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호인증 프로토콜

Search Result 311,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Novel Authentication Protocol for Secure WiBro Services (안전한 WiBro 서비스를 위한 새로운 인증 프로토콜)

  • Koo, Jung-Sook;Kim, Jin-Geun;Bak, Jong-Hyeok;Koo, Jung-Doo;Lee, Gi-S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8.05a
    • /
    • pp.224-227
    • /
    • 2008
  • 사용자가 안전한 WiBro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 사용자 단말과 ACR(Access Control Router) 간에 인증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많은 공격 위험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서는 휴대인터넷(와이브로$^{TM}$) 서비스를 위한 상호 인증 절차 표준을 제정하였다. 이 표준 프로토콜은 PISIM(Portable Internet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이용하여 PE(Portable Equipment)와 ACR 간에 상호 인증을 수행한다. 그러나 표준은 인증에 필요한 메시지의 수가 대체적으로 많은 편이며 PISIM의 분실과 에러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사용자는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ACR과 PSS 간에 키 동의 프로토콜을 수행하여 PSS를 인증한다. 이때 PSS의 계산량을 지원하기 위한 PSD(Power Support Device)가 키 동의 프로토콜에 참여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키는 ACR과 안전한 통신 세션을 맺고 있는 KAS(Key Authentication Server)에 PSS의 식별자와 키 정보를 암호화에서 저장한다. 끝으로 제안된 프로토콜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분석한다.

  • PDF

A Vulnerability Analysis of Multi-Context RFID Mutual Authentication Protocol (다중 컨텍스트 RFID 상호 인증 프로토콜의 보안 취약점 분석)

  • Kim, Young-Back;Kim, Sung-Soo;Chung, Kyung-Ho;Kim, Soo-Yong;Yun, Tae-Jin;Ahn, Kwang-Seo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8 no.10
    • /
    • pp.71-80
    • /
    • 2013
  •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security vulnerability through the several attack scenarios for the MCR-MAP(Multi-Context RFID Mutual Authentication Protocol) proposed by Ahn et al. And we propose the secure mutual authentication protocol that improved a prior MCR-MAP. The suggested protocol uses the ID of the legal tag and the timestamp generated by the server, when the tag tries to authenticate. And when the tag creates the credential, we create the new secret key computing the XOR operation between the secret key shared with the server and the tag timestamp generated by the server. As a result, the proposed protocol provides the secure mutual authentication and then is safe to spoofing attack. Also it provides forward-secrecy and then is safe to offline brute-burst attack. In this paper, we compare and verify the security vulnerability of the prior and the proposed protocol through the security analysis.

Improved Authentication Protocol between Wired and Wireless Device (유무선 장치간의 인증된 채널 설정 프로토콜)

  • 양종필;서철;이경현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29-32
    • /
    • 2004
  • 무선 네트워킹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무선환경에서의 안전한 상거래 및 뱅킹업무에 대한 요구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통신 당사자간의 인증 문제는 면대면 방식이 아닌 무선 환경에서는 안전한 m-business를 위한 필수적인 선결 조건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환경에서 가용한 인증된 채널을 설정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 프로토콜은 통신 당사자들 사이의 상호 신분확인을 위한 인증서 교환시에 인증서 취소 상태의 검증에 대한 대역폭소모를 최소화하며, 통신 당사자들 사이의 종단간의 인증된 채널 설정이 가능하다.

  • PDF

Identity-based AAA Authentication Protocol in Mobile Node (모바일 노드에서의 ID기반의 AAA인증 프로토콜)

  • Jo Yeong-Bok;Kim Dong-Myeong;Lee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6.05a
    • /
    • pp.331-335
    • /
    • 2006
  • 인터넷의 발달과 사용자 증가로 인해 IETF는 다양한 네트워크와 프로토콜 상에서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AAA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AAA의 최신 버전인 Diameter 표준의 인증 방식은 상호인증과 부인방지를 제공하지 않는다. 이러한 Diameter의 인증을 보완하기 위해 공개키를 이용한 AAA 인증 방식이 제안되었으나, 통신과 연산의 오버헤드로 인해 이동 노드에 적용이 어렵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한 ID 기반 AAA 인증 방식이 제안 되었으나 공모공격과 위장공격으로부터의 취약점을 가진다. 이 논문에서는 공모공격과 위장공격에 안전하고, 계산적 전력적 능력이 부족한 이동 노드의 연산량을 감소시키는 새로운 ID기반 AAA인증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식의 검증을 위해 기존 방식을 비교 평가하여 암호학적인 안전성과 연산량의 효율성을 검증한다. 제안 방식은 이동 노드의 인증시 2개의 난수를 생성하여 안전성을 제공하며, Mobile 노드의 지수연산을 줄임으로 계산 전력적 측면에서 효율적이고 서버의 성능에 따라 인증 수행 시간을 감소 시켜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 PDF

New Password-Authenticated Key Exchange Protocol based on MTI (MTI 기반의 새로운 PAK프로토콜 제안)

  • 김락현;염흥열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2003.07a
    • /
    • pp.126-132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PAK(Password-Authenticated Key Exchange)와 PAK-R 프로토콜 기반으로 세가지 형태의 MTI(Matsumoto, Takashima, Imai) 키 일치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안전한 보안성 요구 조건을 만족하면서 다양한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패스워드-인증 키 분배 프로토콜을 소개하고자 한다. PAK 패스워드-인증 키 프로토콜은 통신 주체의 짧은 길이의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통신 주체의 식별 및 상호 인증 후, 크기가 긴 세션키를 분배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또한 PAK는 이미 안전한 보안성이 증명되었고,[8,9,10]이를 이용한 많은 패스워드 기반의 인증 키 분배 프로토콜이 소개되었다. 본 논문은 이미 안정성 검증이 된 키 분배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새로운 PAK 프로토콜을 제안하며, credential의 이용성을 보장하기 위한 다양한 응용에 적용될 수 있다.

