다. 똔 연구모형을 검증한 결과 신뢰의 선행요인일 것으로 예상했던 이해타산 기반의 믿음, 구조적 보장, 상황적 규범, e-벤더에 대한 친숙함이라는 4가지 요인 중 구조적 보장, 상황적 규범, e-벤더에 대한 친숙함은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선행요인을 기반으로 구축된 신뢰는 지각된 위험을 낮추고 낮아진 지각된 위험은 고객의 호의적인 태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했지만, 실증분석 결과를 보면 신뢰가 지각된 위험은 낮추지만, 지각된 위험이 태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신뢰와 지각된 위험은 부(-)의 관계가 확인되었고, 지각된 위험과 태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찾기가 힘이 들었다. 또한 신뢰는 호의적인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이 확인되었으며, 호의적인 태도 역시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신뢰가 태도를 매개로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신뢰가 태도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관계도 확인되었다.

  • PDF

An Integrative Leadership Contingency Model for the Effective Leadership (효과적인 리더십 발휘를 위한 통합적 리더십 상황 모델)

  • Shin, HyeYoung;Kwon, SangJib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10
    • /
    • pp.325-34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nd suggest an integrative leadership contingency framework of leadership that will state the situational and psychological factors under which leadership effect should be maximized. Our leadership model presents that situational factors, including development, circumstances urgency and task structure, proposes which of transformational, transactional, empowering, and authentic leadership solutions. Also, our integrative leadership contingency model in turn results in a combination of the level of follower commitment, intrinsic motivation, and individual creativity based on inductive research method. This integrative leadership model suggested here has significant contributions for leadership effectiveness and future leadership research agenda. Next leadership research could experimentally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each of the leadership styles and levels of contingency and psychological factors of followers.

Factors Influencing Internet Consumer's Purchase Delay Behaviors : Focusing on Situational Factors and Perceived Uncertainty (인터넷 소비자의 구매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상황적 요인과 지각된 불확실성을 중심으로)

  • Kim, Jong-Ouk;Suh, Sang-Hyu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7
    • /
    • pp.407-426
    • /
    • 2014
  •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situational factors and perceived uncertainty on purchase delay behaviors of internet consumer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internet consum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s, and 394 responses were used in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negative experience and avoid regrets of the situational factors had a positive impact on overall purchase delay. The time pressure, changeability about purchase, negative experience and avoid regrets had a positive impact on payment stage delay. Also, the time pressure, negative experience and avoid regrets had a positive impact on shopping cart abandonment. Second, all factors of perceived uncertainty had a positive impact on overall purchase delay and payment stage delay. In addition, the information uncertainty and psychological uncertainty had a positive impact on shopping cart abandonment. Therefore, this study is contributing to the diversification of internet study, and it is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the customer management and marketing strategy of internet shopping malls.

Exploring the factors of situational interest in learning mathematics (수학 학습에 대한 상황적 흥미 요인 탐색)

  • Park, Joo Hyun;Han, Sunyoung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60 no.4
    • /
    • pp.555-580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of situational interest in math learning, and based on the results, to reveal the factors of situational interest included i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n mathematics class,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outside of class. As a result of conducting a questionnaire to high school students, the factors of situational interest in learning mathematics were divided into 10 detail-domain(Enjoy, Curiosity, Competence / Real life, Other subjects, Career / Prior knowledge, Accumulation knowledge / Transformation, Analysis), 4 general-domain(Emotion, Attitude / Knowledge, Understanding), 2 higher-domain(Affective / Cognitive) were extracted.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various factors of situational interest were includ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When examining the meaning of 10 situational interest factors, it can be expected that the factors for developing individual interest are included, so it can be expected to serve as a basis for expanding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 interest in mathematics learning. In addition, in order to maintain individual interest continuously, it is necessary to maintain situational interest by seeking continuous changes i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 school field.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process of exploring the contextual interest factors included in teacher-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student-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is meaningf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