  • PDF

Mutual Authentication Protocol using One Time Password for Mobile RFID System (OTP를 이용한 모바일 RFID 상호인증 프로토콜)

  • Sung, Jong-Yeop;Lee, Sang-Duck;Ryu, Chang-Ju;Han, Seung-J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8 no.7
    • /
    • pp.1634-1642
    • /
    • 2014
  • Mobile RFID system, that consists of the existing RFID reader mounted on the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is able to provide the users a variety of services and convenience. But security of mobile RFID system is too weak like the existing RFID system. In this paper, the mobile RFID mutual authentication protocol with high level of security is proposed to overcome the troubles such as cryptographic protocols in the existing RFID system responding with the same value in every authentication procedure and the exposure in the exchange of messages. The proposed protocol exchanges messages unexposed by using the random numbers generated in the mutual authentication between the tag and the reader and making numbers coded with the symmetric key. Besides, the protocol uses the mutual authentication utilizing OTP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ader embedded in mobile devices in the mutual authentication process between the reader and the server. Because changed message in every authentication, which produces safe from spoofing attacks and replay attacks, etc.

A Group Key based Authentication Protocol Providing Fast Handoff in IEEE 802.11 (IEEE 802.11 환경에서 빠른 핸드오프를 제공하는 그룹키 기반의 인증 프로토콜)

  • Lee, Chang-Yong;Kim, Sang-Jin;Oh, Hee-Kuck;Park, Choon-Si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18 no.5
    • /
    • pp.103-113
    • /
    • 2008
  • Reducing handoff latency is essential in providing seamless multimedia service in Wireless LAN based on the IEEE 802.11 standard. Reducing authentication delay is critical in reducing handoff latency. To this end, several authentication protocols for fBst handoff have been proposed. Mishra et al. used proactive key distribution to improve the authentication delay incurred in the current standard and Park et al. proposed a new authentication protocol based on Blom's key pre-distribution schem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nhanced authentication protocol based on Bresson et al.'s group key protocol. If a mobile node has previously access the network, our proposed protocol only requires simple hash operations in providing mutual authentication between a mobile node and access points. Our protocol is more efficient than Park et al.'s and Mishra et al.'s technique can be used in our protocol to further enhance our protocol.

Efficient RFID Secure Protocol with Forward Secrecy (전 방향 안전성을 제공하는 효율적인 RFID 보안 프로토콜)

  • Kim, Seong-Yun;Kim, Ho-Won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2 no.6
    • /
    • pp.139-147
    • /
    • 2011
  • We proposed the secure and efficient passive RFID protocol which is based on one-way hash based low-cost authentication protocol (OHLCAP). The paper introduces OHLCAP and the vulnerabilities of OHLCAP and suggests security solutions by analyzing them. Afterwards, The paper presents the proposed protocol and demonstrates computational performance and security of the protocol. This protocol not only has the resistances against eavesdropping attack, impersonation attack, desynchronization attack, and replay attack but also provides untraceability and forward secrecy.

Simple and Efficient Authenticated Key Agreement Protocol (간단하고 효율적인 키 교환 프로토콜)

  • 이성운;김우헌;김현성;유기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485-487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간단하고 효율적인 상호 인증 가능한 키 교환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한 프로토콜은 두 참여들 사이에 미리 공유된 사람이 기억할 수 있는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세션키를 교환하고 서로를 인증한다. 우리는 제안한 프로토콜이 중간 침입자 공격과 패스워드 추측 공격에 안전하고 완전한 전방향 보안성을 제공함을 보여준다. 즉, 제안한 프로토콜은 수동적인 공격자나 적극적인 공격자의 공격들에 안전하다. 제안된 프로토콜의 안정성은 이산대수 문제와 Diffie-Hellman 문제의 어려움에 기반을 두고 있다. 제안된 프로토콜은 구성이 간단하고 효율적이어서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로 구현하기가 용이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Improved a Mutual Authentication Protocol in RFID based on Hash Function and CRC Code (개선된 해시함수와 CRC 코드 기반의 RFID 상호인증 프로토콜)

  • Oh, Se-Jin;Yun, Tae-Jin;Lee, Chang-Hee;Lee, Jae-Kang;Chung, Kyung-Ho;Ahn, Kwang-Seo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7 no.2C
    • /
    • pp.132-139
    • /
    • 2012
  • In 2011, Woosik Bae proposed a NLMAP(New Low-cost Mutual Authentication Protocol) in RFID based on hash function. They argued that minimize computation such as random number generation. In addition, NLMAP is safe against replay attack, spoofing attack, traffic analysis and eavesdropping attack due to using mutual authentication. So, when applied to RFID system has advantage such as providing a high level of security at a lower manufacturing cost. However, unlike their argue, attacker can obtain Tag's hash compute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is paper proves possible the location tracking and spoofing attack using H(IDt) by attacker. In addition, we propose the improved a mutual authentication protocol in RFID based on hash function and CRC code. Also, our protocol is secure against various attacks and suitable for efficient RFID systems better than NLMAP.